-
-
드디어 만나는 천문학 수업 - 블랙홀부터 암흑 물질까지, 코페르니쿠스부터 허블까지, 인류 최대의 질문에 답하는 교양 천문학 ㅣ 드디어 시리즈 8
캐럴린 콜린스 피터슨 지음, 이강환 옮김 / 현대지성 / 2025년 7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천문에 대한 상식은 이제 우리 삶의 일부가 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천문학, 특히 우주에 대해 알고 싶어 한다. 천문학에 대한 책은 많지만 대부분 수학적인 표현이 많아 어렵거나, 수학적인 표현이 없더라도 읽어야 할 분량이 너무 많아 천문학에 흥미를 느껴 공부하고 싶은 독자들을 질리게 하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은 천문학을 수식 없이, 이야기로 풀어내는 데 평생을 바쳐온 과학 커뮤니케이터. 미국 천문학회와 과학작가협회 정회원으로 활동 중이며, 현재 우주 관련 콘텐츠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로크네스 프로덕션 공동대표를 맡아 각종 과학 다큐멘터리와 팟캐스트를 제작하면서 사람들이 ‘과학을 이해하기 전에 먼저 좋아할 수 있도록’ 돕는 데 힘쓰고 있는 캐럴린 콜린스 피터슨이 방대한 우주의 흐름을 여행하듯 흥미롭게 풀어내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부터 가장 먼 은하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모든 궁금증에 과학적이면서 시적인 언어로 설명한다.
이 책은 단순한 정보를 모아놓은 것이 아니라 태양계, 항성, 블랙홀, 은하, 외계 생명체, 암흑 물질, 빅뱅 우주론까지… 천문학의 핵심 주제를 체계적이면서도 대중적으로 엮은, 복잡한 수식 없이 누구나 쉽게 천문학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입문서로 나사 제공 공식 이미지를 포함해 사진 50여 점과 실제 관측 팁까지 담겨 있다.
이 책은 모두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가장 먼저 만나는 우주, 태양계’에서는 태양계를 구성하는 항성과 8개의 행성 수성, 금성, 지구, 달,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혜성과 태양계를 떠다니는 작은 조각별에 대해 설명한다. 2부 ‘태양계 너머의 광활하고 놀라운 세상’에서는 성간 구름과 별 탄생의 비밀, 별은 어떻게 나이 들고 소멸하는지, 우주를 만들어내는 은하들, 은하는 영원히 존재할까? 천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법, 중력 렌즈 현상이 발생하는 원리, 웜홀은 정말 존재하는지 알려준다.
3부 ‘천문학의 흐름을 바꾸고 놀라운 업적을 남긴 인물들’에서는 천문학의 아버지, 코페르니쿠스, 관측의 귀재, 갈릴레오 갈릴레이, 행성 운동 법칙과 요하네스 케플러, 과학계의 거인, 아이작 뉴턴, 천문학에 일생을 바친 허셜 가 윌리엄, 캐럴라인, 존 허셜, 변광성을 연구한 헨리에타 스완 레빗, 상대성 이론의 창시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우주팽창설의 아버지, 에드윈 허블, 명왕성을 발견한 클라이드 톰보, 은하의 회전을 연구한 베라 루빈, ‘펄서’를 발견한 조슬린 벨 버넬에 대해 알려준다. 4부 ‘우주를 떠다니는 망원경과 끊임없이 변화하는 천문학의 내일’에서는 다른 행성은 어떤 진화 과정을 거쳤는지, 우주의 타임머신, 망원경의 발전사, 적외선 감지기, 스피처 우주망원경, 초강력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에 대해 설명해준다.
천문학에 대해 초보자라면 생겨나는 질문들이 있을 것이다. 예전 사람들은 우주를 어떻게 상상했을까? 왜 천문학을 알고 싶을까? 천문학은 물리학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 천문학은 우주와 별ㆍ행성ㆍ은하ㆍ블랙홀 등 우주 안에 존재하는 우주 현상을 관측과 이론을 통해 연구하는 과학이다.
이 책에서는 왜 인류가 하늘을 바라보며 존재의 의미를 고민해왔는지, 어떻게 우주에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아왔는지를 흥미진진한 이야기로 들려주므로 책을 읽다가 보면 우주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던 자도 쉽게 이해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