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뱀이 깨어나는 마을
샤론 볼턴 지음, 김진석 옮김 / 엘릭시르 / 2015년 4월
평점 :

샤론 볼턴. 정세랑 작가의 추천으로 알게 된 작가로 기억한다. 국내에 출간된 샤론 볼턴의 책은 총 3권인데, 그중에 <희생양의 섬>을 먼저 읽었고 이번에 <뱀이 깨어나는 마을>을 읽었다. <희생양의 섬>도 재미있게 읽었는데 <뱀이 깨어나는 마을>이 개인적으로는 훨씬 더 재미있었다. 주인공의 직업이 형사나 탐정이 아니라 수의사라서 동물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이야기 전개도 추리 소설이나 미스터리 소설의 전형적인 전개로부터 약간 벗어나 있어서 신선하고 흥미로웠다.
영국의 한 시골 마을에서 수의사로 일하는 클래라 베닝은 어느 날 전화 한 통을 받는다. 전화를 건 사람은 이웃에 사는 여성으로, 아기 침대에서 자고 있는 딸의 침대 위에 독사로 보이는 뱀 한 마리가 나타났다는 제보였다. 서둘러 달려간 클래라는 무사히 뱀을 구출하고 아기를 구하는데, 그날 하루 동안 뱀과 관련된 비슷한 사건이 잇달아 일어난다. 날씨가 더워져서 뱀이 많이 출몰한 것 같다고 사람들은 입을 모아 말하지만, 수의사이기 이전에 파충류 전공자이기도 한 클래라는 평범한 시골 마을에서 보기 힘든 종류의 뱀이 나온 걸 보면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대량의 뱀을 푼 것 같다고 의심한다.
이 소설은 여러 장르의 요소가 혼합되어 있다. 먼저 이 소설은 평범한 수의사가 뱀 때문에 피해를 입은 환자의 수가 갑자기 늘어난 것에 의문을 품고 스스로 탐정이 되어 범인을 찾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코지 미스터리'로 분류될 만하다. 아무도 살지 않는 낡은 저택이 중요한 장소로 등장한다는 점에서는 '고딕 미스터리'로 분류될 수 있다. 얼굴의 화상 때문에 대인 관계에 어려움을 겪어 온 주인공이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새로운 자신으로 거듭나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성장 서사의 요소도 있고, 서로 다른 매력을 지닌 두 명의 남성과 '썸'을 탄다는 점에서 로맨스 서사의 요소도 있다.
개인적으로는 이 소설에서 종교적인 면이 흥미로웠다. 뱀은 구약 성경의 아담과 이브 이야기에 등장하는 동물로, 기독교 세계관에서는 보통 악마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어떤 교파에서는 성서에 나오는 에덴동산의 선악과가 영적인 깨달음, 혹은 지식을 상징한다고 보고 뱀을 선악과 나무의 수호자, 지식의 수호자, 이해와 계몽의 상징으로 여기기도 했다(426쪽 참조). 뱀을 사악하게 여기는 건 유대교와 기독교가 지배하는 서구 문명뿐이고, 다른 문화권, 이를테면 힌두, 그리스, 노르웨이, 북아메리카 원주민의 문화에서는 뱀이 지혜와 불멸, 생명과 다산, 지식을 나타낸다는 내용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