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생여행 1 - 전생퇴행 최면치료, 존재와 내면의 치유 ㅣ 전생여행 1
김영우 지음 / 전나무숲 / 2025년 6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꿈인가, 환상인가, 그것이 아니라 진짜 전생 여행이 가능하다고요?
과거 예능프로그램에서 최면으로 전생을 떠올리는 장면이 처음 나왔을 때, "레드썬!"이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로 오락적인 측면이 부각되어서 전생 이야기에는 큰 의미를 두지 않았어요. 인과응보의 교훈을 주는 불교의 윤회사상을 지지하는 입장이지만 전생 체험은 별개의 문제라고 생각했거든요. 솔직히 현생을 살면서 굳이 전생까지 알아야 하나, 딱히 궁금하지 않았던 것 같아요. 오히려 최면치료에 대한 관심이 더 컸던 것 같아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김영우 박사가 국내 최초로 '최면 전생퇴행요법'을 임상에 도입하면서, 1996년 출간된 《김영우와 함께 하는 전생여행》이라는 책을 통해 최면 전생퇴행요법에 성공한 실제 치료 사례들을 소개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고, 이후 최면 상담과 치료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어요. 《전생여행》은 2025년 재출간된 《김영우와 함께 하는 전생여행》으로, 모두 2권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1권은 초판 내용을 그대로 담았고, 2권은 과거에 발표했던 치료 사례들과 새로운 치료 사례들을 추가로 수록했다고 하네요.
일단, 이 책이 지금 재출간된 것은 매우 의미심장하게 느껴지네요. 그 이유는 책을 끝까지 읽은 독자라면 모두 느꼈을 거라고 생각해요.
1권은 신비로운 만남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어요. 병원에 내원한 스물여섯 살의 평범한 직장인 원종진은 최면을 통해 전생으로의 퇴행을 했고,
정신과 의사와 내담자 간의 대화라고 하기엔 너무나 놀라운 이야기를 들려주네요. 원종진이라는 사람 개인의 전생 기억에서 특이한 점은 초월적인 영적 존재의 목소리가 들린다는 거예요. 저자는 이 목소리를 '지혜의 목소리'라고 부르는데, 이 부분이 제인 로버츠가 만난 '세스'와 닮아서 놀랐어요. 미국의 시인이자 작가인 제인 로버츠(1929-1984)는 최면 상태가 아닌 일상생활을 하다가 불현듯 찾아온 세스와의 만남으로, 인류를 깨우는 세스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했는데, 전생퇴행요법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원종진은 그러한 메신저 역할을 하고 있어요. 저자는 다섯 번째 퇴행을 마친 후 원종진과 마주보며 잠시 말을 잊었다고 해요. 두 사람은 똑같이 '왜 우리에게 이런 것들을 이야기해주는 거지?'라고 생각했고 흥분과 함께 두려운 마음이 들었다고 해요. 모든 것을 알고 있는 듯한 존재와의 만남, 지혜의 목소리는 저자가 묻는 수많은 질문들에 대해 너무나 놀라운 답변을 들려주고 있어요. 이 책에 수록된 대화 내용은 모두 상담하는 동안 녹취한 그대로이며, 저자가 지혜의 목소리를 믿을 수밖에 없는 근거들을 확인할 수 있어요. 중요한 것은 지혜의 목소리가 거듭 강조한 내용들이 예수님의 가르침, 부처님의 말씀과 다르지 않다는 점이네요.
"당신 영혼의 진보도 이렇게 한계 지어질 수밖에 없는 육신 가운데, 인생 가운데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반복되는 삶의 고통을 두려워하거나 한탄하지 마십시오. 이것을 겪지 않으면 당신은 나아갈 수 없습니다..." (108p)
"전 세계는 한국에게 있어서 정신적 식민지가 될 것입니다. 한국은 그들을 섬기는 나라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먼저 섬기기 위해서 자기 안에 흔적과 상처를 남기는 것입니다···. 아픔이 없는 자는 위로할 수 없듯이 혼란을 겪지 않고는 질서를 잡을 수 없습니다. 앞으로 이 나라에서 위대한 정신적 지도자가 나올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다른 나라에서는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 아닙니다. ··· 그것은 한국의 것이 아닙니다. 인류 보편의 것입니다···. 그러므로 어리석은 민족주의적 관점으로 바라보지 마십시오. 어느 곳에서 시작되었든 누가 섬기든 인류는 그것을 함께 누려야 합니다." (110-111p)
"우리 마음 저 깊은 곳에 전쟁으로 인해서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의 마음을 풀어야 합니다···. (무척 괴롭고 처절한 목소리로) 그 두려움, 떨림, 굶주림에 억눌린 영혼들은 우리가 함께 영혼을 울려서 기도해야 합니다···. 우리가 따뜻함을 누릴 때 저 건너편에 있는 사람들은 전쟁의 폐허 속에서··· 두려워하고 굶주리고 있습니다. ··· 그 고통들이 사라지도록··· 기도하는 마음으로··· 지혜의 목소리들은 가슴 아파합니다···.
우주에서 가장 큰 에너지인 사랑으로··· 우리는 우주의 움직임을 거스르는 모든 세력을 다스려야 합니다···. 평화를 구하는 마음으로, 영혼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우리는 그 일을 해야 합니다." (189-190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