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말에서부터 2025년 초까지 구매했던 한국소설 책들을 당시에는 읽지 않고 알라딘 중고매장에 판매하였다가 다시 알라딘 중고매장과 예스24 중고매장에서 구매(재미있는 것은 알라딘 중고매장에서 제가 판매했던 책을 다시 제가 구매한 경우가 제법 있었다는)하였거나 복지포인트로 대신 구매해주시는 분에게 구매하였거나 동네책방에서 주문한 책을 이번 기회에 읽고 저번처럼 간단하게 평을 남기려고 합니다.
어둠 뚫기 : 박선우 장편소설 (문학동네, 2025)
제 30회 문학동네 소설상 수상작으로 동네책방에서 친필서명본으로 구매하여 읽었는 데 티격태격하지만 끈끈한 모자간의 이야기 속에서 피어나는 사랑이 인상적이었으나 다른 분들처럼 쉬이 추천하기는 어려웠던 소설이었음.
보내는 마음 : 서유미 짧은 소설 (마음산책, 2025)
회사복지포인트로 구매받은 책으로 짧은 소설 10편과 단편 2편이 실려있으며 이유리작가님의「웨하스 소년」, 이기호작가님의「눈 감지 마라」와 같이 표지의 그림이 전부여서 조금은 아쉬운 마음도 들었지만 K가 떠나자마자 행어가 무너져버린 (무너지는 순간)이 인상깊게 남았음.
부암동 랑데부 미술관 : 채기성 장편소설 (나무옆의자, 2024)
사실 이 책은 당시에는 알라딘에서 구매하지 않았고(교보문고에서 구매한 것으로 기억) 예스24 중고매장에서 구매한 책으로 당연하게도 부산의 부암동이 아닌 서울의 부암동에 위치한 랑데부 미술관에서 전시하는 단 하나의 작품에 선정된 사연자의 사연으로 창조해내며 결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던 작가와 아나운서를 6년동안 준비했지만 랑데부 미술관의 행정직을 맡게 된 호수라는 인물이 성장하는 모습이 멋있었음.
나무를 훔친 남자 : 양지윤 소설집 (나무옆의자, 2024)
예스24 중고매장에서 「부암동 랑데부 미술관」과 함께 구매하였으며 나무옆의자에서 유일하게 출간된
우리나라작가님의 소설집으로 총 8편의 단편이 실려있는 데 죽어가는 나무(화분에 심은)들을 한 그루 씩 자신의 집으로 들여오는 남자(나무를 훔친 남자)와 진짜 보석이 들어간 쿠키를 만들어내는 알리바바 제과점의 여자(알리바바 제과점)가 기억에 남았고 특히 그녀가 온갖 벌레들이 들어간 호박으로 만든 보석 쿠키를 저또한 사고 싶은 생각이 들었음.
길 너머의 세계 : 전민식 장편소설 (은행나무, 2024)
알라딘 중고매장에서 구매한 책으로 수목장 ‘너머‘에서 돌아가신 분들의 골분을 나무 아래에 묻어주는 우중과 묻어준 뒤에 어느새 다가와 묵념을 하는 소미, 그리고 단단하고 우직한 도현의 과거와 수목장을 계약하는 인물들의 사연들이 짙은 안개와 해무처럼 무겁지만 단숨에 읽어나갈 수 있었던 작품이었음.
그물을 거두는 시간 : 이선영 장편소설 (비채, 2024)
출간 당시에는 구매하지 않았고 알라딘 중고매장에 이 책이 있길래 순전히 이선영작가님의 이름과 표지에 이끌려 구매한 책으로 디자이너로 승승장구하던 이모 오선임의 자서전을 대필하게 된 윤지(표지 뒷면에는 수연이라고 나와있는 데 끝까지 읽어봤지만 그 이름은 등장하지 않았는 데 혹시 수연은 윤지의 필명이 아닐까하는 추측을 해봤음.)에게 찾아온 인물로 인해 자신의 머리 속에서 사라져버린 기억들(소설 제목처럼 촘촘하게 쳐진 그물을 거두는)을 추적하며 알게 되는 진실들이 기억에 남았음.
한 방울의 내가 : 현호정 소설집 (사계절, 2025)
출간한 것은 알고 있었지만 미처 구매하지 않고 뒤늦게 구매 받은 책으로 희곡 형식으로 구성된 (한 방울의 내가 - 단편으로 구성된 (한 방울의 내가)도 있음.)와 대본 형식의 (청룡이 나르샤)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실험적인 소설들 속에 피어나는 현호정작가님의 인류학이 돋보였던 작품이었음.
꿈의 불가마 : 정소정 장편소설 (나무옆의자. 2024)
알라딘 중고매장에서 구매한 익숙한 맛의 힐링 소설로 많은 각본을 쓰신 작가님 답게 잘 읽혀졌고 전 세입자가 남긴 미선관 쿠폰을 발견하게 되어 우연히 찾아간 미선관에서 지친 몸과 불안했던 마음을 뜨거운 불가마 속에 들어가 녹여내며 한 발 나아가는 29살 뿔 언니 주연이 사랑스러웠음.
밤 인사 : 함정임 소설 (열림원, 2025)
프랑스 파리와 간절곶, 프랑스 국경지대에 있는 스페인의 포르부 그리고 장의 아버지가 머물렀던 부산(제가 지금 살고 있지만)을 마치 제가 이국적이지만 한국어를 정확하게 발음하는 장과 활발하게 SNS에 글을 올리는 미나와 미나에게 수시로 카톡을 보내주는 윤중과 함께 방문하며 돌아다니는 듯한 기분이 들었고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많은 소중했던 인연들을 만나지 못하고 심지어는 영영 떠나보내야 했던 막을 수 없는 불가피한 슬픈 일들을 결코 잊어버리면 안 되겠다는 마음을 가지게 된 소설이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