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리더는 신호를 잘 줘야 한다. 구성원 개개인을 향해
‘우리 조직은 당신을 필요로 하고 내팽개치지 않을 것이다‘라는
‘안전 신호‘를 계속 줘야 한다. 뭘 어떻게 해야 할까? 학자들이 발견한 것은 사소한 제스처의 중요성이다. 자주 따뜻한 시선을 보내고 ‘네 말을 귀 기울여 듣고 있다‘라는 메시지를 주는 제스처들이 사소하지만 아주 든든한 안전의 울타리를 쳐준다고 한다. 특히 강력한 것은 감사 표현이다. ‘네가 우리 조직에 도움을 주고 있 - P70

어서 감사하다‘라는 메시지를 표현해야 한다. 이런 아주 작은 신호가 엄청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이런 신호는 한 번에 주기 어렵다는 점이다. 그래서 감사하고 있다는 사실보다 중요한 것은 감사하다는 말을 반복하는 것이라고 한다. 리더가 평소에 구성원들에게 감사 표현을자주 하고, 또 구성원들끼리도 서로 감사를 전하는 소소한 이벤트를 만들어야 한다. 이미 여러 조직에서 시행하는 감사와 칭찬릴레이, 감사 노트 전달하기 등은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그효과가 실로 대단하다. 서로가 연결돼 있다는 결속감과 연대감을느낄 수 있고, ‘이 조직에서 나는 안전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 P71

실제 자기개시라고 하면 흔히 떠올리게 되는 사람이 있다. 바로 영국의 괴짜 재벌로 통하는 리처드 브랜슨Richard Branson버진그 - P74

wirgin Group 회장, 그에게는 난독증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그는 이 사실을 숨기기보다 드러내기를 선택했다. 그러고는텍스트 자료가 아닌, 구두나 시각 자료로 소통할 것을 주변에 요청했다고 한다. 또 그는 정규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해 재무제표를 읽거나 컴퓨터를 다루는 일 등이 어렵다는 점도 드러내며 자신을 도와줄 수 있는 사람들을 물색해 권한을 위임했다고 한다.
리더가 이렇게 하면 구성원들도 어렵지 않게 서로 도움을 요청하는 문화가 만들어질 수 있다.
구성원의 취약점은 개개인이 용기를 갖고 극복해 나가야 할문제다. 하지만 그 이전에 조직 차원의 ‘아랑‘이 필요하다. 너그럽고속 깊은 마음으로 ‘조금 모자라도 괜찮다‘는 안전 신호를 계속깜박여줘야 한다. 구성원을 취약한 구석으로 자꾸 몰아갈 게 아니라,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 - P75

칭찬이 효과적이지 못한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 결과가 좋았기 때문에 훌륭한 직원‘이라는 공식은 반대로 ‘결과가 좋지 않으면 훌륭하지 않은 직원‘임을 내포한다. 그렇게 되면 부정한 방법을 써서라도 좋은 결과를 만드는 데 집착할 수 있다. 결과가 좋지 않아서 수치심을 느끼고 질책받아야 한다면 누구나 이를 회피하고 싶기 때문이다. 둘째, 칭찬은 시기와 질투를 낳는다. 평가와보상에서 가장 민감한 부분은 공정성이다. 혜택받는 사람이 있으면 불이익을 당하는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칭찬도 마찬가지다.
구성원들이 쉽게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태도를 보이며 이중적인 잣대를 들이밀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인정은 다르다. 결과에 점수를 매기는 것이 아니라 노력한 과정 그대로를 알아주기 때문에 즐겁고 따듯한 감정을 공유할 수 있다. 가령 ‘쉽지 않았을 텐데 끝까지 마무리해서 얼마나우리 회사에 큰 힘이 되는지 모른다. 자랑스럽다‘와 같은 메시지로 - P78

해당 구성원이 보여준 됨됨이 그대로를 알아주고 손뼉 쳐주는 것이다. 한번 성공했다고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지켜본 결과를 바탕으로 사람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일이다.
그래서 칭찬이 아닌 인정으로서 구성원의 자부심을 높이는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 P79

‘건설적 대립‘을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원칙을 두고 엄격히 지키도록 하고 있다. ① 갈등 당사자와 직접 대립하기.
② 감정이 아닌 이슈에 집중해 긍정적으로 대립하기. ③ 추론이아닌 사실에 기반해 객관적으로 대립하기. ④미루지 말고 적시에 대립하기. 인텔의 전 CEO 앤디 그로브 Andy Grove는 바로 이 건설적 대립의 조직문화가 인텔의 성공 원동력이라고 자신 있게 밝힌 바 있다. - P98

인간이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 세계적인 행복학자 서은국 교수는 저서 <행복의 기원》에서 이렇게 이야기했다. "거창하고 그럴듯한 큰 행복이나 일상에서의 소소한 작은 행복이나 만족도가 지속되는 시간은 비슷하다." 즉, 행복한 사람은 복권으로 일확천금을 얻게 되는 사람이 아니라, 소소하고시시한 기쁨을 자주 느끼는 사람이란다. 한마디로 행복은 기쁨의강도intensity가 아니라 빈도frequency라는 것. - P101

 ‘긍정‘과 ‘낙천‘은 뭐가 다를까? 혹시 과도한 목표를요구받아도 그저 호기롭게 웃으며 ‘무조건 된다‘고 얘기하는 구성원이 있는가? 이는 ‘맹목적 긍정‘, 즉 낙천일 뿐이다. 쥐뿔 가진것도 실력도 없으면서 허세를 부리는 것 말이다. 낙천이 아닌 긍정은 지금 자신이 처한 환경을 정확하게 본 다음 주어진 목표를달성하려면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고민하는 자세다.
그럼 부정적이지도 않고 낙천적이지도 않은, 제대로 된 긍정적 자세는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바로 ‘냉철하게 현실을 인식한 다음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영역에 에너지를 쏟는 것‘이다. - P109

누군가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지금처럼 급변하는 세상에서 "과거에 세운 원칙을 지키라"는 말이 현실적이지 않다고. 그러므로 더더욱 그 원칙은 바로 ‘본질‘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 어떤상황에서도 의사결정의 중심축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우리 업과 조직을 지탱하는 본질은 무엇인가, 우리에게 10년이 지나도, 20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을 신념과 핵심 가치는 무엇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그에 대한 답을 원칙으로 내세워야 한다. 물론 그 답은 조직마다 다를 수 있다. 월마트와 스타벅스는 ‘구성원 중심이었지만 아마존은 ‘고객 중심‘이다. 단 하나의 정답은 없다. 조직마다 저마다의 답이 있을 뿐이다. - P119

답은 하나다. ‘인간‘에 대한 ‘정중함civility‘을 갖춰야 한다. 자식이라고 해서 부모의 소유물이 아니듯, 구성원도 조직의 부속품아니다. 구성원이 한 인간으로서 기본적으로 원하고 바라는 것이무엇인지에 귀 기울이고 최대한의 예의를 보여야 한다. 일에 치여개인의 삶을 제대로 돌볼 수 없다고 하는 구성원에게 배부른 소리하지 말라고 한다면 그건 사람에 대한 정중함이 없는 태도다. - P127


댓글(5)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01-15 13: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1-15 18: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1-16 18: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루피닷 2023-01-16 19: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넹ㅎㅎ
루이스헤이의 365일 긍정확언 일력 말씀하시는건가요?
사진누르시면 책제목이나 무엇인지 다 나올거에요~

hnine 2023-01-16 19:48   좋아요 0 | URL
예, 감사합니다~ ^^
 

그대 앞에 봄이 있다

(김종해)

우리 살아가는 일 속에
파도치는 날 바람부는 날이
어디 한두 번이라
그런 날은 조용히 닻을 내리고
오늘 일을 잠시라도
낮은 곳에 묻어 두어야 한다.
우리 사랑하는 일 또한 그와 같아서
파도치는 날 바람부는 날은
높은 파도를 타지 않고
낮게낮게 밀물져야 한다
사랑하는 이여
상처 받지 않은 사랑이 어디 있으랴
추운 겨울 다 지내고
꽃 차례가 바로 그대 앞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런 사람이 있어요

(김윤진)

그런 사람이 있어요
그저 알고 있다는 것만으로 충분한
그래서 오랫동안 만나지 않아도
따뜻한 느낌으로 남아 있는 사람
말하지 않아도
언제나 귓전에서 속삭임으로
기억하려 하지 않아도
늘 생각나는 사람

꿈속의 재회가 있기에
그리워도 그립지 않은
그런 사람이 있다는 것
그 하나가 쉬임없이 기쁨 가득하고
소식 듣는 것으로
숨쉬기 편한 하루하루
만남이 없으니
이별도 없어
가슴 저린 아픔을
삭이지 않아도 되는
그 사람의 이름 석자가
일기장 가득 추억이 되어
세월이 흘러도 잊혀지지 않는
그런 사람이 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부는 어디서 오는가 - 100년 동안 단 1%만 알았던 부와 성공의 법칙
월리스 D. 와틀스 지음, 이상미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모임에 자유책소개를 해야하는데 어떤 책이 좋을까 고민하던 중에 최근에 읽은 책중에 《부는 어디서 오는가 》이책이 눈에 들어와서 리뷰를 해보게 됐어요

지은이 윌리스와틀스 Wallace D. Wattles

1860년 미국에서 태어나 1911년 사망했다. 생애에 대해서는 거의알려진 것이 없으며, 초년시절 많은 실패를 겪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데카르트, 스피노자, 쇼펜하우어, 헤겔, 에머슨 등 세계적인 철학가들의 사상과 여러 종교를 연구했으며, 창조적 영상화의기술을 실천했다.
저서로는 『위대함의 과학The Science of Being Great』, 『행복의 과학The Science of Being Well』등 다수가 있다. 『부는 어디서 오는가TheScience of Getting Rich』는 1910년 초판이 발행된 이래 다수의 사상가들이 읽는 고전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시크릿』의 저자 론다번은 물론, 나폴레온 힐, 데일 카네기, 혼다 켄이 많은 영향을 받은것으로 유명하다. 아마존 최장기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하며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에게 사랑받고 있다.

이 책은 철학서도, 이론으로 가득한 논문도 아니다. 그야말로 실용적인 설명서다. 돈이 절실한사람들, 무엇보다 부자가 되는 것이 급선무인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또한 지금껏 돈과 관련한 철학을 깊이 탐구할 시간과 수단, 기회를 미처 얻지못했지만, 과학적 결론을 기꺼이 받아들여 부자가 되는 근본 원리를 바로 적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책내용은 잘읽히며 한번은 꼭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거 같아요
저자는 부자가 되는방법은 특정방식에 따른 결과이고,같은 원인은 항상 같은 결과를 도출해내는 과학적방식이라고 하네요
책에서 와닿았던 부분만 올려볼게요

자신이 원하는 방식대로 일하고 싶다면 원하는방식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이것이부자가 되는 첫걸음이다.
원하는 대로 생각하는 것은 겉모습과는 상관없 - P44

이 진실을 생각하는 것을 뜻한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대로 생각하는 능력, 즉 진실을 생각하는 능력을 타고난다. 하지만겉으로 보이는 대로 생각하는 것보다 진실을 생각하는 것은 더 큰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는 눈에보이는 대로 생각하기 쉽다. 겉으로 보이는 것에현혹되지 않고 진실을 생각하는 것은 무척 힘든일이다. 그 어떤 일보다도 에너지 소모가 많다. - P45

남이 가진 자원에서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무형의 근원물질로부터 당신이 원하는 자원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부의 공급은 무한하다. 다음 명제를 절대 잊지 마라.
하나, 만물의 근원이 되는 생각하는 물질이 있다. 이 물질은 우주의 공간 사이에 스며들고, 침투하며, 우주를 가득 채우고 있다.
둘, 이 무형 물질에 생각이 깃들면 자신이 생각한 이미지를 형상으로 만든다.
셋, 사람은 형상을 생각할 수 있다. 무형의 근원 물질에 그 생각을 각인하면 자신이 생각했던사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 - P62

마음을 가다듬고 신과 조화를 이루는 모든 과정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바로 감사하다.
첫째, 모든 것을 만들어내는 지적인 근원 물질이 있다고 믿어라.
둘째, 자신이 원하는 모든 것을 이 근원 물질이가져다준다고 믿어라.
셋째, 깊이 감사하는 마음으로 이 근원 물질과자신을 연결하라. - P76

그러려면 경쟁의식에서 벗어나 창조적인 마음가짐을 지녀야 한다. 마음속으로 원하는 바를 명확하게 그리고 확고한 믿음과 목표를 가지고 그그림을 마음속에 고정해야 한다. 변함없는 믿음으로 목표를 흔들리게 하거나, 마음속 그림을 흐리거나, 믿음을 약하게 하는 모든 것을 철저히 차단해야 한다. 원하는 것을 받으려면, 현재 처한환경에서 주변에 있는 사물과 사람들을 향해 바로 지금 행동해야 한다. - P126

하나, 만물의 근원이 되는 생각하는 물질이 있다. 이 물질은 우주의 공간 사이에 스며들고, 침투하며, 우주를 가득 채우고 있다. - P135

둘, 이 무형 물질에 생각이 깃들면 자신이 생각한 이미지를 형상으로 만든다.
셋, 사람은 형상을 생각할 수 있다. 무형의 근원 물질에 그 생각을 각인하면 자신이 생각했던사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러려면 경쟁의식에서 벗어나 창조적인 마음가짐을 지녀야 한다. 마음속으로 원하는 바를 명확하게 그리고 확고한 믿음과 목표를 가지고 그그림을 마음속에 고정해야 한다. 날마다 할 수 있는 일을 모두 하되 효율적으로 해야 한다. - P1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좋은 당신

(김용택)

어느 봄날
당신의 사랑으로
응달지던 내 뒤란에
햇빛이 들이치는 기쁨을 나는 보았습니다
어둠 속에서 사랑의 불가로
나를 가만히 불러내신 당신은
어둠을 건너온 자만이 만들 수 있는
밝고 환한 빛으로 내 앞에 서서
들꽃처럼 깨끗하게 웃었지요

생각만 해도

좋은
당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