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낮에 '탐독 열병fever' 증세를 고백 후, 열 내리기를 약속했던 나는 잠시를 못 참고 도서관에 갔다. 대출 가능 최대 권수를 꽉꽉 채워 담아 왔다. 급체하지 않도록, 야금야금 읽겠다고 약속한다. 메인 메뉴로서 "쓰기"를 마친 후에만 후식으로 허락하겠노라!
1.
[만화가의 여행]은, 지난 일요일 새벽까지 읽은 [하비비Habibi]의 감동을 이어가고자 일부러 찾았다. 크레이그 톰슨의 작품이다.
[하비비]는 그~~ 옛날 ~~~지역전화번호부처럼 두껍다. 젠더, 섹슈얼리티, 권력과 위계관계, 종교.....그래픽 노블의 대가가 무려 7년 걸려 완성했다. 3시간 짜리 완독으로는 그 심오한 세계를 감히 평하기 어렵다. [하비비]의 심오함에 비한다면 [만화가의 여행]은 한결 가볍다. 열성팬에게 선물하는 프레첼같은 간식, 곁다리 프로젝트라고 크레이그 톰슨은 말한다.
*
정신적으로 불안정했던 콜린 톰슨의 작품을 예전부터 좋아했는데, 또 다른 '난해한' 톰슨을 만난 셈이다. 크레이그 톰슨, 콜린 톰슨. 여유될 때 두 분의 작품을 싹 훑어 보고 싶다.
2. 아멜리 노통브
소설은 영화와 마찬가지! 제목만 알고 읽을 때가 가장 신나지! [갈증 soif]! 아멜리 노통브 스타일 아니까, 책 얇은 거 아니까~ 편안한 마음으로 책을 집었다! 두번 째 페이지에서 '물을 포도주로 바꾸는 기적'이 묘사되기에 설마했더니, 그렇다. 예수의 1인칭 시점으로 전개된다. 1/4 읽었다. "야금야금" 약속 지켜야 하니 오늘은 여기까지!

3. [복지국가는 살아남을 수 있는가?]
사회학자 박형신 선생님이 번역하신 [우리는 세계를 파괴하지 않고 세계를 먹여 살릴 수 있는가?]를 재미있게 읽었다. 표지 디자인도 비슷하고 번역자가 같은 걸 보니 [복지국가는 살아남을 수 있는가?]도 연장선상에서 읽기 좋은 책일듯 하다.
4.
인구 문제
최근 읽은 [슬로다운]이나 [인구의 힘]은 내게 맞춤형 답을 주지는 않았다. 읽느라 손목은 아팠는데, 흡수 못 시킨 아쉬움. 그래서 질문 자체가 보다 정밀한 [인구소멸, 한국은 대비하고 있는가?]와 [인구위기 국가 일본: 저출산, 고령화, 인구감소의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을 묶어서 데려왔다. 여전히 인구감소는 위기 프레임에서만 논의되는가? 유효한가? 이 질문 아래, 두 권의 책부터 아작아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