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 대폭발 - 잠자고 있는 창조성을 깨우는
제임스 L. 애덤스 지음, 이미숙 옮김 / 21세기북스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아이디어 대 폭발
Conceptual Blockbusting:
A Guide to Better Idea

1974년 초판 발행 이후 개정 5판까지 꾸준히 나오며 지난 30년간 무려 40만부 이상 판매된 베스트 셀러. 명문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무력 40년간이나 사랑받은 창의력 강의. 평소 창의력은 아이들 학습지 광고나 혹은 대학입시 채점란에 등장할 유행어로 치부해왔던지라, 그다지 관심이 없었던 나조차도 <아이디어 대폭발>의 광고문고에는 눈이 번쩍 뜨였다. Conceptual Blockbusting이라는 원제 역시 창의력폭발에 큰 해답을 주리라는 기대를 키워주었다. 하지만 막상, 한 호흡에 읽어내리기에는 다소 어려운 책이었다. 한 권을 읽다 보면 ‘A-ha moment’가 오는 창조적인 영감을 주는 책이라기 보다는 메모하고 줄그어 가며 분석하며 읽을 교과서적인 책이라는 인상이었다. 두 주에 걸쳐서 곱씹어가며 읽었다.
저자 제임스 애덤스에게는 멘토인 존 아널드의 영향을 받아 사고에 대한 사고에 관심을 두어왔다. 그는 호모 사피엔스의 역설을 말한다. “우리는 모두 생각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놀랍게도 우리 대부분은 스스로의 사고 과정을 의식하지 않는다.” 왜 그러한가? 저자는 그 답을 개념장벽이라는 개념에 압축해낸다. 나아가 창의적 사고의 걸림돌인 개념장벽을 지각적 장벽(Perceptual Blocks), 정서적 장벽(Emotional Blocks), 문화적 장벽(Cultural Blocks), 환경적 장벽(Environmental Blocks), 지적 장벽( Intellectual Blocks), 표현적 장벽(Expressive Blocks)으로 세분하고 분석해준다.

지각 장벽은 고정관념(stereotyping)이나, 감각의 불균형에 기인한다. 예를 들어, 시각의 감각 중에서도 중시하는 서구 문화권에서는 후각, 촉각 등 다른 감각의 활용을 관습적으로 제한당한다. 같은 맥락에서 이성, 실용성, 논리, 청결등을 중요시하는 미국 문화권에서는 강철 파이프 안에서 탁구공 빼내기라는 과제에서 그 문화적 금기로 인해서 파이프 안을 오줌으로 채워보기라는 혁신적인 생각을 하기 어렵다.

제임스 애덤스는 개념장벽을 극복할 실용적인 기술도 제안하고 있는데, 그 출발점으로 질문하기의 중요성을 지적하는 점이 흥미롭다. 돈 콘버그와 짐 배그널의 건설적인 불만 constructive discontent’의 개념을 빌어와, “창조적인 사람은 기존 문제, 기술, 접근 방식에 관해 건전한 회의를 품어야 한다(210)”고 말한다. 그 외 사고의 보조 수단으로 체크리스트 작성(check list), 골칫거리 목록(bug list) 작성외 분야간의 융통성있는 교류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준다.
8장과 9장에서는 집단의 창의성 향상에 집중하여 기술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사고의 유연성을 신장하고 개념장벽을 깨뜨리자며 전세계 숱한 독자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던 제임스 애덤스라는 작가 자신이 전형성을 보인다는 점이다. 저자는 본문에서 대학교수라는 자신의 직업이 주는 선입견(stereotype)의 불편함에 대해 살짝 언급을 하면서도 동시에 나는 정서가 불안한 사람들과 친분관계를 맺지 않았고, 그런 이들을 선뜻 수용하지 않는 조직에서 직장생활을 했기 때문(93)”고 말한다. 반 고흐, 모차르트 오스카 와일드 등을 정상의 변두리에 있는 사람이라며 정상VS비정상의 이분논리를 기저에 내비치기도 한다. 이미숙 번역가의 번역오류일지도 모르지만.
234쪽의 문화 초월하기의 항목에서는 나이가 지극하고 부유한 백인 남성이라면 젊고 가난한 흑인 여성이 보는 세상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태도가 사회적 창조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며 그 기저에 견고해서 쉽게 깨어지지 않을 듯한 기득권 백인남성의 우월주의도 내비친다. 독자의 지나친 앞선 해석일까? <아이디어 대폭발>은 소위 기대하는 예술적 영감으로서의 창의성과는 거리가 먼, ‘사고법의 혁신을 분석적이고 학술적으로 접근한 책이다. 책 본문에 나오는 몇 개의 퀴즈와 퍼즐로 갑자기 창의력의 혁신, 아이디어 대폭발이 일 것이라는 기대로 찾기보다는, 스스로의 사고법을 차분히 꿰뚫어보고 수정보완해나갈 가이드로 삼을 생각으로 읽기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님의 청소법 - 걸레 한 장으로 삶을 닦는
마스노 슌묘 지음, 장은주 옮김 / 예담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스님의 청소법


대행업이 유행하는 시대입니다. 얼마전 숙련된 전업주부들의 한 점심 모임에서 청소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내용인즉 요즘 젊은 처자들 청소에 넌더리내거나, 청소공포증이 크니 청소나눔재능 봉사를 꾸려보면 호응이 크겠다는 이야기였습니다. 물론 '봉사'라고는 하여도 유료서비스이지요. 이제 청소는 돈으로 사거나, 대신 해주거나, 기능성 도구를 갖추면 더 편해지는 기능적 대상이 되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청소가 제 '주부 바른 생활'의 화두가 된지라 섭렵한 많은 청소관련 서적에서도 청소는 도구를 갖추고 시작할 수 있는 테크닉으로 부각됩니다.



마스노 슌묘 스님의 <스님의 청소법>은 전혀 달랐습니다. 청소 테크닉을 가르치거나 구비할 청소 도구를 나열해주지도 않습니다. 그러나 그 어떤 청소 교과서보다도 분명히 청소를 하고자하는 마음을 단단히 잡아주고,청소를 보는 관점 자체를 바꾸어 줍니다. 내리 세 번을 읽었습니다. 최근 읽은 그 어떤 명상서나 심리치유서, 정신분석서적보다도 마음에 진하게 굵직한 파동을 남겨주었습니다.

마스노 슌묘 스님은 "청소란 마음을 닦는 것"이라 말합니다. 욕심, 집착, 분노와 미혹이라는 '마음 안의 군살'을 제거하고 본래의 자신을 깨닫기 위한 행위말입니다. 그래서 <스님의 청소법>에는 요새 유행하는 친환경 청소법의 베이킹 소다니 식초, 다용도 극세사 걸레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청소는 '세제나 도구가 해주는 게' 아니거든요.



"몸은 보리수요, 마음은 맑은 거울과 같으니

/ 자주자주 부지런히 털고 닦아서

/ 티끌과 먼지가 묻지 않게 하라"

당나라의 선사 신수의 말을 빌어 마스노 슌묘 스님은 '무심히 청소하는 것 자체가 곧 수행'이라고 거듭 이야기해줍니다. 슌묘 스님은 단순히 물리적인 청소만을 이야기하고 있지 않습니다. <스님의 청소법>을 읽다보면, 삶의 방식 자체를 군더더기 없게 하여 '무에서 태어나 무로 돌아가려는' 스님의 모습이 눈에 그려집니다. 아울러, '무소유'라는 말은 듣기 좋은 표어처럼 내걸고는 있지만 집착과 욕심이 많은 제 마음의 방이 보입니다.
<스님의 청소법>. 선이니, 불성, 수행 등 종교적 색채가 짙은 어휘가 많이 등장한다고 주저할 필요도 없습니다. 청소법이라고 주부 필독서로 분류하지도 맙시다. 마음의 군더더기를 줄이고, 단순함 속에서 더 평온해지고 싶은 모든이들, 이 가을 꼭 읽어보세요. 저도 다시 읽으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브릴리언트 - The Brilliant Thinking 브릴리언트 시리즈 1
조병학.이소영 지음 / 인사이트앤뷰 / 201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브릴리언트

The Brilliant Thinking



육아와 생활인으로서의 반복적 일상, 책 읽기의 호흡이 짧아졌다. 411쪽에 달하는 <브릴리언트 The Brilliant Thinking>은 짧은 호흡으로 가볍게 읽어 넘길 책이 아니다. 김우식 전 부총리의 추천평처럼 "한 마디로 '참Brilliant한 책'이기 때문이다. 공저자 이소영과 조병학은 "감히" "무모하게" 생각의 생김새를 해부하려든다. '우리의 생각이 곧 우리의 미래'라 전제하며.

요렇게 '참하고 무모한 책'을 쓴 저자들은 얼마나 브릴리언트할까? 책 읽고나서 저자가 이렇게까지 궁금해보기도 오랫만이다. 조병학은 현대경제연구원으로서 지식비즈니스실을 실장직에 있으며 창조성에 관한 강의를 진행중이며 이소영은 이화여대에서 인사조직(OB/HRM)을 전공하였고 '생각의 탄생'이라는 이러닝 프로그램으로 2008년 digital innovation 대상을 수상했다.




고급 양장본에 초월적 우주를 연상시키는 표지, 읽기 전부터 그 두께감에 겁먹을만 하다. 그래도, 의외로 술술 읽힌다. 현명함을 전수받으려고 하는 작은 독수리 베라와 큰 독수리 헤라의 문답법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기 때문에. 저자들은 스토리텔링의 힘을 빌어와 형이상학의 세계를 동물 캐릭터를 등장시킨 우화로 풀어내었다. '생각 노트'라는 책속의 책 기능의 챕터만 따로 읽는 것도 <브릴리언트>를 읽는 한 방법이다. 개인적으로 독수리들의 문답법보다는 '생각 노트'의 글이 더 와닿는다.



이성, 감성, 직관, 오감, 본질, 언어, 진실 등 무겁고 거창한 철학 용어가 주를 이루는 본문. 저자들은 형이상학의 어려운 이야기를 생활과 연결될 수 있는 질문들과 사례, 유명인사들을 동원하여 재미있게 풀어나가려 한다. 최근 대세인 Steve Jobs와 애플사 역시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빛나는 생각을 설명하면서 여류 화가 조지아 오키프를 끌어온 점도 참신하다.


예민한 감각,
예리한 이성,
섬세한 감성.
스티브 잡스나 조지아 오키프처럼 놀라운 혁신을 이뤄낸 위인들은 늘 이 세가지를 새로이 하였다고 저자들은 말한다. 한 자리에서 25잔의 차를 들이키고야 시를 쓴 새뮤얼 존슨이나 연필을 뾰족하게 갈고 간 연후에야 글쓰기를 시작했던 대문호 헤밍웨이. 괴상한 습관일뿐일까? 아니, 그들은 나름의 방식으로 감각을 예민하게 다듬으려 했던 것이다. 조병학과 이소영은 감각의 무감각을 꺨 수 있는 것은 '뇌', 이성이고 감성이라고 확언한다. 감각의 무감각이라는 감옥에서 빠져나오려면 결국 이성을 예리하게 하기, 쉽게 말해 끊임없이 학습하는 것 뿐이다. 저자들의 주장이다. 이 분야의 공부가 짧은 나로서는 저자들의 제안이 실용적이며, 효율과 생산성을 중시하는 라인에 서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 생각의 빈곤, 감각의 무감각이라는 감옥에서 벗어나려면 브릴리언트한 생각을 해야 하고, 그러려면 끊임 없이 학습하라는 메세지. 참한 책 브릴리언트를 관통하는 핵심 주장일까? 411페이지의 책을 공들여 다시 한번 긴호흡에 읽어보아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편이 달라졌다
스티븐 크레이그 지음, 나선숙 옮김, 조창현 감수 / 시공사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The 6 Husbands Every Wife Should
Have
:
How Couples Who Change Together Stay Together


잠들기 전 가볍게 읽으려고 집어든 <남편이 달라졌다> 책이 꽤나 두꺼웠다. 서문만 읽고 자야지 싶었는데, 솔직한 입담의 저자의 글솜씨와 '변화'를 중시하는 접근법에 반해서 두꺼운 책 한권을 다 읽고 잤다. 어찌나 재미있게 읽었든지 책에 등장한 결혼 생활의 꿈까지 꿀 정도였다.

이 책의 저자 스티븐 크레이그(Steven Craig)는 지난 15년간 수천 쌍의 부부를 상담해온 부부치료 전문 심리학자로서 방송에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부부치료 분야에서의 저자의 오랜 경험과 연구의 결과를 <남편이 달라졌다>에 압축하여 담고 있다. 배우 리처드 기어를 연상시키는 곱슬 백발의 스티븐 크레이그는, 이 책을 통해 추측컨데, 활기차고 자신 만만하며 타인의 주목받기를 좋아한다. 미국인 특유의 화법이라고 할까, 일상의 에피소드를 할리우드 영화 시나리오감으로 드라마타이즈하는 능력도 탁월하다. 저자는 꽤나 솔직하다. 서문에서 밝히기를 자신 역시 평범한 다른 남자들처럼 남편으로서의 단점이 있고 결혼생활에서도 좌충우돌도 있었다 한다. 쓰레기 봉지를 또 처분 안했느냐는 아내의 잔소리에 폭우 쏟는 날 밤, 비를 쫄딱 맞으며 쓰레기 봉투를 버리오 와선 젖은 채로 침대에 기어들어가며 '자, 이젠 만족해?'라고 말한 적도 있다고 솔직히 고백한다. 그런 솔직함에 힘 입어서 인지 <남편이 달라졌다>는 딱딱하고 훈계적인 심리치유서와는 다르다. 재미있고, 공감가는 충고에 스스로 변화를 작정해보게 만드는 책이다.

'변화'
변화는 <남편이 달라졌다>를 관통하는 키워드이면서, 저자가 긍정의 의미를 부여하고 추구하는 가치이다. 성공적인 결혼 생활을 위해서는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여, 보다 성숙한 인간으로 커나가야 한다. 스티븐 크레이그는 '서로에게 잘해봐라'식의 진부하고 피상적인 충고나 '배우자의 마음을 녹이는 로맨틱한 말 열가지' 등의 임시방편적 도구로는 결혼생활의 진정 개선되지 않는다고 본다. 왜냐하면 아무리 좋은 도구일지라도 사용하는 사람이 인격적으로 성숙하지 못하면 무용하기 떄문이다. 즉, 성공적인 결혼 생활을 위한 초석은 자신 스스로 인격적으로 성숙해지려는 노력을 끊임 없이 경도해야 한다는 답이 나온다.

My job as a partner is to constantly reinvent myself, maturely and without resentment or regret. Doing so not only makes my marriage better, it makes my life fuller and it makes me a better person as well as a better husband. If I didn’t face and make these transitions, my wife wouldn’t want me. Not because I wasn’t a good guy, but because I didn’t grow up.
From THE 6 HUSBANDS EVERY WIFE SHOULD HAVE by Dr. Steven Craig


원제가 : How Couples Who Change Together Stay Together>인 이유는 저자가 성공적인 결혼 생활을 위한 로드뱁을 6단계 시기별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1단계 결혼, 2단계 신혼 생활, 3단계 아기 탄생, 4단계 가족 구성, 5단계 빈둥지 채우기, 6단계 실버부부로 나누어 각 단계마다 가장 필요한 배우자 상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전략을 소개한다. 저자는 부부관계를 마라톤이 아닌 10종 경기에 비유한다. 한가지 전략으로 주구장창 달려가는 마라톤이 아니라 각 경기마다 동원해야할 전략과 기술이 다른 10종 경기 말이다. 이처럼 결혼 생활의 6단계에서 각 단계에 맞는 목표를 제시하고 그 목표에 달성하는 기술을 배우는 것이 현실적으로도 성공적인 결혼에 이르는 방법이다.


<남편이 달라졌다>에 등장한 숱한 임상사례들과 여러 충고 중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와닿았던 부분은 '적극적 경청이 있고 없고'에 따라 부부간 대화가 얼마나 달라질 수 있는가에 대한 예시였다. 쉽게 말해 '아 다르고 어 다르달까.' 상대의 대화에 얼마만큼 귀기울이고 진정성을 담아 응답하고 상대와 내 자신의 마음을 어루 살피는가에 따라 대화의 방향이 완전히 다르게 나가고, 궁극적으로는 결혼 생활의 질까지도 달라지리라는 생각에 예시들을 유심히 여러 차례 읽었다. 배우자와 함께 읽기를 권하는 페이지들이다.




책 말미에는 '부부를 위한 변화 계획표' 질문지가 제시되어 있다. 저자는 이 질문지를 복사해서 새로운 목표가 생길 때마다 활용해 보라고 제안한다. 다소 생소하기는 하지만, 문답법을 통해 더 심오한 대화에 이르고 부부가 어떤 변화를 필요로하고 원하고, 또 그 변화를 위해 전력투구할 수 있는지를 결혼 생활 6단계에서 끊임없이 확인하는 작업은 무척 필요할 것 같다. 변화의 긍정적 힘을 믿는, 긍정 에너지 가득한 책. <남편이 달라졌다>를 아내와 남편, 예비 부부 모두에게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족 힐링
버지니아 사티어 지음, 강유리 옮김 / 푸른육아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가족 힐링
The New Peoplemaking
by Virginia Satir

<가족 힐링>은 The New peoplemaking이라는 원제로 1988년 출간된 버지니아 사피어의 대표적 저서이다. 그녀는 사피어식 접근법과 함께 '가족 치유의 어머니'라 불리는 가족치료 분야의 대가이다. 문제 있는 가족과 대면할 때마다 몸으로 고통스럽고 불편한 반응이 먼저 온다할 만큼 영적이며 실제 '영혼의 힘'을 굳게 믿는 사피어. 그래서인지 <가족 힐링>은 단순히 더 건강한 가족 관계를 이야기하는 데서 넘어서서 보다 인간다운 인간으로의 성장을 촉구하는 잠언서처럼 읽히기도 한다. 실제 사피어 평생의 활동은 "보다 인간다워지기 (becoming more fully human)"에 대한 경건한 갈망 하에 이루어졌다.
불완전하며 인간에 불과하다. 자식으로서도 어른으로서도 부모로서도. 그 불완점함을 인정하고 자각하며 더 나은 인간으로 성장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을 때 가족에 보다 큰 웃음과 행복이 찾아드는 것이다.
사피어는 이를 '자존감, 가족간 소통, 규칙, 사회와의 관계'의 네 가지로 압축하여 이야기를 진행하고 있다.


나의 자존감 선언 원문
“I am Me. In all the world, there is no one else exactly like me. Everything that comes out of me is authentically mine, because I alone chose it -- I own everything about me: my body, my feelings, my mouth, my voice, all my actions, whether they be to others or myself. I own my fantasies, my dreams, my hopes, my fears. I own my triumphs and successes, all my failures and mistakes. Because I own all of me, I can become intimately acquainted with me. By so doing, I can love me and be friendly with all my parts. I know there are aspects about myself that puzzle me, and other aspects that I do not know -- but as long as I am friendly and loving to myself, I can courageously and hopefully look for solutions to the puzzles and ways to find out more about me. However I look and sound, whatever I say and do, and whatever I think and feel at a given moment in time is authentically me. If later some parts of how I looked, sounded, thought, and felt turn out to be unfitting, I can discard that which is unfitting, keep the rest, and invent something new for that which I discarded. I can see, hear, feel, think, say, and do. I have the tools to survive, to be close to others, to be productive, and to make sense and order out of the world of people and things outside of me. I own me, and therefore, I can engineer me. I am me, and I am Okay.”
Virginia Satir


다섯 살에 이미 크면 아이들을 힘들게 하는 어른들의 잘못을 찾아내서 고쳐주는 수사반장(a children's detective on parents)을 하겠다고 했을 만큼 조숙했던 사피어는 일상에 대한 감수성도 그만큼 조숙했는지, 책 곳곳에서 사피어식 치료법에 자신의 유년기에서 인상 깊었던 사물, 상황들을 빗댄 이름을 붙여준다. 예를 들어, 자존감을 "솥단지"에 비유하고, 가족간의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제안에는 '가족 체온 읽기'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 가족 체온 읽기는 식구들이 모두 모여 말하고 싶은 가족 성원이 주제에 따른 이야기를 하고 경청함으로써 서로에 대한 신뢰와 자존감을 높여준다. 서로 잘 알아갈수록 가족 관계는 편안해진다.


버지니아 사피어에게 '가족은 세상을 압축해 놓은 소우주The family is a microcosm' 이기에 건강한 가족관계는 한 발 두 발 나아가 거시적으로 보면, 세계의 평화로 나아가는 근간이 된다. 관계망과 지지체계의 형성을 중요시 한 사피어는 실제, 1970년에 The International Human Resources Network(IHLRN)를, 1977년에는 The Avanta Network(Avanta의 전신)을 설립하였다. 스스로를 가족 치료사라 칭하지만 어찌보면 버지니아 사피어는 '존엄성과 자존감이 지켜지는 평화로운 세계'를 꿈꾸는 지구 공동체의 치유자 같다는 인상이다. <가족 힐링>을 통해 처음 알게 된, 버지니아 사피어의 이름. 한 권 한 권 그녀의 저서를 탐독해 나가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