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쌍둥이는 너무 좋아 ㅣ 비룡소의 그림동화 143
염혜원 글.그림 / 비룡소 / 2014년 1월
평점 :

쌍둥이는 너무 좋아 / 염혜원 / 비룡소 / 비룡소의 그림동화 143 / 2014.01.08
그림책을 읽기 전
염혜원 작가님의 '쌍둥이 자매' 시리즈의 첫 번째 이야기이지요.
2016년에 두 번째 이야기인 <우리는 쌍둥이 언니>라는 그림책도 출간되었지요.
닮은 듯 다른 두 아이의 모습에 엄마 미소가 생기네요.
그림책 읽기

우리는 쌍둥이야. 우리는 똑같이 생겼어. 우리는 뭐든 같이 쓰지.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같은 이불을 썼어. 엄마가 항성 덮어 주는 알록달록 이불이야.
하지만 이제 우리는 다 컸어. 벌써 다섯 살이거든.

이불 이리 줘! 내가 언니잖아. 난 이 이불 없이 못 잔다고.
안 돼. 내 거야! 왜냐하면.. 나도 이 이불 없이는 못 잔단 말이야.
언니는 겨우 삼 분 먼저 태어났으면서!

드디어 완성! 내 이불을 정말 예뻐. 내 이불이 언니 것보다 훨씬 예뻐!
빨리 자고 싶어. 그런데 왜 잠이 안 오지?
난 팔을 뻗어 동생 손을 잡았어. 나도 언니 손을 꼭 잡았어.
그림책을 읽고
쌍둥이 자매는 태어날 때부터 방도, 장난감도, 침대도, 이불도 함께 써 왔지요.
하지만 다섯 살이 되자 몸이 훌쩍 커 버렸고, 더 이상 이불 하나로는 잠을 잘 수 없게 되었어요.
사이좋게 붙어 지내던 두 아이는 “이불 이리 줘! 내가 언니잖아!” 하고 다투기도 하고,
“안 돼! 내 거 먼저야. 언니는 맨날 뭐든 먼저 해?” 하고 불평하기도 하지요.
쌍둥이는 각자 좋아하는 천을 골라, 자신만의 이불을 만들기 위해 함께 빨래를 시작해요.
드디어 따로 떨어져 자는 날 밤. 빨리 자고 싶지만, 이상하게 잠이 오지 않아요.
무서운 마음에 팔을 뻗어 보니 서로의 손이 닿지요. 그제야 비로소 두 아이는 잠이 들어요.
똑같이 생겼고, 뭐든 같이 하고, 늘 함께 노는 모습에 쌍둥이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어요.
하지만 같이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모든 것을 함께해야 하는 관계는 항상 좋기만 한 건 아니네요.
<쌍둥이는 너무 좋아> 속 자매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나누어야 하는 순간에 속상하고 억울한 마음을 느껴요.
그래도 아이들은 말하지요. “그래도 좋아.”
때론 다투기도 하고 질투도, 서운함도 느끼지만 서로의 소중함을 알고 있으니까요.
서툴지만 솔직하게 감정을 표현하고, 그 마음을 부드럽게 풀어가는 모습이 참 따뜻하네요.
이야기를 더욱 빛나게 하는 건 바로 그림이에요.
염혜원 작가 특유의 섬세한 장면 연출은, 책의 펼침면을 이용해 오른쪽과 왼쪽을 각자의 공간으로 나누며 서로 등을 돌리기도, 마주 보기도 하며 두 아이의 감정 변화를 보여주지요.
아이들의 표정 하나하나에 마음이 담겨 있고,
똑같아 보이는 두 아이가 가르마, 표정, 좋아하는 색, 인형 등에서 ‘다름’과 ‘같음’을 있는 살짝 알려주지요.
특히 색동, 분홍, 노랑이 어우러진 이불은 여백 속에서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하지요.
이 책은 쌍둥이뿐 아니라 형제자매, 친구, 가족처럼
‘가까워서 더 복잡한’ 관계를 살아가는 모든 이에게 ‘너랑 나’는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하다고 말해요.
그걸 인정하는 일은 관계에서 자라나는 첫 번째 용기이자, 아름다운 성장이지요.
함께 걷되, 각자의 길도 걷는 아이들. 그 모습이 사랑스러워요.
‘쌍둥이라서 부럽다’는 말보다, ‘쌍둥이로 살아간다는 건 정말 대단하구나’ 하는 마음이 들어요.
- 염혜원 작가님의 '쌍둥이 자매' 이야기 -

볼로냐 라가치 상, 에즈라 잭 키츠 상 수상 작가 염혜원의 <쌍둥이는 너무 좋아>를 잇는 쌍둥이 자매 대소동, 그 두 번째 이야기 <우리는 쌍둥이 언니>이지요.
염혜원은 쌍둥이 언니와 함께 겪었던 어린 시절을 바탕으로 쌍둥이 그림책 시리즈를 만들었지요.
<쌍둥이는 너무 좋아>는 쌍둥이 자매만이 지니고 있는 독특한 감성과 심리를 담은 그림책이고,
<우리는 쌍둥이 언니>는 엄마와 동생을 둘러싼 쌍둥이 자매간의 다툼과 화해의 과정을 유쾌하게 담았다고 해요.
- 비룡소 책 소개 내용 중
- <쌍둥이는 너무 좋아> 작업 과정 -

2023년 10월경 염혜원 작가님의 SNS 스토리에 올라온 <쌍둥이는 너무 좋아> 관련 사진들이지요.
스케치, 더미북, 사진까지 다양한 이야기가 있네요.
뉴욕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일러스트레이터 염혜원 작가는 일상 소재를 활용하고 개인 경험을 소재로 해서 자연스러운 이야기를 만들어서 그림책을 창작한다. 염혜원은 미국 다문화의 영향을 받아 작품에서 다양한 캐릭터를 담아내기 위해 노력하며 서로 나누고 존중하며 배우는 삶이 가장 중요한 점으로 여겨진다. 그녀의 그림책에서 다양한 인종의 아이들이 균형 있게 등장하고 인물들이 다채로운 성격을 가진다.
- 작가 소개 내용 중(위키백과)
염혜원 작가님 SNS : https://www.instagram.com/yumhyewon/
행복한 그림책 읽기! 투명 한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