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 오페라 렉처 사이언스 KAOS 13
임명신 외 지음 / 반니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양계와 외계행성부터 운석충돌로 인한 지구멸망 시나리오, 별과 은하의 일생, 그리고 외계생명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천문학 분야에 대해 각 분야의 국내전문가들로부터 강연을 듣는 것 같은 즐거움이 있다. 카오스재단에서 강연을 묶어 펴내는 렉처 사이언스 시리즈를 이 책까지 두 권 읽었는데, 첫 번째로 읽은 <기원, 궁극의 질문들>보다는 좀 더 만듦새가 좋다. 그림과 본문이 따로 노는 것은 많이 해소됐으며 오타도 거의 보이지 않는다. 


천문학은 낭만적인 사람이 하는 것이 맞는 것 같다. 이른바 '산업'에는 별 도움이 안 되는 천문학 연구의 수준이 한 나라의 철학과 국력을 나타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이전의 아무런 존재감이 없던 수준에서 벗어나 근래에는 천문학 연구에도 많은 기여를 하는 듯 싶다. 


이 책은 나름 전문적이며 최근의 연구 성과까지 보여준다. 하지만 넓은 분야를 간단히 소개하는 개관이기 때문에 이 책에 참여한 저자들이 각자 펴내는 좀 더 상세한 책이 있다면 읽고 싶다. 


다음은 이석영 교수가 쓴 에필로그에서 가져왔다. 


  얼마 전 TV에서 재밌는 장면을 봤습니다. 어린아이에게 사랑이 뭐냐고 물었더니 주저 없이 "갑자기 꼭 껴안아 주고 싶은 거"라고 답했습니다. 그 장면이 너무 귀여워서 여러 번 되돌려 봤습니다. 그런데 그 아이보다 몇 배 넘게 산 그 아이의 엄마에게 같은 질문을 한다면 뭐라고 답을 할까요? 아마 잠시 머뭇하다 "잘 모르겠어" 하고 답할 것 같습니다. 아이의 엄마가 그 아이보다 정말 몰라서 모르는 걸까요? 살면서 배우는 것은 결국 큰 의미가 없는 걸까요? 우리가 과거에 모르던 것까지 이제는 모르고 있다는 것을 인지한 것이고, 그건 아는 것 못지않게 값진 겁니다. 우리 인류는 앞으로 많은 것을 알게 됨과 동시에 더 많은 모르는 것이 있음을 알게 될 것입니다. (261~262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계산가능성computability'에 대한 Turing과 Church의 접근 방법을 길게 논의한 후 펜로즈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Like so many other mathematical ideas, especially the more profoundly beautiful and fundamental ones, the idea of computability seems to have a kind of Platonic reality of its own. It is this mysterious question of the Platonic reality of mathematical concepts generally that we must turn to in the next two Chapters. (p. 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속 불가능 자본주의 - 기후 위기 시대의 자본론
사이토 고헤이 지음, 김영현 옮김 / 다다서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사이토 고헤이齋藤幸平는 1987년생으로 현재 도쿄대학교 부교수이다.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에서 마르크스 철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기후 위기로 인류의 미래에 의문이 드리운 이때, 저자가 주장하는 바는 이렇다. 자본주의로는 인류의 미래에 희망이 없다. 자본주의는 그 특성상 성장을 지속해야 하는데, 산업혁명 이래 자본주의에 기반한 급격한 성장이 현재의 기후와 생태 위기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현재 제기되는 다양한 해법들, UN의 SDG(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나 기후 케인스주의 등은 모두 미봉책일 뿐이라고 그는 진단한다. 


그는 이제 탈성장(degrowth)을 목표로 삼아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본주의를 버리고 생태주의에 기반한 코뮤니즘을 기반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다, 소련의 해체로 역사와 공산주의에 종말이 선언된 이때, 그는 코뮤니즘을 말한다. 그가 말하는 코뮤니즘은 생산수단을 노동자들이 협동조합의 형태로 소유하여 민주적으로 결정을 내리고 운영하는 코뮤니즘이다. 


그는 말년의 마르크스가 당시의 생태주의와 중세의 공유(commons)에 기반한 전통사회 연구를 통해 인류는 자본주의를 거쳐 코뮤니즘으로 진행한다는 단선적 '역사의 진보'에 대한 생각을 바꾸었다고 말한다. 그 연구 결과는 어떠한 저작물로도 나오지 않았지만 그의 연구노트와 편지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말년에 마르크스가 수행했던 연구로부터 통찰을 얻을 수 있으며, 협동체로 번역되는 게노센샤프트genossenschaft에 우리의 미래가 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자본주의의 미래에 근본적 의문을 제기한다는 점에서 과격할지 몰라도 곱씹어 볼 만하다. 


책 속 몇 구절을 다음에 옮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노동과 생산의 변혁이다. 이 책의 입장이 기존의 탈성장파와 결정적으로 다른 것은 바로 이 대목이다. 기존의 탈성장파는 마르크스주의와 노동운동에 대한 반감을 신경 쓰느라 '노동'이라는 차원에 파고들려 하지 않았다.

  실제로 기존의 탈성장파는 주로 소비 차원에서 이뤄지는 '자발적 억제'에 초점을 맞춘다. 절수.절전을 하고, 육식을 그만두고, 중고품을 사고, 물건을 공유하는 식으로 말이다. 하지만 그렇게 소유, 재분배, 가치관 변화 등에만 주목하여 노동을 근본적으로 바꾸려 하지 않기 때문에 자본주의와 맞서지 못하는 것이다. (290페이지)

생산이라는 영역에서는 공동체가 태어난다. 제8장에서도 살펴보겠지만, 그 공동체에는 더욱 넓게 퍼져서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노동에서 생겨난 운동에 정치까지 움직일 가능성이 숨어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이 책에서 문제시하는 것은 일상생활 차원의 '제국적 생활양식'이 아니라 그런 소비를 가능하게 하는 생산이다. 즉, 중요한 것은 '제국적 생산양식'의 극복이라는 말이다. 제국적 생활양식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먼저 제국적 생산양식을 극복해야 한다.

  단, 생각 없이 하향식 해결책에 의존하는 '정치주의' 모델로는 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점을 다시금 강조해두겠다.

  물론 정치는 필요하다. 기후 변화 대책의 제한 시간을 앞두고 하향식 대책을 요구하는 이들도 있다. 다만 정치가 기후 변화와 맞서려면 자본에도 도전해야 한다는 점을 떠올려보자. 그런 정치를 실현하려면 사회운동의 강력한 지원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294페이지)

  그[<자본>에 숨어 있던] 진정한 구상은 크게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사용가치 경제로 전환, '노동 시간 단축', '획일적인 분업 폐지', '생산 과정 민주화, '필수 노동 중시'. (297페이지)

오해하지 않도록 거듭 이야기하지만, 마르크스가 만년에 했던 주장은 도시 생활과 첨단 기술을 버리고 촌락공동체 사회로 돌아가자는 것이 아니었다. 이미 불가능한 일이고, 그런 생활을 이상화 할 필요도 없다. 촌락공동체 같은 생활에도 이런저런 문제가 있으며 도시에도 기술 발전에도 높게 평가할 점은 많이 있다. 도시와 기술의 합리성을 전부 부정해버릴 필요는 전혀 없다.

  그렇지만 현재의 도시에는 문제가 많으며 수정이 필요하다. 공동체의 상호부조가 속속들이 해체되었고, 막대한 에너지와 자원을 낭비하는 지속 불가능한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르게 말하면 도시화가 도를 지나친 상태다.

  그 결과 도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중 약 7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기후 위기와 맞서 상호부조를 되찾으려면, 도시 생활을 바꿔야 한다. 도시를 버리고 산골에 틀어박힌들, 최종적으로 지구 전체가 '대홍수'에 휩쓸리면 아무것도 남지 않을 것이다. 지금 우리는 자본이 만들어낸 도시라는 공간을 비판하고 새로운 도시의 합리성을 만들어낼 필요가 있다. (324-325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브란트UIrich Brand와 마르쿠스 비센Markus Wissen은 글로벌 사우스에서 자원과 에너지를 수탈함으로써 성립되는 선진국의 라이프 스타일을 '제국적 생활양식imperiale Lebensweise'이라고 불렀다.

  제국적 생활양식이란 간단히 말해 글로벌 노스Global North의 대량 생산.대량 소비 사회를 가리키는 것이다. 제국적 생활양식은 선진국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 풍요로운 생활을 실현해주기 때문에 보통 바람직하고 매력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글로벌 사우스의 사회집단과 지역에서 벌어지는 수탈, 나아가 우리가 누리는 풍요로운 생활의 대가를 글로벌 사우스에 떠넘기는 구조가 존재한다.

  문제는 수탈과 대가의 전가 없이는 제국적 생활양식이 유지될 수 없다는 사실이다. 글로벌 사우스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 조건이 악화되는 것은 자본주의의 전제 조건이며, 남북 사이의 지배종속 관계는 예외적 사태가 아니라 '평상시 상태'인 것이다. (27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re will always be stray air molecules and stray photons ricocheting off qubits, causing them to lose their quantumness and decohere into normal bits. This can be corrected but, for each qubit, this error correction requires anything from 10 to 100 qubits. A conventional computer develops an error--a 0 flipping to a 1 or vice versa--about once every trillion trillion operations. However, a quantum computer develops an error about once every thousand operations. This is a crippling rate and it is not yet certain that such error correction can, in practice, outpace the accumulation of errors.

  Currently, the record-holding quantum computer, announced by IBM in November 2021, has 120 qubits. This is almost double the number of the previous record-holder that was built by Google. However, the number of qubits being quoted is deceptive since only a small portion of qubits are useable for calculations, while the rest are needed simply to correct the errors accumulating in those qubits. (p. 1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