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은 우울증 원인으로 꼽히는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세로토닌, 신경세포 성장인자 등 전전두엽 피질의 모든 화학물질을 조절한다. 항우울제처럼 한 가지만 선별하여 공략하지 않고, 뇌 전체의 화학작용을 조절하여 균형을 원활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 - <달리기의 모든 것 >, 남혁우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fe0c72be589840b3 - P42
달리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에 흥미가 생기고 재미가 붙으면 생활습관이 자연적으로 개선될 수밖에 없다. 주 2~3회도 버겁던 운동을 매일 밥 먹듯이 하게 되고 자연스레 몸에 좋은 것만 찾게 된다. 운동을 하다 보면 스스로 술과 담배를 멀리한다. 동시에 몸에 좋은 음식을 찾아 소식하는 습관이 생긴다. 게다가 땀을 많이 내는 운동은 후각을 상당히 민감하게 하므로 자신의 구강 상태와 신체 청결에 관심을 갖게 된다. - <달리기의 모든 것 >, 남혁우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fe0c72be589840b3 - P45
건강하고 활동적인 노년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하루 세 끼 양껏 먹는 밥 대신 세 번 운동으로 심신을 단련해야 한다. 달리기뿐 아니라 걷기, 수영, 자전거, 헬스 등 어떠한 운동이라도 좋다. 하루라도 먼저 시작하면 1년이라도 더 정정하고 건강한 100세 시대를 맞이할 수 있다. - <달리기의 모든 것 >, 남혁우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fe0c72be589840b3 - P45
처음 달리기를 접할 때 발생하는 가장 큰 오류는 달리는 속도나 거리에 집착하는 데 있다. 자기 맥박수를 알고 그것을 바탕으로 최대심박수를 구한 후 그것으로 몇 퍼센트 범위에서 운동할지를 결정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한 시간에 6km를 갈 수 있는 속도, 즉 6km/hr에서 자신의 목표심박수에 이르렀다면 그것이 자신에게 맞는 강도인 것이다. 달리기는 남과의 비교가 아닌 어제보다 나은 나를 만드는 데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 <달리기의 모든 것 >, 남혁우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fe0c72be589840b3 - P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