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로 다리를 절단해야 하는 사람들 중에 ‘로테이션’ 수술법이 있다고 합니다. 운동을 했거나 젊은 사람들에게 나중에 더 잘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리고 합니다.

실제로 본 적은 없습니다. 이 만화에서 처음으로 알게 됐습니다.

그래서 이 방법으로 수술 한 거 아냐?
운동하기엔 이 수술법이 더 나으니까.
이 수술법을 로테션이라고 하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래 내용을 보니, 버스회사 적자, 버스기사 임금 협상 난항 등의 이슈는 배당금에 있는 게 아닐까 합니다.

어떤 구조로 계약이 되어 있고, 어떤 연유로 민간자본이 투입됐는지 모르겠습니다.

배당금이 영업이익보다 많다니, 만65세 이상 노인들이 버스를 공짜로 이용하더라도 문제가 없는 것 아닌가요?

매번 만65세 이상 노인의 대중교통 이용을 문제 삼는 건 이런 민간 자본이 흘리는 걸까요? 애초에 민간자본과 계약할 때, 최소한의 이용금액을 보조하기로 했을 때 그 최소 금액을 잘못 정해놓고 노인들이 공짜로 타기 때문에 적자라는 터무니 없는 문제제기는 더 이상 나오지 않았으면 합니다.

대중교통에 투입되어 있는 민간자본을 공공자본으로 전환하는 게 어떨까요. 그리고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 같은 흉내만 내는 정액제가 아니라 프랑스, 독일, 홍콩 등 여행객이 많이 방문하는 나라의 요금제를 검토해서, 여행객, 비즈니스 방문객들의 요금을 높이고 국민들과 시민들의 요금을 더 낮추는 게 좋지 않을까요?

솔직히 만39세까지 시민과 40세 이후의 시민을 나누는 기후동행카드 요금제는 정말로 이상합니다. 무엇을 기준으로 나눴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래 ‘차파트너스’ 같은데서 투입한 자본을 공공자본으로 전환하고 배당금을 밖으로 빼내지 않고 다시 공공버스를 운영하는데 투입한다면, 많은 사람들이 더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지 않을까요? 버스 기사 연봉도 오를 것이고. 국민이 낸 버스 요금이 누군가에게 배당금으로 입금된다는 데서 놀랐습니다.

서울, 인천, 대전시의 준공영제 버스회사 17곳(서울 6곳, 인천 9곳, 대전 2곳)은 ‘차파트너스’라고 하는 사모펀드가 주인이다. 차파트너스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영업으로 425억원을벌은후 497억원을 배당금으로 가져갔다. 버스회사가 이익보다 더 많은 돈을 배당해도 존속할 수 있는 이유는 버스 준공영제하에선 어떻게 버스 회사를 운영해도 적정 이윤을 보장해주기 때문이다. 인천공항 고속도로, 서울 외곽순환고속도로 북부 구간, 천안-논산 고속도로 등도 비슷한 자본 설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난한 찰리의 연감 - 버크셔 해서웨이의 전설, 찰리 멍거의 모든 것
찰리 멍거 지음, 피터 코프먼 엮음, 김태훈 옮김 / 김영사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려운 문제인제 쉬운 문제인지를 알아보는 것, 어떤 문제라도 답을 알기까지는 많은 공부와 실력이 있었겠지요.

우리는 어려운 문제를 풀어서가 아니라 풀기 쉬운 문제를 찾아서 성공한 겁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irefox 2025-07-05 20: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좋은 글 잘봤습니다. 저도 재미있게 읽은 책이었는데, 제가 봤던 부분에서 놓인 부분을 petites님의 리뷰를 보면서 다시 한번 리마인드 하면서 잘 읽었습니다. 행복한 한 주 되시길 바랍니다.
 
가난한 찰리의 연감 - 버크셔 해서웨이의 전설, 찰리 멍거의 모든 것
찰리 멍거 지음, 피터 코프먼 엮음, 김태훈 옮김 / 김영사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대에는 심리학에 대해 알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일단 부딪쳐가면서 체득하고 싶은 마음이었달까요?

이제는 충분히 시간이 흘렀으니, 그리고 심리학적 조종에서 자신을 지키기 위해 심리학을 공부해봐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1년에 나온 책이군요.
우리나라에도 안내견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았던 시기일 것 같기도 합니다. (다음에 찾아서 업데이트 할게요.)

<TV 동물농장> 인가요?
은퇴한 안내견들이나 강아지가 안내견이 되기 전에 가정집에서 적응하는 얘기들을 본 적이 있습니다.

안내견 덕분에 생활 반경이 넓어지고 어떤 일을 할 수 있게 되는 건 멋진 일인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