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누군가가 더 좋은 걸 받는다는 이유로 아무 이상없는 먹이를 버리는 것은 우리가 불공평하게 배분한 돈을 거부하는 모습이나, 약속했던 1데나리온을 받고 툴툴거리는 모습과 닮아 있다. 이런 반응들이 어디에서 오는 걸까? 아마 협동을 하면서 진화했을 것이다. 다른 이들이 뭘 받는 지 신경쓰는 것이 하찮고 비이성적인 듯 보일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손해 보지 않도록 해준다. 어느 누구든지 부당하게 이용당하지 않으려고 하고, 무임승차자를 막으려고 하며, 남들이 자신의 이익도 중요하게 생각하도록 하려 한다. 이런 행동은 동물들이 맞대응식 거래를 해왔던 만큼 오랫동안 유지된 행동일 수 있다는 점을 우리의 실험이 처음으로 보여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족관에서 돌고래들은 관리인보다 한 수 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탱크 안의 쓰레기들을 주워 오도록 훈련받은 한 돌고래는 사기극이 들통 날때까지 포상 물고기를 축적했다. 이 돌고래는 신문지나 종이 상자 같은 큰 물건들을 물속 깊은 곳에 숨겨놓고, 거기서 조금씩만 찢어서 조련사에게 하나씩 갖다 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들은 마음을 읽기 전애 ‘가슴(heart)’을 잘 읽어낸다. 아주 어린 나이에 이미 사람들은 원하는 것이나 필요한 것이 있으며 모든 사람이 반드시 똑같은 것을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건 아니라는 걸 알고 있다 (...)
우리는 이러한 능력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지만, 모두가 이 능력을 사용하진 않는다는 걸 눈치챈 적이 있는가? 내가 말하려는 사람들은 성인이다. 누구나 알고 있겠지만 선물을 줄 때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 어떤 친구들은 선물을 사러 나가고 ‘당신’이 좋아할 선물을 찾는다.(...) 나는 항상 돈을 얼마나 썼는지는 단지 부차적인 것이며 이 사람들이 분명히 나를 기쁘게 해주는 데 몰두하고 있다고 느낀다. 다른 종류의 친구들은 선물로 ‘자기’가 좋아하는 걸 갖고 온다. (...) 자신의 취향 이상을 생각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인간을 관점의 대가로 만든 수백만 년 동안의 진화를 거스르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덴마크 사람은 왜 첫 월급으로 의자를 살까 - 인생을 바꾸는 공간 활용법
오자와 료스케 지음, 박재영 옮김 / 꼼지락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보면서,
좀 더 인문학적인 내용이 있을거라고 기대했으나,
인테리어 사업자가 썼고,
인테리어 관련 기준이 몇 가지 있음.
그리고 덴마크집과 일본집 두 곳의 사진 몇 장.

그냥 편안한 블로그 글 같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자는 옆에 앉아서 꾸벅꾸벅 조는 노인을 바라봤다. 이 노인은 얼마나 여러 번 사랑하는 사람들을 잃어버렸을까. 여자는 노인들을 볼 때마다 그런 존경심을 느꼈다. 오래 살아가는 일이란, 사랑하는 사람들을 먼저 보내고 오래도록 남겨지는 일이니까. 그런 일들을 겪고도 다시 일어나 밥을 먹고 홀로 길을 걸어나가야 하는 일이니까.

- ‘미카엘라’, <쇼코의 미소>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