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이 되기 전에 명상을 만나라 - 명상하는 변호사 최순용의 직장인을 위한 명상 입문서
최순용 지음 / 수오서재 / 2025년 6월
평점 :
누구나 그렇겠지만, 마흔이 되는 시점이었으므로 인생 후반전을 어떻게 사는 게 의미있을지 깊이 생각했다. 이대로 후반전을 이어갈 것인가, 아니면 스스로에게 솔직하게 정말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의미를 찾을 것인가. 마흔 살을 ‘불혹’이라고 하는 이유는 누가 뭐라든 흔들리지 않고 자기 주관대로 결정을 할 수 있고, 결정을 내려야만 하는 나이이기 때문 아닐까. (p.127)
『마흔이 되기 전에 명상을 만나라』를 받아들고, 표지를 한참 바라보았다. 나는 40~41살, 이미 만으로도 마흔이 된 나이다. 그런데 마흔이 되기 전 명상을 만나라니. 마치 살짝 늦어버린 것은 아닐지 조바심이 살짝 일었다. 그래서 나처럼, 책 제목에 “난 이미 지나버렸는데?”하는 마음이 드는 분들게 미리 말해드리고 싶은 것은, 그러니 하루라도 더 빨리 이 책을 만나보시라는 말이다. 『마흔이 되기 전에 명상을 만나라』를 읽다보면 분명, 인생의 전환점인 마흔즈음에서 느끼는 것도 있을테고, 조금 더 나이를 먹었기에 느끼는 점도 분명 있을 것이다. 어찌보면 이제 진짜 40대를 시작하는 내게는 딱 시기적절한 책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얼마전 한 언니가 40살부터가 인생의 후반전인데 어떻게 보낼 계획이냐를 물었는데, 내 대답은 “70살이 되도 지금처럼 책을 읽고 필사를 할 수 있도록 눈도 몸도 건강을 유지하고, 새로운 관계보다는 내면에 집중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말을 했다. 그런 내 마음을 알기라도 하듯, 『마흔이 되기 전에 명상을 만나라』는 내게 “오늘의 나”를 알아차리고, 삶의 순간순간 배우며, 오늘을 조금 더 나답게, 가치있게 사는 법을 생각해보게 했다. 나이를 먹을수록 마음은 가벼워지고 입은 무거워져야 한다는 옛 말씀을 그대로 담고 실천하는 책이란 생각이 절로 들었다.
가장 마음에 닿았던 것은, 명상이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알아가는 일이라고 하신 부분이었다. 사실 마흔즈음은 직장에서도 가정에서도 가장 많은 역할을 요구받는 시절이라 생각한다. 마흔즈음부터는 내 스스로의 건강과 내면의 평화도 지켜야 하고, 자녀의 건강이나 안위, 교육도 해야하며, 부모의 건강과 안녕도 돌보아야 한다. 그런 마흔에게 명상이 사치라 느낄수도 있는데, 오히려 명상을 통해 오늘을 더 잘 살아가고, 있는 그대로를 감정없이 왜곡없이 받아들이는 태도야말로 담백한 삶을 만드는 방법이란 생각이 들었다. 많은 시간을 내기 어려운 현실을 반영해 하루 10분정도를 투자해 실천할 수 있는 명상 수행법도 무척 큰 도움이 되었다. 호흡이나 수면, 걷기나 먹기 등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접목할 수 있는 명상을 배우며 내가 나를 돌볼 시간이 없다는 것은 핑계밖에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 마음만 단단하다면 내가 있는 곳 어디든, 그곳에서 안정을 얻을 수 있지 않나.
명상이 스스로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선물이라는 작가의 말처럼, 나를 점점 비워내고 또 나를 점점 채워가며 내 안의 밀물과 썰물, 그리고 그 사이사이의 찰나들을 잘 관리하는 어른이 되어가야겠다. 『마흔이 되기 전에 명상을 만나라』덕분에 마음의 고요를 탐해볼 용기가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