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들의 양식은 어떻게 세상에 왔나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30
허버트 조지 웰스 지음, 박아람 옮김 / 휴머니스트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허버트 조지 웰스의 SF는 이제 한물 간 소설들이라고만 생각했었다. 이 소설을 읽기 전에는.

허버트 조지 웰스는 1900년대 초반에 아주 유명한 SF소설가로, 그의 소설은 그 당시에 대단히 센세이셔널했다. 하지만 그가 자신의 소설에 이용했던 과학이론들은 이제 너무나 오류가 분명해서 지금은 납득되지 않지만, 이 소설 '신들의 양식은 어떻게 세상에 왔나'는 2025년 현재에도 분명 그 의미가 존재하다.

물론 허버트 조지 웰스가 말하는 과학이론은 황당무계하다. 그는 과학자들이 생물들의 성장을 정체기 없이 직선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약물을 발명한 것으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러면서 저자는 '과학자'들에 대한 비틀린 유머를 사용하고 20세기 초반의 과학 연구에 대해 우스꽝스럽게 묘사한다. 특히 그는 과학자들의 실험에 대한 윤리적 책임의 문제를 질문한다.

하지만 그 무엇보다 백미는 그 당시 영국 사회를 수준높게 야유하면서 특히 자신과 다른 존재를 대하는 인간의 편협함을 비판하고 있다. 돈이 될 만한 새로운 물질에 대한 인간의 욕망과 그로 인해 탄생한 신인류에 대한 인간의 공격성은 특히 자신과 다른 타인를 용납하지 않고 배제하고자 하는 현재 인류의 모습을 그대로 묘사하고 있다.

솔직히 이 소설은 단순히 재미를 추구하는 SF소설이 아니라 인간 사회에 대한 대단한 통찰이 담겨 있어 왜 아직까지 이 소설이 알려지지 않았었는지 의아했다.

그야말로 허버트 조지 웰스에 대한 나의 편견을 깨버린 대단한 작품. 이래서 허버트 조지 웰스가 SF의 아버지라고 불리는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수저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28
나카 칸스케 지음, 정수윤 옮김 / 휴머니스트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인 나카 간스케는 나쓰메 소세키의 애제자입니다. 이 소설을 읽어보니 나쓰메 소세키가 나카 간스케를 아낀 마음이 충분히 이해가 가네요.

나카 간스케는 이 소설 '은수저'에서 병약하던 자신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돌보아준 이모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모는 너무나 마음이 착해 늘 손해만 보는 사람이지만 그만큼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화자는 어릴 뿐더러 너무나 병약하고 예민한 성품에 자잘한 손이 많이 가는 아이이지만 이모는 전혀 귀찮아하지 않고 화자를 돌봅니다. 그러면서 이모는 일본 어린아이들이 즐겨 노는 전통놀이를 화자에게 가르쳐주기도 하지요. 그리하여 화자와 이모와의 관계와 더불어 근대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전의 일본 사회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는 것도 이 소설을 읽는 재미입니다.

또한 이모가 화자에게 먹이는 일본의 전통 먹거리 또한 화자에게 깊은 추억거리를 남기지요.

이렇듯 누군가를 어릴 때부터 지켜보며 사랑해온다는 것은 따스한 마음입니다. 맛있는 것을 먹이고, 넘어질 때마다 안아주는 누군가의 마음은 성장해서까지 우리에게 큰 힘이 되어 주지요. 저자가 성장해서까지 맑은 마음을 지닐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모의 덕분일 겁니다.

나쓰메 소세키는 '은수저'를 저자인 나카 간스케보다 사랑했다고 합니다. 이모에게서 나온 마음은 스승에게로 이어지는 아름다운 관계 또한 이 소설의 백미입니다. 예, 정말 아름다운 소설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