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으로의 긴 여로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9
유진 오닐 지음, 민승남 옮김 / 민음사 / 2002년 11월
평점 :
이 희곡을 읽을 때, 분명 원문이 아니라 번역문임에도 불구하고, 작가가 온몸으로 고통을 느끼며 썼다는 느낌이 왔다. 그리고 이 희곡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되었을 때, 나의 느낌이 틀리지 않았음을 알았다. 이 희곡은 그야말로 저자 유진 오닐이 눈물로 쓴, 자신의 자전적인 글이며, 사후에 발표된 것이다.
이 극에서는 한 가족이 나온다. 한 때 촉망을 받았으나 결국 돈을 쫓다 진실된 배우로 올라서지 못하고, 결국 돈에만 매달리는 아버지, 배우인 아버지를 따라 다니며 정해진 거처가 없이 외롭게 지내다가 인색한 남편 때문에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마약에 중독된 어머니, 제대로 된 인생을 살지 못하고 알코올 중독에 빠진 형, 그리고 외국으로 떠돌다가 중병에 걸려 돌아온 둘째 아들. 이 가족은 저자 유진 오닐의 원가족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이들의 집 주변에는 짙은 안개가 커튼처럼 드리워져 있고, 이들의 인생은 너무나 고통스러우며, 가족들 각각은 서로의 상처를 회피한다.
나는 이 희곡을 읽으면서, 유진 오닐은 자신의 가족들을 이해하기 위해 이 글을 쓴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작가는 등장인물의 심리를 깊이 이해해야 하기에, 유진 오닐은 가족들 각각의 고통에 그야말로 뼛속깊이 고통스러웠고, 결국 용서와 연민으로까지 이르른다. 그 덕분에 이런 걸작이 탄생했으리라.
어쩌면 이 희곡은 유진 오닐 개인의 내밀한 이야기일지라도, 각각의 캐릭터는 인간 본연의 모습을 그려낸다. 그래서 이 희곡은 지금도 그 가치를 잃지 않는다. 그야말로 대단한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