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들 하고 있습니까 - 연애, 결혼, 섹스에 관한 독설과 유머의 촌철살인
기타노 다케시 지음, 권남희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2015년에 그의 책을 구매해서 읽었었다. 도서관에서 빌려 읽은 줄 알았는데 의외다. 책을 본 적이 없는데 본가에 있나보다. 그 당시 굉장히 재밌게 읽었었다. 그 때는 기타노 다케시씨에 대해 잘 몰랐다. 


 작년 12월에 읽은 책이다. 작년에 갑자기 기타노 다케시씨에 빠져서 그의 책들을 다 읽었다. 비싸게 거래되는 중고책까지 구입해서 다 보았다. 영화도 몇 편 찾아보았다. 그러나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에 빠져서 그의 영화를 안 보게 되었다. 


 작년에 읽은 책인데 이제서야 리뷰를 쓴다. 읽은 책 리뷰를 쓰는 버릇 때문이다. 읽은 지 오래 되서 어렴풋한 기억들 밖에 없다. 역시 재밌었다는 감정. 기타노 다케시씨는 역시 천재라는 생각. 속 시원하고 거칠것 없는 그의 입담. 여러모로 대단한 사람이다.


 좋았던 구절이 있었으면 페이퍼를 썼을텐데 페이퍼가 없다. 그냥 슥 하고 재밌게 읽었나보다. 나중에 다시 읽고 싶은 책이다. 


 19금 딱지가 붙어야하는 책이다. 연애, 결혼, 섹스, 인생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책이다. 솔직한 에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깊은 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60
엔도 슈사쿠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본 작가 엔도 슈사쿠의 마지막 장편소설이다. 독서모임 선정도서이고 소설 속 등장인물들이 인도 단체 여행을 떠나는 내용이라 흥미가 생겨서 읽었다. 


 나는 20대 초반에 인도배낭여행을 갔었다. 책을 읽으면 그 때 기록이 새록새록 나면서 재밌게 읽을 줄 알았는데 그렇지는 않았다. 모르겠다. 소설 속에서 딱히 인도가 생생하게 그려지거나 기억, 추억을 자극하거나 매혹적이게 느껴지지 않았다.


 평점이 높아서 기대했는데 내 스타일은 아니었다. 혹시 번역이 문제일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고전을 읽는데 너무 문체가 현대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문장이 딱히 좋지도 않았다. 번역가 유숙자 씨는 다자이 오사무의 <사양>, <인간 실격>에서 만난 적이 있다. 번역가의 문제는 아닌 거 같기도 하다. 


 내용이 너무 뻔하게 느껴졌다. 이야기란 모름지기 뒷 이야기가 궁금하고 예측을 벗어나야 재밌는 법이다. 그런 맛이 없었다. 


 매력적인 인물도 없었다. 다들 고뇌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평면적이다. 내용도 단조롭고 인물들도 단조롭다. 


 엔도 슈사쿠는 처음이라 생각했는데 간접적인 인연이 있었다. 그의 대표작 <침묵>을 원작으로 한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사일런스>를 재밌게 봤었다. 


 

 p.s 평점 5점 준 사람이 참 많다. 평점 3점 준 사람들의 감상이 나의 감상과 비슷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혈압은 병이 아니다 - 당신이 몰랐던 고혈압의 충격적 진실
마쓰모토 미쓰마사 지음, 서승철 옮김 / 에디터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12월 건강검진을 했다. 그날 컨디션이 안좋은 영향도 있었지만 아무튼 혈압이 높게 나왔다. 의사는 혈압약 처방을 이야기했지만 거부했다.


 고혈압 관련 책을 몇 권 보았다. 일본 의사가 쓴 책들이 많았다. <고혈압은 병이 아니다>도 일본 의사가 쓴 책이다. 여러 연구 결과와 고혈압에 관한 역사 이야기를 해준다.


 고혈압 기준치는 꾸준히 낮아졌다. WHO는 하루 아침에 자신의 주장과 기준치를 번복하기도 했다. WHO의 예산의 70%를 제약회사의 기부금이다. 고혈압 약은 제약회사의 주 수입원 중 하나이다.


 나이가 들수록 혈압은 높아진다. 이는 병리적 현상일까, 진화의 결과일까? 


 사람들이 혈압약을 복용하는 이유는 혈압약을 먹지 않으면 뇌심혈관질환 발생률이 높아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심근경색, 뇌출혈, 뇌경색 등 생명에 치명적인 질환이다. 


 그럼 과연 혈압약 복용은 뇌심혈관질환에 도움이 될까? 이 역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의견은 분분하다. 도움이 된다는 연구도 있고, 도움이 안된다는 연구, 오히려 해가 된다는 연구도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는 제약회사의 입김, 돈이 들어간다. 연구 결과라고 해서 무턱대고 믿기는 어렵다.


 일본 후생성(우리나라의 보건복지부에 해당)이 1992년부터 70세 이상의 고혈압 환자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있다. 실험군에는 고혈압 약을, 대조군에는 가짜 약을 줬다. 1998년 일부 언론의 비난 때문에 실험이 중단되었다. '고혈압 환자에게 가짜 약을 사용하는 건 문제' 라는 비난이었다. 실험 결과가 제약회사에게 불리한 결과가 나오자 이런 비난이 생겨났고 실험은 중단되었다. 1998년 까지의 실험 결과는 이렇다. 혈압약을 사용한 사람과 사용하지 않은 사람의 사망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뇌졸증이나 심근경색의 발병률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암 발생률이 혈압약을 투여한 그룹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다른 연구에서도 혈압약을 복용한 사람이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가 1.14배에서 1.3배 높다는 결과가 있다. 혹시 고령자가 혈압이 높아지는 원인은 암에 대한 면역력을 높이기 위한 진화결과가 아닐까? 그 외에도 떨어지는 장기, 신체능력 등을 보완하기 위한 진화결과가 아닐까 싶다.


 어쨌든 적당한 혈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다만 너무 쉽게 약에만 의존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당장 고혈압을 복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큰 위험이 따르는 것은 아니다. 혈압약 복용 전에 음식, 생활습관 개선 등을 통해 혈압을 먼저 조절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투자를 어떻게 할 것인가 - 성공하면 크게 얻고 실패해도 손해가 없는 단도투자
모니시 파브라이 지음, 김인정 옮김 / 이레미디어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워런 버핏과 점식식사를 한 모니시 파브라이의 책이다. 그는 버핏과 점심식사 이후 버핏, 멍거와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함께 저녁식사도 하고 브리지 게임도 한다고 한다. 


 그는 가치 투자자다. 이 책은 단도투자 법칙에 대해 이야기 한다. 책을 읽으면서 켈리 법칙에 대해서도 알게 되고 그에 관한 책 <머니 사이언스>도 알게 되어 요즘 재밌게 읽고 있다. 


 켈리 법칙은 수익과 배당률을 바탕으로 자산의 몇 프로를 투자할지 결정하는 법칙이다. 확률이 높을 수록 많이 투자해야 한다. 이는 투자, 사업, 도박의 기본이다.(투자와 도박은 비슷한 점이 많다) 물론 낮은 확률이 발생해서 잃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법칙을 계속 따른다면 최종 수익은 다른 방식보다 더 높을 것이다. 


 단도투자는 분산투자와 반대되는 방식이다. 위험이 낮고 높은 수익이 기대될 때 한 곳에 집중해서 과감히 많이 투자해야 한다. 워런버핏이나 많은 투자자들이 이야기하는 방식이다. 분산투자는 위험을 분산하지만 수익도 분산한다. 


 투자를 더 잘하고 싶다. 기업가치를 분석하고 싶다. <증권 분석>을 읽어봐야겠다. 간혹 어떤 기업에 많이 투자하고 싶은데 확신이 없어서 조금 밖에 투자를 못할 때가 있다. 좀 더 확신을 가질 수 있게끔 공부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거대한 차이 속에 살고 있다 - 작가 위화가 보고 겪은 격변의 중국
위화 지음, 이욱연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화는 <허삼관 매혈기>, <인생>, <형제> 등의 작품으로 한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중국 작가로 꼽힌다. 그의 에세이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를 읽고 그의 매력에 빠졌다. 큰 기대를 안고 <허삼관 매혈기>를 읽었다. 괜찮긴 했지만 기대보다 덜했다. 그래서 소설보단 에세이가 나랑 맞나 싶어서 <우리는 거대한 차이 속에 살고 있다>를 빌려 읽었다.


 역시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를 넘어서는 재미와 감동은 없었다. 처음에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에 나오는 내용과 겹치는 내용도 많아서 어리둥절 하기도 했다.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는 작가 자신의 어린시절 이야기를 소설처럼 풀어써서 재밌었는데 <우리는 거대한 차이 속에 살고 있다>는 주로 성인 때의 이야기들을 써서 그만큼 재미가 있진 않았다.


 그래도 위화가 다른 작품들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그의 통찰이 느껴져서 좋았다. 그가 이야기하고 추천한 소설들을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