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의 빛과 그림자


꽃그림자놀이 2015년 제11회 세계문학상 우수상 수상작


 박소연 저, 나무옆의자. 2015.


  

   어떤 종류의 소설을 읽는지는 개인의 취향이니까 진지함을 깔고 왜 읽는 거냐고 물어본들 그 대답에 특별히 반박할 이유는 없다. 또한 아무리 진지하게 물었다 해도 “재밌다”가 절반 이상의 답으로 돌아올 테니까.

   하지만, 소설을 왜 읽느냐라는 물음엔 좀 진지해질 필요가 있다. 간혹 그 물음은 ‘소설을 읽지 마’라는 전제를 깔고, 그것을 결론으로 하기 위한 질문일 수도 있으니까. 지금이 어느 때인데 그런 일이라고 할지 모르겠지만 어쩌면 한번씩은 들어보기도 했을 것이다. 가만 생각해 보면 그런 소리들은 사실은 ‘책을 읽어야 된다’라고 가르치던 학교에서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기도 하다. ‘학교에서는 읽지 마’, ‘자율학습 시간엔 읽지 마’, ‘시험기간엔 읽지 마’ ‘이런 소설은 읽지 마’ ‘그거 읽을 시간 있으면 교과서나 봐’.

   읽어야 한다고 말하지만 읽어야 할 책은 정해져 있고, 늘 목록화된다. 취향과는 상관없이, 취향을 찾을 여력도 없이 ‘읽어야 한다’는 책을 만나서 왜 그 책을 읽어야 하는지를 암기하고 나면, 내가 읽고 싶은 책을 찾을 수 있게 되는 건가.

  과거에나 지금에나 여전히 소설을 금기하고 천시하는 분위기는 있다. 지금은 성적에, 대학 진학에 ‘방해’된다는 이유였고 과거엔 ‘위험’하다는 이유였다. 여기, 이 책은 조선 정조 시대 소설을 금지하던 때, 소설을 읽고 쓰는 사람들을 둘러싼 이야기를 미스터리와 액자 소설 형식으로 담고 있다.


소설가는 세속의 지기(知己)라지 않나? 문체가 시대를 반영하는 그림자라면, 소설은 조선이 변하고 있다는 증거일세! 난 그 변화를 소설이란 방식으로 기록하고 싶어. p13


  정쟁이 심화되고 사회의 변화가 가속화되는 때, 사회의 사람들의 변화를 표현하고 싶어 하는 친구 최린의 얘기에 시골에서 스승의 조언에 따라 소설을 멀리 한 선비 조인서는 친구를 극구 말린다. 그러나 운명은 오히려 조인서로 하여금 소설을 읽고 쓰게 만든다.    

  조인서가 소설을 읽게 된 계기는 귀신이 나오는 집에 갇혔기 때문이다. 자발적인 갇힘이긴 하지만. 우연히도 겨울날 매화꽃에 홀린 조인서는 폐가를 방문하고 한 노인으로부터 그곳에 귀신이 없다는 걸 밝혀 달라는 제안을 받는다. 그곳에 얽힌 비밀을 밝힐 마음에 ‘유현당((幽玄堂)’이라는 폐가에서의 생활이 시작되는데 생계 때문에 소설을 써 세책점에 팔거나 중국 소설을 번역하게 된다.

  그의 일과는 소설을 읽고 쓰는 일과 집 안의 비밀을 밝히는 것이다. 그을린 소설책을 발견하면서 빈집에 얽힌 이야기와 자신이 왜 빈 집에 살게 되는지를 알게 되는데 모든 것은 ‘역모 사건’과 얽혀 있었다. 그리고 이 역모사건과 유현당의 이야기를 다룬 소설 『아수라』가 세간에 나온다. 이 큰 틀의 이야기 속에 조인서가 읽는 여러 종류의 소설이 실려 있는데 그 이야기들은 우리가 알던 설화, 민담, 소설 등의 이야기를 새로 각색한 형태다. 주된 이야기와 맞물려 이런 소설 속 소설을 읽는 느낌이 이 책의 핵심이기도 하다. 작가가 『천일야화』 속 셰에라자드처럼 이 소설을 썼다고 한 것처럼, 소설 속 이야기들이 과거와 현재의 옷을 입고 글 속에 잘 녹여 들어 있다. 작가는 이것을 제목의 꽃그림자놀이로 표현한다.


소설은 일종의 그림자놀이예요. 현실이 실체를 드러낼 수 없으니, 대신 그림자로 보여주는 거지요. 실체가 없으면 그림자도 존재하지 않지만, 그림자는 실체를 그대로 반영하지 않아요. 이 손으로 토끼도 되었다 여우도 되었다 하잖아요? 이런 묘미가 나를 소설로 이끌었나 봐요. 내가 살고 있는 현실을 비추면서도, 때로는 의도하지 않았던 그림자만의 재미있는 세계가 펼쳐지니 말이에요. p207


  누구에겐가 소설은 ‘도구’가 된다. 그것은 비밀을 드러내기 위한 욕망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그럴 때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재앙이 된다. 소설 속에 ‘이야기’를 담으려는 자와 이야기의 재앙을 피하려는 이가 맞붙을 때, 그것은 소설의 박해로 이어진다. 그것은 언제나 소설의 형식을 빌려 이야기를 담으려는 자는 억울하거나 소망을 가진 자이자 민중들이고, 억압하려는 이는 권력을 가진 자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소설을 읽는 폐인 중에 기생 계심과 최린의 여동생 란의 소설읽기는 남다르다. 계심은 소설 읽기를 통해 자신의 허한 마음을 달래고 자 하며 최란은 소설을 통해 사내들이 암글이라 천시하는 한글로 ‘조정에서 주도하는 문체반정과는 다르게, 수컷이 지배하는 조선의 문체를 바꿔보고 싶은 꿈’을 갖는다.


소설은 보잘것없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고, 섬세하고 부드러운 것의 힘을 증명하려는 문장일세. p12


  이 보잘것 없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들이 많을수록 탄압이 거세어진다. 탄압이 거세다는 것은 또한 소설이, 이야기가 가진 ‘힘’을 반증한다.


『아수라』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유현당의 옛 제자들이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려고 움직이고 있단 얘기를 들었어요. 유현당을 역모죄인으로 몰았던 노론은 긴장하고 있을 거예요. 오빠, 노론에는 소설 폐인이 많아요. 그들이 이 소설을 지켜보고만 있진 않겠지요. 『아수라』를 쓴 사람은, 유현당 집안과 사건의 내막을 훤히 아는 이가 틀림없어요! 노론이 손을 쓰기 전에 우리가 먼저 그를 찾아내 위험을 알려야 해요! p 174~175   


  소설이 가진 ‘힘’ 있다면 계속 이야기를 읽어야 하는 이유다. 문학이 죽고, 소설을 읽는 이가 시를 읽는 이가 점점 사라져간다고 해도. 어떤 이야기는 ‘금지’당한다 해도 그 금지의 이야기를 해나가야 한다.

  한강 작가의 맨부커상 수상 이후 소설 독자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기사를 봤다. 어쩌면 특정 작가에 한정된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오랜 세월의 박해를 견뎌온 소설이 다시금 그 명맥을 이거나가고 사람들마다마다 가진 꿈들이 소설 속에서 펼쳐질 수 있기를. 소설을 통해서 펼쳐질 수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짧을수록 좋은 이야기


  작가는 도시에 대해, 그리고 수십만 개의 좁고 더 좁은 골목에, 혼자 걷고 있는 사람에 대해 쓰고 싶었다고 말한다. 그들이 잠시 혼자였던  그 순간에 대해서.

  바쁜 도시, 바쁜 생활의 도시인의 잠시의 그 시간, 순간에 대한 이야기이기에 이야기가 짧은가. 짧은 소설이다. 그것두 매우. 그리고 일상에서 마주쳤음 직한 사람들의 모습이다. 그래서 말하자면 좋은 사람들인 건가.

  

그해 봄과 여름의 경계에서 내가 춥고 겁에 질려 있었다면, 춥고 겁에 질린 사람이 오직 나 하나뿐인 줄 알았기 때문일 것이다. p148~149 <그 여름의 끝>  


  수많은 사람들이 있고 당장 옆에도 함께 하는 가족들이, 애인이, 친구가 있지만 고독하고 외로운 시간이 있다. 또한 사람들이 많이 있어서 혼자이고 싶은 시간들이 있다. 순간이란 아득하리만치 짧아도 그 틈에 비집고 들어오는 감정의 내용들은 다양하다. 불안, 공포, 외로움, 편안함, 자유........그럼에도 변하지 않는 것은 지금은 혼자라는 것. 혼자의 시간에 무엇을 하고 어떤 생각과 느낌을 가질까.

  <비밀의 화원> 속 아내는 또 다른 자아를 만들어낸다. 그것은 소망이라고 해야 할까 욕망이라 해야 할까. 아내는 스마트폰의 세계에 빠져 점점 예전의 모습과는 다른 행동을 보인다. 그리고 아내가 비밀처럼 간직한 페이스북의 세상에선 아내와는 다른 누군가가 삶을 살고 있다. 아내인데 아내는 아닌 다른 누군가. 현실의 ‘나’가 아닌 위장된 ‘나’로 살아가는 가상 세계에 헤어나지 못하는 아내의 시간. 그것은 꿈꾸는 시간일까. 지치고 병든 시간일까.

  <말하자면 좋은 사람>의 짧은 소설 속에 등장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그렇다. 현실에서 ‘나’를 견디며 현실에서 벗어난 곳을 향해 내 마음을 두고 있는. 그렇게 그들은 삶을 견디고 있는 것인가. 이별하고, 취업을 위해 애쓰지만 힘들고, 시험에 낙방하고, 집을 구하기 위해 전전하며, 마이너스 통장은 여전하지만 그럼에도 ‘근근히’ 견디고 있는 그들.

  

 이럴 때 누군가 툭 어깨를 치며 “같이 가자!”고 말해주는 상상을 해보았다. 그러면 든든할까? 하지만 혼자도 나쁘지 않았다. p121 <아일랜드>


   이런 삶을 살고 있는 또 다른 누군가가 옆에 있어서, 그래서 위안이 될 리는 없다. 그런 삶을 같이 하고 있기에, 나 혼자 겪는 것이라서가 아니라 그런 삶 속에서 견디며, 버티며 같게 되는 ‘불안’을 공유하는 ‘누군가’가 위안이 되는 것이다. 그런 존재가 없다면야, 그때야말로 혼자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짧은 소설, 몇 페이지 안되는 이야기들을 담은 소설들을 몇 권 보고 느낀 생각은 이야기가 ‘짧아서 다행이다’였다. 그들 이야기가 희망과 아름다움을 향한 이야기가 아니라 힘겨운 삶의 현실을 다룬 내용들이 많기 때문이다. 짧은 소설들은 마치 ‘이렇게 힘든 현실이군요’를 말하는 수기들 같다. 그러니 슬프고 답답한 이야기는 짧을수록 좋다. 고되고 힘겨운 삶의 이야기는 길수록, 답답하다. 삶은 그런 것 같다. 쉽게 결정내리지 못하고, 정확히 이해가 되면서도 이해되지 않는 것.

 

 그녀는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모든 것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었고, 동시에 아무것도 이해할 수 없었다. p27 <견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레이먼드 카버 (Raymond Carver)


출생/사

1938년 5월 25일 미국 오리건 주 클래츠케이니 / 1988년 8월 2일 워싱턴 주 포트앤젤레스

활동분야

소설가. 시인

 

• 발 자 취 •  

• 저 서 •

1941(3세) 가족 모두 워싱턴 주 야키마로 이사

1956(18세) 야키마 고등학교 졸업. 아버지와 함께 캘리포니아 주 체스터의 제재소에서 일하고 돌아옴

1957(19세) 아버지가 신경쇠약에 시달림. 야키마에서 16세의 메리앤 버크와 결혼.

         약국 배달원으로 일하며 밤에는 야키마 커뮤니티 칼리지의 야간강좌 수강.

         배달 일을 하며 처음으로 시(詩) 잡지 읽음.

         12월 2일 첫 딸 크리스티나 라레이 출생. 아버지 정신과 치료 입원.

         에세이 <불>, <내 아버지의 삶>에 이 때의 경험을 기록함

1958(20세) 캘리포니아주 파라다이스로 이사하고 치코 주립대학의 강의 들음.

          10월 19일 둘째 아이 밴스 린지 출생

1959(21세) 존 가드너가 가르치는 치코 주립대학 101 문예창작반 수강.

1960(22세) 치코 주립대학 문예지 창간호 발간하고 편집.

          문예반 수강이 끝나자 캘리포니아 주 유레카로 이사하여 제재소에서 일함.

          홈볼트 주립대학으로 옮김. 문예지 2호(1960 겨울호)에 첫 단편 「분노의 계절」 실림

1961(23세) 6월 캘리포니아 주 아카타로 이사.

1962(24세) 첫 희곡 「카네이션」 홈볼트 대학에서 상연.

1963(25세) 문학사 학위 받고 홈볼트 대학 졸업. 여름 동안 UC 버클리 대학 도서관 근무함.

         아이오와 주의 아이오와 시티로 이사, 500달러 창작지원금 받으며 아이오와 작가 워크숍 수강

1964(26세) 캘리포니아로 다시 이주. 새크라멘토 머시 병원 수위로 일함

1967(29세) 봄, 파산 신청 함. 6월 17일 아버지 사망. 과학 리서치 협회 교과서 편집자로 취직함.

         캘리포니아 팔로 알토로 이사, 작가이자 편집자인 고든 라시 만남

         단편 「제발 조용히 좀 해요」 1967년도 「전미 최우수 단편소설」에 수록됨.

1968(30세) 아내 메리앤이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에서 장학금을 받게 되어 1년간 휴직 신청.

          가족 모두 이스라엘로 이주함. 6월 떠났다가 10월에 캘리포니아로 다시 돌아옴.

1969(31세) 2월, 협회 광고 담당자로 복귀. 술을 많이 마시기 시작함.

1970(32세) 아트 디스커버리 어워드 시(時) 부문 국립기금 받음.

단편 「60에이커」 1970 ‘최우수 잡딘 단편소설’ 리스트레 오름. 카약 북스에서 시집 ��겨울 불면�� 출간

캘리포니아 주 서니빌 이주. 9월 과학 리서치 협회 일자리를 잃지만 실업수당 받으며 집필 매진함

1971(33세) ��에스콰이어�� 6월호에 단편 「이웃 사람들」 게재. UC 산타크루즈 문예창작반 강사로 초빙

         캘리포니아 주 벤 로몬드로 이주. ��하퍼스 바자�� 9월호에 「뚱보」 게재.

1972(34세) 스탠퍼드 대학의 월러스 E. 스티그너 기금 받음. UC 버클리에 강사로 초빙됨.

         7월 캘리포니아 쿠퍼티노로 이주

1973(35세) 아이오와 작가 워크숍 강사가 됨. 아이오와에서 혼자 지냄. 단편 「무슨 일이요?」가 오헨리 단편상 수상작에 포함됨. 다선 편의 시가 「미국 시의 새로운 목소리」에 실림

1974(36세) UC 산타 바바라의 강사가 됨. 아이오와와 산타 바바라를 오가며 강의하지만 알콜 중독과 가정불화로 12월 UC 산타 바바라 대학 강사직 사임. 아내와 별거. 두 번째 파산 신청.

1976(38세) 카프라 프레스에서 시집 ��밤에 연어가 움직인다」출간. 메이저 출판사와 최초로 계약한 소설집 ��제발 조용히 좀 해요�� 맥그로힐 출판사에서 출간. 1976.10월부터 1977.1월까지 알콜 중독 치료를 위해 네 번 입원함. 쿠퍼티노의 집을 팔고 아내와 별거함.

1977(39세) ��제발 조용히 좀 해요��로 전미 도서상 후보에 오름. 캘리포니아 맥킨리빌로 이주.

    1977.6.2일 금주 결심함. 인생 전환점이 된 날로 평생 술을 입에 대지 않음. 술을 끊자 아내와 다시 합치며 11월 카프라 프레스에서 소설집 ��분노의 계절�� 출간. 텍사스 주 달라스에서 열린 작가회의에서 여성 시인 태스 캘러거와 만남.

1978(40세) 구겐하임 기금 수상. 아이오와 시티에서 아내와 함께 삼. 텍사스 대학으로 이사하여 함께 살 작정이었으나 아내의 다른 선택으로 결혼생활 파경. 8월 테스 갤러거를 만나 절친한 관계가 됨

1979(41세) 1월부터 엘 파소에서 갤러거와 함께 삼. 워싱턴 주 치마컴으로 이주. 9월 애리조나로 옮기고 테스가 애리조나 대학에서 강의 시작함. 시라큐스 대학 영문과 교수직을 제의받으나 창작에 전념해야 한다는 구겐하임 기금 조건 때문에 수락하지 않음

1980(42세) 아트 펠로우십 소설 부문 국립기금 수상. 테스와 시라큐스로 이사하여 보금자리 마련

1981(43세) 4월 랜덤하우스 계열사인 크노프사에서 출간한 두 번째 소설집 ��사랑을 말할 때 우리가 이야기하는 것�� 출간. 편집자 고든 리시가 카버의 반대에도 일부를 바꾸거나 삭제하여 1/3 길이로 축소됨

1982(44세) 테스의 취리히 대학 강의로 스위스로 감. 9.14일 스승 존 가드너 오토바이 사고로 사망. 10.18아내와 정식 이혼. 아내 메리앤 재혼하나 경제적으로 후원하기로 함

1983(45세) 4월 카프라 프레스에서 에세이, 단편, 시를 모은 ��불��출간. 전미 예술 문학 아카데미에서 주는 ‘밀드레드 앤 해럴드 스트로스 리빙 어워드’ 수혜자가 되어 5년간 5천 달러 받음. 기금 조건에 따라 시라큐스 대학 교수직 사임 9월 크노프 사에서 소설집 ��대성당�� 출간, 전미 도서상 후보에 오름

1984(46세) 전처의 친척들과 그밖의 복잡한 관계를 피해 포트앤젤레스로 이주. 혼자 살며 낮에는 시를, 밤에는 소설을 구상함. 테스와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을 여행. 소모집 ��그렇게 하고 싶다면�� 출간. ��대성당��이 퓰리처 상 후보에 오름

1985(47세) 랜덤하우스에서 시집 ��물이 다른 물과 합쳐지는 곳�� 펴냄. 테스와 영국, 아일랜드 등으로 여행을 떠나고, 영국에서 ��불�� 출간

1986(48세) 랜덤하우스에서 시집 ��울트라마린�� 펴냄. 겨울에 호주 여행

1987(49세) 단편 「심부름」 ��뉴요커��에 실림. 테스와 유럽을 여행. 9월 폐출혈, 10.1일 절제수술 받음

1988(50세) 암이 도져 시애틀에서 방사선 치료 받음. 6월 암이 폐로 전이됨. 테스와 네바다 주 리노에서 결혼. 7월 알래스카 여행. 포트 앤젤레스에 마지막 보금자리를 꾸미고 마지막 시집 ��폭포로 가는 새 길�� 준비함. 8.2일 오전 6시 20분, 아내 테스 곁에서 수면 중 사망.

소설집 『제발 조용히 좀 해요』

『사랑을 말할 때 우리가 이야기하는 것』

『대성당』

에세이·단편·시를 모은 작품집 『정열』

시집 『물이 다른 물과 합쳐지는 곳』『밤에 연어가 움직인다』

『울트라마린』

『폭포로 가는 새 길』


 ‘헤밍웨이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소설가’ ‘

리얼리즘과 미니멀리즘의 대가’ ‘체호프 정신을 계승한 작가’

로 불린다. 

……

……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 필립 로스 (Philip Roth) ■


출생/사

1933. 뉴저지 뉴어크/

활동분야

 

 

• 발 자 취 •  

• 저 서 •

1950. 위퀘이크 고등학교 졸업. 뉴어크 대학 입학

1951. 버크넬 대학으로 옮김. 교내 문학잡지에 작품과 비평을 실으며 논설위원을 맡음

1954. 버크넬 대학에서 영문학 학사. 단편

1955. 시카고 대학 영문학 석사. 8월 군 입대.

1956. 8월 부상으로 제대. 시카고 대학에 한 학기 강의 신청.

1956~1958. 시카고 대학에서 강의 맡음

1957. <뉴 퍼블릭>에서 영화와 TV 프로그램 리뷰어로 활동

1958. 시카고에서 맨해튼 남동쪽으로 이사.

1958. 「앱스타인」 <파리 리뷰>의 아가 칸 상 수상.

1959. 마거릿 마틴슨과 결혼.

     첫 소설질 『굿바이, 콜럼버스』 휴턴 미플린 문학협회상, 미국 문화예술회 기금 수상

1960. 9월 아이오와 대학 작가 워쿠숍에 교수단으로 참여.

     『굿바이, 콜럼버스』로 전미도서성, 전미유대인도서협회 수여하는 다로프상 수상

1962~1964. 프린스턴 대학에서 강의맡음

1963. 포드 기금 수혜. 이혼.

1967. 뉴욕 주립대학 스토니브룩 방문교수

1969. 굿바이, 콜럼버스 영화화

1972. 포트노이의 불평 영화화

1976. 영국 여배우 클레어 블룸과 지속적인 관계. 일년의 반은 런던, 반은 코네티컷 생활

1981. 모친 사망

1984.『유령작가』BBC・PBS에서 클레어 블룸 출연 Tv드라마 <미국의 장난감집>으로 각색

1987. 컬럼비아 대학과 러트거스 대학에서 명예 박사.

    『카운터라이프』로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 수상. 런던에서 미국으로 돌아옴

1988. 헌터 대학 방문교수. 『카운터라이프』로 전미유대인도서성 수상

1989. 하트퍼드 대학에서 명예 박사.. 부친 사망

1990. 클레어 블룸과 결혼

1991. 『유전』으로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 수상

1993.『샤일록 작전』으로 펜/포크너 상 수상,

1994.『샤일록 작전』<타임> 선정 올해의 베스트 소설.

     체코 정부로부터 카렐 차페크 상 수상. 이혼.

1998. 『미국의 목가』로 퓰리처상 수상, 국가예술훈장

2001. 『휴먼스테인』으로 펜/포크너 상 수상. <타임> 선정 ‘미국 최고의 소설가’,

      체코 정부로부터 <프란츠 카프카> 상 수상

2002.『휴먼스테인』으로 프랑스 메디치 해외 도서상 수상. 전미도서재단 메달 수상.

     미국 예술문학아카데미 골드 메달 수상

2005.『미국을 노린 음모』로 미국 역사가협회상 수상

2006. 『에브리맨』펜/포크너 상, 펜/솔로 상 수상

2011. 맨부커 인너내셔날 상 수상

 

2002년에는 존 더스패서스, 윌리엄 포크너, 솔 벨로 등의 작가가 수상한 바 있는, 미국 예술문학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Letters) 최고 권위의 상인 골드 메달을 받았다.

필립 로스는 전미도서상과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을 각각 두 번, 펜/포크너 상을 세 번 수상

했다. 2005년에는 “2003∼2004년 미국을 테마로 한 뛰어난 역사소설”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미국을 노린 음모』로 미국 역사가협회상을 수상했다.

또한 펜(PEN) 상 중 가장 명망 있는 두 개의 상을 수상했다. 2006년에는 “불멸의 독창성과 뛰어난 재능을 지닌 작가”에게 수여되는 펜/나보코프 상을 받았고, 2007년에는 “지속적인 작업과 한결같은 성취로 미국 문학계에 큰 족적을 남긴” 작가에게 수여되는 펜/솔 벨로 상을 받았다.

로스는 미국의 생존 작가 중 최초로 라이브러리 오브 아메리카(Library of America, 미국 문학의 고전을 펴내는 비영리 출판사)에서 완전 결정판(총 9권)을 출간.

 

1954. <시카고 리뷰>에 단편 「눈 오던 날」

1955. <에포크>에 「애런 골드의 경기」

1958. <파리 리뷰>에「유대인의 개종」「앱스타인」「굿바이, 콜럼버스」

1959. <뉴요커>에 「신앙의 수호자」, <코멘터리>에 「광신자 엘리」

1962. <뉴요커>에 「노보트니의 고통」, 『자유를 찾아서』출간

1963. <에스콰이어>에 「정신분석적 특징」

1967. 『그녀가 착했을 때』

1969. 『포트노이의 불평』

     <뉴욕타임스>선정 올해 베스트셀러

1970. <뉴아메리칸 리뷰>에 「허공에서」

1971. 『우리들의 갱단』

1973. 『위대한 미국 소설』,

  <아메리칸 리뷰>에 「카프카 바라보기」

1974. 『남자로서 나의 삶』

1975. 산문집 『나와 타인들 읽기』

1977. 『욕망의 교수』

1979. 『유령작가』

1980. 『필립 로스 소설집』

1981. 『주커먼 언바운드』

1983. 『해부학강의』

1985. 『주커먼 바운드』, 『프라하의 주연』

1986. 『카운터라이프』

1988. 자서전 『진실들』

1990. 『기만』

1991. 『유전』

1993. 『샤일록 작전』

1995. 『사바스의 극장』전미도서상 수상

1997. 『미국의 목가』전미도서성 후보

1998.『나는 공산주의자와 결혼했다』대사 도서상 수상

2000. 『휴먼스테인』

2001. 『죽어가는 짐승』

2004. 『미국을 노린 음모』

2006. 『애브리맨』펜/나보코프 상 수상

2007. 『유령퇴장』

2008.『울분』

2009.『전락』

2010.『네메시스』

 

……

……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 월 듀란트(William James Durant) ■


출생/사

1885. 11. 5. 미국 매사추세스 노스 애덤스/ 1981. 11.7 로스 앤젤레스, 캘리포니아

•활동 분야

역사학자, 철학자, 작가, 교수

 

•발 자 취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철학과 교수 미국 세튼홀대학교 교수

•저 서

1907~1911. 뉴저지 코나 카톨릭 부설학교, 뉴저지 세인트 피터스 칼리지, 컬           럼비아 대학 수학

         뉴저지 사우스 오렌지 소재 세튼 홀 칼리지에서 라틴어,

         프랑스어, 영어, 기하학 강의

1913. 뉴욕 페러 모던 스쿨 교수. 제자 아이다 카우프만과 결혼. 학교 사임

1917. 철학과 사회문제Philosophy and the Social Problem

1926. 철학이야기The Story of Philosophy

1927. 과도기 Transition

1929. 철학의 향연The Mansions of Philosophy

    (이후 철학의 기쁨The Pleasure of Philosophy으로 재출간)

1914. 컬럼비아대학 생물학과 철학 전공.

    뉴욕 장로교회에서 13년간 역사, 문학, 철학 강의

1930. The Case for India

1931. Adventures in Genius

1917.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 1년간 철학 강의

1935.  문명이야기 1권 동양문명

1921. 레이버 템플 스쿨(성인 노동자들을 가르침)을 조직, 강의

1926. 철학이야기 출간

1939 문명이야기 2권 그리스문명,  The Life of Greece

1944. 문명이야기 3권 카이사르와 그리스도Caesar and Christ

1927~철학이야기 출간으로 성공한 후 모든 작업 시간을 문명이야기에 매진.

1930. 이집트와 근동 인도 중국 일본 등 탐방. 동양문명의 토대

1950. 문명이야기 4권 신앙의 시대The Age of Faith

1953. 문명이야기 5권 르네상스The Renaissance

1932. 일본 시베리아 러시아 폴란드 등 방문

몇차례 유럽 방문하여 그리스문명 출간

1954. 이탈리아, 스위스, 독일, 프랑TM, 영국 연구

 

1968. <루소와 혁명>으로 퓰리처상 수상

1977. 자유의 대통령 메달

1957. 문명이야기 6권 종교개혁The Reformation

1961. 문명이야기 7권 이성의 시대가 시작되다The Age of Reason Begins

1963 문명이야기 8권 루이 14세 시대The Age of Louis XIV

1965 문명이야기 9권 1965 볼테르 시대The Age of Voltaire

1967 문명이야기 10권 루소와 혁명Rousseau and Revolution

1970. 삶의 해석:현대문학개관 Interpretations of Life : A Survey of Contemporary Literature

1975 문명이야기 11권 나폴레옹 시대The Age of Napoleon

 

1977 두 사람의 자서전 A Dual Autobiography

1981. 에이리얼 듀런트 83세 사망

2001. 역사 속의 영웅들Heroes of History

1981. 아내 사망 후 13일 96세 사망

2002. The Greatest Minds and Ideas of All Time

……

앎에는 지름길이 없다

……


“”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