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 모든 저녁이 저물 때
예니 에르펜베크 지음, 배수아 옮김 / 한길사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개의 이야기와 그 사이 4개의 막간극으로 구성된 책. 막간극에서는 이전의 이야기에서 일어났던 사건을 약간 바꿔 주인공이 죽지 않고 삶을 계속 이어가게 한다. 하나의 이야기라고도, 다섯 개의 이야기라고도 볼 수 있는 이야기.
전체 이야기는 폴란드 근방 갈리시아(갈리치아)에서 살던 한 유대인 여성의 탄생에서부터 죽음까지, 시기상 1차대전 이전부터 2차대전, 냉전 시대를 거쳐 독일 통일 이후까지를 다룬다. 폴란드 지역에서의 유대인의 탄압, 두 차례의 큰 전쟁과 스탈린 치하의 소비에트에서 살아남기, 이후 동독과 통일 독일에서의 삶..

한 인간의 삶은 여러 우연적 요소와 수많은 가능성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 소설의 구성은 주인공 한 사람이 아닌 그 시대의 여러 사람들의 삶을 짐작하게 한다. 역사가 단순히 개개인 삶의 합이 아닌 큰 트렌드라면, 소설은 그 사이사이를 채워주는 디테일이라고 할까. 그래서 소설이 좋고 이 소설도 좋았다.

하나의 삶에는 매번 생명을 앗아갈 수도 있는 전선이 얼마나 많은 것일까. 그 모든 전투에서 죽지 않고 살아남기란 참으로 어려웠다.

난 일상 내내 내 시체랑 같이 살아간다는 말이잖아, 안 그래? 자라고, 늙고, 그래서 언젠가 내 시체가 완성되면, 그러면 죽는단 말이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레이스 2022-01-19 19: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목이 너무 좋아요~^^

건수하 2022-02-28 02:11   좋아요 1 | URL
그레이스님 안녕하세요~ 제목이 멋지죠? 소설에서 제목의 의미는 멋지기만 하진 않지만... 표현이 참 멋져요 :)

(댓글이 많이 늦었네요 ^^;)
 

다시 폴란드 근방의 유대인 이야기를 읽게 되었다. 왜 요즘 자꾸 이쪽으로 수렴되는 것인지.

한 사람이 죽은 하루가 저문다고 해서, 세상의 모든 저녁이 저무는 것은 결코 아니라고.

한 아기가 살아있던 1초와 이제는 살아있지 않은 1초 사이에는 얼마나 긴 순간이 가로놓였는가. 그런 한순간과 한순간을 거르는 것이 정녕 시간일까. 아니면 다른 이름으로 불러야만 하는 그 무엇인데 아직 적당한 이름이 만들어지지 않은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자책] 화이트 호스
강화길 지음 / 문학동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확실히 한국 소설에는 비슷한 이야기일지라도 더 강하게 감정이입이 된다. 괴로운 이야기라도 담담하게 서술하려고 노력하고 비전을 직접적으로 제시하려고 했던 <여성과 광기>를 읽다가 이 책을 읽으니 바로 넉다운 되어버렸다. 강화길, 들어보기만 했었는데, 이렇게 내밀한 이야기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기가 그녀의 힘일까. 하고싶은 말이 많은데 그것들끼리 꼬여 가라앉아버렸다. 시간을 좀 두고 다시 마주해야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성과 광기
필리스 체슬러 지음, 임옥희 옮김 / 위고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떻게 처음부터 끝까지 다 훑기는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자책] 예술하는 습관 - 위대한 창조의 순간을 만든 구체적 하루의 기록
메이슨 커리 지음, 이미정 옮김 / 걷는나무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멀미가 심해 동영상도 보기 힘들 때에는 책을 듣는 것만이 할 수 있는 일의 전부다. 듣다가 깜박 잠들어버려 다시 앞으로 돌아가고 돌아가고의 반복이지만 그래도 뭔가 하고있다는 기분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글쓰기는 생각하라고 강요하는 것이다. 글쓰기는 뭐든지 끝까지 파헤치라고 강요한다. 굳이 말하지 않아도 다들 잘 알겠지만 난데없이 아주 쉽게 찾아오는 것은 없다. 그러하니 지금 당신이 생각하고 있는 것을 이해하고 싶다면 그것을 끝까지 파헤쳐야 한다. 내게 있어서 그렇게 끝까지 파헤치는 유일한 방법은 글쓰기다.


조앤 디디온

손택의 아들 데이비드 리프David Rieff는 훗날 이렇게 썼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어머니의 방식을 한 마디로 묘사해야 한다면 그건 ‘열의’였어요. 어머니가 보고 싶지 않거나 하고 싶지 않고, 알고 싶지 않은 게 없었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