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인도가 등장. 다음 챕터는 중국이다!



The River -Road 


인류가 강 주변에 살았던 이유에 강을 이용한 교역도 있었음을 이야기하면서

이때 바퀴는 사용하고 있었지만 고무는 아직 발견되지 않아 나무 바퀴를 사용했을 거라는 이야기를 한다.

아이들이 이런 부분 읽을 때 참 흥미로울 듯..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 강을 이용해 메소포타미아 내에서 교역을 했음은 물론이고

인더스 강 유역에 있던 도시국가들이 아라비아 해까지 나와서 메소포타미아의 도시국가들과 거래를 했다고 한다. 


이 책에서는 이 인더스 강 유역에 있던 문명을 Harappan 문명이라고 부른다고 하고 뒤에 citadel city의 대표적인 곳으로 모헨조다로 유적을 이야기하는데, 학교 다닐 때 배운 바로는 이 지역 문명을 '인더스 문명' 이라고 부르고 모헨조다로가 전기, 하라파가 후기 중심지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기록이 남아있지만 그 문자를 읽을 수 없어서 인더스 문명은 4대 문명 중 가장 덜 알려져 있다고 한다. 



이 도시 국가들에는 거대한 성이 있고 성 주변에는 성벽이 있었으며 성 주변에 벽돌을 구워 집을 지었다고 한다. 집에는 정원, 우물, 화장실과 배수시설이 있고 공중 목욕탕도 있었다고.. 



Large public baths, like big swimming pools, meant that everyone could stay clean and cool.



cool? 왜 쿨이지? 깨끗해서 깔끔하다는 뜻인가? 하고 생각해보니 저 동네는 더운 동네... 





The Mystery of Mohenjo-Daro




1750 BCE 쯤 모헨조다로는 버려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며 이 책에서는 그 이유에 대해서 사냥꾼과 찌르레기 이야기 가설을 제시하고 있다. 찌르레기 무리가 뭉쳐있으면 사냥꾼이 잡기가 힘들지만, 따로 있으면 사냥꾼이 잡기가 쉽다고.. 그래서 도시 국가들이 왕국을 이루지 않고 독립적으로 지냈던 인더스 문명은 외부 침입자의 공격에 취약했을 것이라고.



Together, they are free. But apart, they are supper!



이 책에서는 하라파와 모헨조다로를 구별하지 않고 있는데 하라파는 1500 BCE쯤 아리아인의 침공으로 쇠락했다고 하니, 하라파의 경우 위에서 이야기한 사냥꾼과 메추라기 무리 이야기가 적용될 수도 있겠다. 모헨조다로의 경우 1750 BCE쯤 버려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시기는 전에 적었던 (챕터 몇이었더라...) BP 연대로 환산하면 3700 yr BP쯤 된다 (1750+1950 = 3700).



홀로세 (11600 yr BP ~ 현재) 초기는 전지구적으로 기온이 높아지며 빙하가 녹는 시기이다. 상대적으로 대기 중 습도가 높고 강수량이 많다. 홀로세 중기까지 기온이 계속 상승하고 강수량이 여전히 높아 온대 지역 기준으로 대략 7000 yr BP (약 5000 yr BCE?) 쯤을 홀로세 중기 기후 온난기 (mid-Holocene climatic optimum) 라고 부른다. 이 때까지도 습윤한 기후가 지속되다가 후기 홀로세 (4000 yr BP 이후)에 접어들면서 기온이 좀 감소하고 기후가 상대적으로 건조해지며 강수량이 줄어든다. (위도에 따라 또 지역에 따라 연대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저 연대는 대략 중위도 지역 기준이다)

모헨조다로가 위치한 인더스 지역 (현재 파키스탄)은 현재는 강수량이 적은 건조한 지역이다. 홀로세 중기에는 살만한 곳이었겠지만 모헨조다로가 버려진 1750 BCE 그러니까 3700 yr BP 쯤에는 강수량이 줄기 시작해서 사람이 살기 좋은 환경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 유적이 버려진 데에는 이런 이유도 있을 수 있다. 


(나무위키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고... 찾아보니 이런 논문 도 있다)  


예전에는 역사에서 한 나라의 멸망 원인을 꼭 인간이 제공한다고 보았던 것 같은데, 폼페이의 경우도 그렇고 자연재해 혹은 기후 변화와 관련된 것이 의외로 많다. 발해의 멸망도 백두산의 화산 분출과 관계가 있을 지도 모른다고 보는 견해도 있었던 것 같고... 주요 원인이 무엇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겠지만 여러가지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역사 속에서 그런 예를 찾아보는 것도 흥미롭다. 




+ 이번 음원에서는 오디오북을 녹음한 사람의 맛깔난 (?) 연기를 접할 수 있다. 음원을 안 듣고 책만 읽으시는 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 이번 챕터는 꼭 들어보시라는...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리의화가 2023-09-18 18: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꼭 음원 들어보겠습니다^^
SOW 들으면서 동양 쪽 나오면 희한하게 더 집중되는 느낌이었어요ㅋㅋ 아무래도 더 가깝게 느껴져서이겠죠?
문자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문명의 유지 이후면에서 차이가 크더라구요. 문자가 있어야 기록이 생겨서 그것이 계속 전파될 수 있어서인듯합니다. 기후 이야기에 대해선 저도 공감합니다^^ 얼마 전 하버드 중국사 원-명 시기 읽으면서 9번의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해요. 안 좋은 기후와 내부 상황이 맞물려서 나라가 망조로 갔다는 이야기였어요!

건수하 2023-09-19 09:35   좋아요 1 | URL
중국이 궁금하기도 하면서... 그런데 오늘 아침엔 왠지 하기 싫어서 <워드 슬럿>을 들었어요 ^^

원-명 시기에 9번이나 어려움이 있었군요? 저는 그 시기를 대충 영웅문 3부 의천도룡기로만 파악하고 있습니다 (...)

명-청 때 소빙하기와 대충 시기가 맞을 것 같긴 합니다 :)

독서괭 2023-09-18 18: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연기가 나와요? 빨리 들어봐야겠어요 ㅎㅎ

건수하 2023-09-19 09:35   좋아요 1 | URL
길진 않은데 ㅋㅋ 웃겨요 혼신의 힘을 다한 연기!

책읽는나무 2023-09-18 21: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요즘 음원은 전혀 안 듣고 있거든요.
하...웃고 싶네요.
들어보겠습니다.^^

건수하 2023-09-19 09:36   좋아요 1 | URL
짧지만 굵은 연기랍니다. 나무님 맘에 드시면 좋겠네요.

단발머리 2023-09-19 20: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연 재해와 기후 변화로 인한 문명의 흥망성쇠에 대한 부분이 인상적이에요. 이제는 그게 문명 단위가 아니라 지구 단위라는 차이점이...
일본의 핵오염수가 언제 미국에 닿을 것인가, 남극에는, 북극에는 언제 닿을 것인가 ㅠㅠㅠ 우리는 어쩔 거인가 ㅠㅠㅠ
 

병렬독서 지양하고 있지만, 다음주 책모임을 위해 읽기 시작.

폰트, 편집이 좀 예스럽네.





댓글(15)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23-09-16 20:3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표지부터가 복고풍….

건수하 2023-09-16 21:41   좋아요 2 | URL
그래도 2018년에 나온 책이라는….

잠자냥 2023-09-16 21:57   좋아요 4 | URL
헐… 응답하라 1998인 줄 ㅋㅋㅋㅋ

은오 2023-09-16 22:58   좋아요 4 | URL
그와중에 꾸민다고 “다” 좀 비튼거 킹받아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왤케웃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도 옛날책인줄 알았는데.. 2018년책이라고 하시기에 저 출판사 책 둘러보고 오니까 죄다 저렇네요 ㅋㅋㅋㅋ

잠자냥 2023-09-16 23:23   좋아요 2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ㅌㅋㅌㅌㅌㅌㅋㅋㅋㅋㅋㅋㅋㅌㅌㅌ 아
비튼 “다”

건수하 2023-09-17 07:47   좋아요 2 | URL
굳이 왜 비틀었을까요…. 근데 표지 디자인 좀 별로지만 눈에는 잘 들어오는지 동거인 둘이서 왜 더이상 어머니가 없냐며… 아이는 진지하게 이 책은 엄마가 공부하고 싶어서 읽는 거야? 라며 관심을 보이긴 했습니다 ㅋㅋㅋㅋ

잠자냥 2023-09-17 09:25   좋아요 2 | URL
응 얘야 엄마가 어디 가려고…. ㅋㅋㅋㅋㅋㅋㅋㅋ

건수하 2023-09-17 10:02   좋아요 1 | URL
약간 불안?해하는 것 같았다는 ㅋㅋㅋ

유수 2023-09-16 22:57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 그 많은 오탈자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좋아합니다. 반가워서 뜬금 하트부터 나왔어요..!

건수하 2023-09-17 07:48   좋아요 0 | URL
오탈자도 많군요! 번역이 그닥 매끄럽진 않아 좀 아쉽지만 열심히 읽어보겠습니다 ^^

잠자냥 2023-09-16 23:24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수하 님 책 다 읽으시면 꼭 저 표지의 여인 자전거 타고 어디 가는지 좀 알려주세요.

건수하 2023-09-17 07:48   좋아요 1 | URL
소설도 아니고 그런 게 나올리가….

책읽는나무 2023-09-17 08:0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예전에 단발 님 서재에서 이 책 봤을 때 읽고 싶더군요. 리뷰 기대됩니다.^^

건수하 2023-09-17 10:02   좋아요 2 | URL
제가 요즘 쓰기에 저조하지만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단발머리 2023-09-19 20:04   좋아요 1 | URL
‘읽었어요‘ 그리고 ‘좋았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HARP 다 읽고 다시 아렌트-매카시-손택-디디온을 시도해 보기로. 근데 역시 문체가 어렵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오 2023-09-16 18:0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 이번에 읽은 책 두권에 연속으로 조앤디디온이나오더라고요..?? <에세이즘> <상황과 이야기> 그래서 궁금해졌어요! 저도 조만간 읽어봐야겠습니다 ㅋㅋㅋ

건수하 2023-09-16 19:10   좋아요 3 | URL
은오님 <날카롭게 살겠다, ~> 에도 나와요. 어렵지 않고 재밌으니 그것부터 보셔요~

얄라알라 2023-09-16 20:38   좋아요 2 | URL
디디온을 잠시 디디에 에리봉으로 착각했는데

은오님께서 바로 완전이름을 알려주시네요 ^^ 감사~~합니다!

단발머리 2023-09-16 19:0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딱 봐도 어려워 보입니다. 하하하하하하하...... 하하하!

건수하 2023-09-16 19:20   좋아요 3 | URL
단발머리님 안 읽으셨나요? 당연히 읽으신 줄 알았어요 ^^
 
















<Shamssi-Adad>


메소포타미아 남쪽에 Hammurabi가 있었다면, 북쪽에는 Shamshi-Adad 가 있었다. Shamshi-Adad는 티그리스 강 동쪽에 있는 Assur의 왕이 되었다. (History of the Assyrians - Wikipedia 에 의하면 Shamssi-Adad가 최초의 왕은 아니고 이전에 다른 왕조가 있었으며 Shanssi-Adad는 Assur 보다 서부에 있는 레반트 지역에서 온 외세 정복자였다고 한다) 그는 큰 신전을 지어 바람과 폭풍의 신을 섬겼고 이 신들이 힘을 빌려 전쟁터에서 이길 수 있기를 바랬다. 그는 온 세상의 왕이 되고 싶었다. 법으로 공정하게 지배하고자 했던 함무라비와 달리 그는 독재자였고, 자신의 법이나 명령에 의문을 표하는 자는 죽여 버렸다. 그의 제국은 the whole world ,아니 메소포타미아의 북부 전역에 걸쳐 있었다. 




Shamshi-Adad가 통일한 왕국이 이 지도의 Assyria와 Mari 두 영역을 합친 크기인 듯. 

(출처: Shamshi-Adad I - Wikipedia)



Shamshi-Adad의 아들들은 서로 싸우다가 함무라비에게 큰 도시 Mari와 Assur를 함락 당한다. 함무라비는 (당시 기준으로) 관용을 베풀어 자신의 법을 따르는 조건으로 지도자들이 계속 지배할 수 있게 하였다. 



The Assyrians agreed to obey Hammurabi 

- but all the time, they were thinking, "One day we will be free again- and we will try to conquer the world one more time."


 


<길가메시 이야기>


 














(전에 좀 읽어보려고 하다가 재미가 없어서 (...) 그만 읽은 길가메시 서사시가 짧게 요약되어 있다 - 역시 재밌진 않은 듯)



길가메시가 보통 다른 이야기에 나오는 영웅들과 다른 점은 cruel 하다는 점인 것 같다. 



Like all men, he became old and died. 

But his story was told to all the children of Uruk, and has been told to all their children, and has been told to all their children, and to their children's children, until this very day.


 

사람 (아니고 반신반인이라며)은 죽지만 이야기는 남는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아 2023-09-16 13: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길가메시 부분 재밌었어요ㅋㅋㅋㅋ 싸우다가 ‘친구하자˝ 했더니 바로 친구가 되는
단순함이라니ㅋ

건수하 2023-09-16 19:37   좋아요 1 | URL
전 개연성을 좀 중시하는지라… 영웅 이야기에 그런 걸 바라면 무리겠지만요 ㅎㅎ

독서괭 2023-09-16 17: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길가메시 너무 유명하지만 뭔 내용인지 몰랐어요. 책으로 본격 읽으면 재미없군요 ㅋㅋㅋ

건수하 2023-09-16 19:38   좋아요 1 | URL
재미없다고 듣기만 했는데 저도 시도해보지 않아서 모르겠어요 ^^;; 미미님은 재밌을 것 같다고 하시니 사람마다 또 다르겠지요?

단발머리 2023-09-16 19:0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until this very day........ 여서 우리에게까지 전해지는 길가메시 ㅋㅋㅋㅋㅋㅋㅋㅋ
저도 1회 도전 후 바로 접었다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건수하 2023-09-16 19:38   좋아요 2 | URL
도전을 해보셨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
 
















드디어 백래시를 완독했고, 


<정희진의 공부> 에서 정희진 선생님이 "지금 한국의 상황은 백래시라고 할 수 없다" 는 의미의 말을 하신 것을 다시 찾아 들어보려고 하는데 (짧게 언급되었지만)


저는 8월호라고 기억하고 있었는데, 8월호를 다시 들어보고 있지만 

(마지막으로 '무성애를 생각한다' 에피소드 듣고 있습니다) 찾지 못하고 있어요. 


혹시 몇월호의 어떤 에피소드에서 저 말씀 하셨는지 기억하시는 분은 댓글로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나무 2023-09-13 12: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래요? 그런말씀 하셨어요?^^

건수하 2023-09-13 13:03   좋아요 0 | URL
네.. 그래서 <백래시> 다 읽으면 관련해서 페이퍼 써야지! 했는데 못 찾고 있어요..

잠자냥 2023-09-13 13: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나름 최근 호에서 하셨던 거 같은데..(6,7,8호???) ㅋㅋㅋ
근데 저도 왜 그렇게 말씀하시는지 그 이유가 궁금했는데 딱히 설명은 안 하셨거든요?
그랬다가 지난번 강의때 하신 말씀으로 아, 맥락상 이것인가 보구나 하고 넘어갔다는..

건수하 2023-09-13 13:27   좋아요 1 | URL
8월인줄 알았는데 7월인가 싶기도 하고... 제목 보면 대충 알 줄 알았는데 기억이 안나네요 ㅎㅎ
지난번 강의때 하신 말씀을 좀 옮겨주세요! ^^

가서 잠자냥님 글 https://blog.aladin.co.kr/socker/14871555 을 다시 읽어보니... 한국은 ‘백‘ 할 것도 없단 얘기인가요? ^^;;

잠자냥 2023-09-13 13:34   좋아요 4 | URL
그리고 의외로 스페어타이어? 이런 부분에서 스치듯 말씀하셨던 기억.. 메인(?) 방송분이 아니라..
네, 한국은 젠더 의식이나 페미니즘에 관한 사회적 합의수준이 낮아서 ‘백‘래시 할 것도 없다는 맥락으로 파악했어요. (맨스플레인...그 부분하고 엮어서)

- 2023-09-13 17:35   좋아요 1 | URL
저도 잠자냥님 말로 이해!했어용~! 그런데 샘께 댓글로 한번 물어보는 것도 좋지않을까요? 저도 좀 더 듣고 퐛!

건수하 2023-09-14 09:28   좋아요 0 | URL
그렇게 이해하면 쉽게 넘어갈 수 있을 것 같은데
그때 선생님 뉘앙스가 그랬나.. 확인하고 싶어서 계속 찾고 있는데 찾으려니 못 찾겠네요.
아 답답...

그렇다고 아무 에피소드에나 댓글 달긴 싫어서 (...)

청아 2023-09-13 13:5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듣다가 나중에 특정 부분 다시 찾기 힘들어서 노트 정리를 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일단 생각만ㅋㅋㅋㅋ_)

- 2023-09-13 17:34   좋아요 2 | URL
미미님 맘 제 맘 ㅋㅋ

건수하 2023-09-14 09:29   좋아요 1 | URL
전 주로 이동중 들어서 그건... 미미님 쟝님이 해서 공유해 주시면 복습하겠습니다!!

단발머리 2023-09-14 11: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알려주고 싶습니다. 그러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건수하 2023-09-14 14:09   좋아요 1 | URL
마음을 감사히 받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