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공지다. 봄학기에 판교현대백화점에서 진행하는 '로쟈의 세계문학 다시 읽기'의 전반부(3월 2일-30일 매주 수요일 오후 3시 30분-5시 10분)는 '셰익스피어 다시 읽기'로 진행한다(https://www.ehyundai.com/newCulture/CT/CT010100_V.do?stCd=480&sqCd=003&crsSqNo=2313&crsCd=203006&proCustNo=P01238568). 셰익스피어 서거 400주기를 고려한 것으로 <로미오와 줄리엣>을 포함한 4대 비극을 읽을 예정이다. 번역본은 따로 지정하지 않지만, 가장 많이 읽히는 점을 고려하여 민음사판을 주로 인용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

 

1강 3월 02일_ <로미오와 줄리엣>

 

 

2강 3월 09일_ <햄릿>

 

 

3강 3월 16일_ <오셀로>

 

 

4강 3월 23일_ <리어왕>

 

 

5강 3월 30일_ <맥베스>

 

 

이어지는 후반부 강의에서는 나쓰메 소세키의 <도련님>부터 아서 밀러의 <세일즈맨의 죽음>까지를 다룬다(https://www.ehyundai.com/newCulture/CT/CT010100_V.do?stCd=480&sqCd=003&crsSqNo=24&crsCd=203006&proCustNo=P01238568).

 

6강 4월 06일_ 나쓰메 소세키, <도련님> 

 

 

7강 4월20일_ 루쉰, <아Q정전>

 

 

8강 4월 27일_ 다자이 오사무, <사양>

 

 

9강 5월 04일_ 조지 오웰, <1984>

 

 

10강 5월 11일_ 아서 밀러, <세일즈맨의 죽음>

 

 

16. 01. 31.

 

P.S. 이번 봄학기에는 대구점에서도 격주로 '로쟈와 함께 있는 셰익스피어' 강의를 진행한다(https://www.ehyundai.com/newCulture/CT/CT010100_V.do?stCd=460&sqCd=019&crsSqNo=8260&crsCd=203006&proCustNo=P01238568). 3월 11일부터 5월 27일까지 매월 2, 4주 금요일 오후(2시-4시)에 진행되며, 작품은 순서대로 <로미오와 줄리엣><베니스의 상인><햄릿><리어왕><맥베스><템페스트>, 여섯 편을 읽는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즈 2018-03-28 0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녁강의도 부탁드려요...


로쟈 2018-03-28 22: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셰익스피어 강의는 종료됐고요. 다른 저녁강의는 태그의 ‘강의‘를 클릭해보시길.~

이지영 2020-04-05 21: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광교 갤러리아 백화점 강의는 취소 되었어요..이제 일정이 없는건가요?

로쟈 2020-04-05 2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코로나 사태가 진정되면 여름에 개강할 수 있습니다.
 
 전출처 : 로쟈 > 서밍업과 인간의 굴레

7년 전 페이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안성의 양성작은도서관 프로그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란츠 카프카 평전이 새로 나왔다. 독일의 저명한 전기작가 뤼디거 자프란스키의 신잡 <프란츠 카프카>다. 요즘 강의에서 읽는 쿤데라는 작품을 작가의 전기와 연관지으려는 시도에 대해 단호한 거부감을 피력한다(이 거부감은 프루스트의 것이기도 하다). 작품을 읽지 않고 전기를 읽는다고 조롱하는데 그 예가 바로 카프카다. 물론 나도 카프카 작품을 읽기 전에 전기를 먼저 손에 드는 독자를 지지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반전기주의적 태도가 항상 온당하다고도 생각지 않는다. 작가와 작품 사이에서 양자택일해야 하는 것이 아닌 한 얼마든지 실용적인 선택과 절충이 가능하다고 본다.

카프카의 전기로는 라이너 슈타흐의 <카프카>(전3권)가 가장 상세하지만 분량상 쉽게 번역되진 않을 것 같고 차선이라면 자프란스키의 책이겠다. 독어로 쓰인 평전으로는 과거에 번역됐다 절판된 바겐바하의 최초의 카프카 평전과 함께 비교해서 읽어봐도 좋겠다(쿤데라는 바겐바하의 전기에 대해서도 비판적이다). 국내 저자의 책으로는 이주동 교수의 <카프카 평전>이 현재로선 비교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번 <프란츠 카프카>를 옮긴 편영수 교수는 앞서 막스 브로트의 <나의 카프카>도 우리말로 옮겼는데 이 역시도 쿤데라의 맹렬한 비판을 받은 책이지만 카프카에 관한 최측근의 기록이어서 요긴하다. 비록 브로트가 카프카를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는 게 쿤데라의 비판이지만 무얼 이해하지 못했던 것인지 음미해보는 것도 필요한 일이기에.

알려진 대로 브로트는 미발표 원고들을 소각해달라는 친구의 유언을 배신했다. 친구와의 약속을 어긴 셈인데, 만약 그 약속을 지켰다면 20세기 독일 10대소설에 꼽히는 <소송>과 <성>이 독일문학사뿐 아니라 세계문학사에서 빠졌을 것이다(그래도 <변신>의 작가로는 남았겠다). 배신은 비난받을 수 있지만(쿤데라는 용서하지 않을 기세다) 브로트의 경우도 그러한지는 따저볼 문제다. 카프카가 브로트의 배신을 미리 예견했을 수도 있다면 더더욱. 이 문제에 대한 자프란스키의 견해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오늘은 인생의 마지막날이 아니어서

7년 전에 쓴 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