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그녀를 사랑하는군요.
그건 아니고, 뭐랄까요, 그녀와의 추억을 아직 사랑하고 있기는 한 것 같아요. 
- P45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25-05-27 15:4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거 영화도 보셨어요? Our souls at night
제인 폰다와 로버트 레드포드 주연. 아직도 하는지 모르겠는데 저는 좋았어요.

딸기홀릭 2025-05-27 16:02   좋아요 1 | URL
오오 몰랐어요
마저 읽고 영화도 찾아볼게요
분명 저도 좋을것 같은 예감!
주연배우가 책분위기랑 잘 어울리네요

딸기홀릭 2025-05-27 16:04   좋아요 1 | URL
와우~! 넷플릭스에 아직 있어요! ^^
 

포획 대상_지구의 비밀 병기 ‘대한민국 중딩들‘
서식지_대한민국 고양시
외양적 특징_핏발선 눈으로 힘없이 걷는다. 유니폼을 입고 다닌다.
정서 및 행동 반응_슬쩍만 건드려도 공격성을 드러낸다. 감정 기복이 심하다. 지독하게 자기중심적이다.
- P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또 한 가지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중요한 사실이 있다. 사람들이 영양제를 구입할 때는 눈, 뇌, 관절∙∙∙∙∙ 이렇게 장기별로 효과를 얻기를 기대하지만, 사실 우리 몸의 노화는 전반적으로 비슷한 속도로 진행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눈 영양제로 흔히 복용하는 루테인과 지아잔틴은 대부분의 일반인에게 노화 연관 황반변성의 진행을 예방하는 효과가 없다는 것이 4천여 명을 대상으로 한 6년간의 무작위 대조 임상연구AREDS2, Age-Related Eye Disease Study 2를 통해 확인되었다.
- P165

건강한 당신, 그리고 건강한 지구를 향한 여정을 오늘, 지금 이 순간부터 시작해보자.
- P2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일불포화지방산은 탄소 사슬에 이중결합이 하나만 있는 것으로, 이 지방산이 많이 들어 있는 기름으로는 올리브오일, 아보카도오일 등을 들 수 있다. 다중불포화지방산은 탄소 사슬의 이중결합이 두 개 이상있는 지방으로, 이 지방산이 많이 들어 있는 식품으로는 생선, 견과류, 카놀라유, 해바라기유 등이 있다.
다중불포화지방산의 종류로는 유명한 오메가-3. 오메가-6가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오메가-6 와 오메가-3의 섭취 비율을 4:1 정도로 유지할 것을 권고하지만, 통상적인 현대 서양의 식이 연구를 살펴보면 실제 비중은 15:1 정도이다.
(...)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주요 질병에 의한 사망과 전체 사망의 위험성을 낮추고 지질 수치도 개선할 수있음을 제시했다. 특히 오메가-3 지방산의 일종이며 견과류와 콩(대두), 카놀라유에 많이 들어 있는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섭취는 전체 사망과 심혈관계질환 사망의 감소와 연관되어 있다는 연구들이 있다. 다만 관찰연구와 중재연구 결과들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하며, 보충제 형태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효과가 거의 없었다. - P133

오메가-3와 오메가-6 지방산은 둘 다 필수지방산이지만, 우리 몸이 자연적으로 만들어내지 못하기 때문에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만 한다. 이 지방산들은 세포막의 구성 성분이며 중추신경계 기능 유지에도 필수적이다. 또한 피부나 머리카락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에도 필요하다.
오메가-6 지방산은 몸에서 생화학적 변환 과정을 통해 염증 물질로 바뀔 수 있다. 반면 오메가-3 지방산은 항염증 작용을 한다. 이때문에 오메가-3와 오메가-6 지방산의 균형이 중요해진다. 
- P135

많은 사람이 불안해한다는 씨앗기름은 어떨까? 콩기름, 해바라기유, 카놀라유, 포도씨유, 참기름, 들기름 등 씨앗 기름은 염증을 만들기 때문에 절대 먹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모든 씨앗 기름이 똑같이 해로운 것은 아니다.
기름이 염증을 만드는 데 작용하는 요인은 다음 두 가지이다.첫
번째로는 오메가-3와 오메가-6의 비율이다. (...) 두번째는 기름 자체를 오래 보관하는 과정에서 산화되어 트랜스지방이 발생했거나, 고온의 조리 상태에서 트랜스지방이 생길 가능성이다. 올리브오일은 특히 산화안정성이 높아서 조리나 산화에 의해 트렌스지방이 생겨날 가능성이 낮지만, 콩기름이나 카놀라유는 산화안정성이 낮아 고온 조리 후 트랜스지방이 생겨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차갑고 신선한 카놀라유는 좋은 오메가-3 보충제가 될 수 있지만. 카놀라유에 튀긴 도넛이나 닭 요리는 트랜스지방 덩어리가 될 수 있다.
- P138

MIND 식사에서 추천하는 올리브오일, 생선 기름, 코코넛오일,MCT오일은 비교적 안전한 편이고, 동물성 포화지방이나 수소화된식물성 기름(트랜스지방), 씨앗 기름 등은 아무래도 멀리하는 것이좋다.
- P1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순당, 정제곡물, 붉은 고기 모두 인슐린 분비를 유발하며 노화의 가속페달인 엠토르mTOR를 활성화한다. 엠토르는 세포의 분열, 성장 근육의 단백질 합성 등을 관장하는데, 대사 과잉이 있는 현대인에게서 엠토르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생물학적 노화 속도가 빨라진다.
(...)
하지만 동물실험에서 엠토르를 억제했을 때 나타나는 좋은 효과는 대부분 먹는 습관만으로도 만들어낼 수 있다. MIND 식사나 블루존 식사처럼 콩으로 식물성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다. 반대로 동물성 단백질 섭취는 최소화해야 하는데, 붉은 고기에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 있는 류신, 이소류신, 발린을 비롯한 가지사슬아미노산 BCAA, Branched-Chain Amino Acid은 엠토르를 활성화하는 대표적인 성분이다.
- P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