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주의 책 DIGEST
7월 둘째 주, 삶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선을 얻었습니다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번주는 유독 보이지 않는 작은 것들을 다룬 책들의 한 주였습니다.
미생물, 균, 인공지능 그리고 나 자신.
이 작은 존재들이 얼마나 큰 의미를 품고 있는지 여러 분야를 통해 접하면서 보편적인 주제들이 새로운 시선과 언어로 제게 말을 걸어왔습니다.
우리는 책을 통해 나 자신을 돌아보고 다시 앞으로 나아갈 힘을 얻었습니다.
무더운 여름, 여러분에게 조용한 사유와 따뜻한 문장이 항상 함께하길 바랍니다.
다음주도 저와 함께 동행해주실 거죠?
(궁금한 책이 있다면 댓글에 달아주세요. 대신 읽어드리겠습니다❣)

■ 이번 주 <간밤에 읽은 책> 돌아보기
월요일 |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 – 멀린 셸드레이크
무심코 지나치는 작은 균류들이 세상을 어떻게 연결하고 있는지 풀어낸 과학책입니다.
보이지 않는 작은 것들이 생태계를 포함해 모든 것을 지탱하고 있는 진리를 마주하게 하며 우리 존재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보게 만듭니다.
화요일 | 『클라라와 태양』 – 가즈오 이시구로
인공지능 로봇 클라라의 시선을 통해 인간의 사랑과 외로움을 조명합니다.
클라라는 어쩌면 인간보다 더 순수하게 존재의 의미를 묻습니다.
사랑은 어디까지 가능한지, 신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존재와 감정에 대해 깊은 질문을 던지는 소설입니다.
수요일 | 『기자의 글쓰기 : 실전편 - 싸움의 기술』 – 박종인
뉴스가 아닌 진실을 기록하는 기자의 치열한 글쓰기 현장을 담은 실전 보고서입니다.
글을 쓰는 원칙부터 AI 활용법까지 글쓰기의 내면을 찬찬히 들여다보게 합니다.
목요일 | 『어차피, 내 인생 망해도 멋있게』 – 이현석
망해도 괜찮다는 한마디에 의외로 많은 위로와 위안이 담겨 있습니다.
도전보다 회복을 먼저 생각해야 하는 요즘, 자기 삶을 괜찮다고 말할 수 있는 용기를 북돋아주며 포기하거나 끝내자는 이야기가 아니라 덜 만족스럽더라도 나답게 살아가자는 현실감 가득한 에세이입니다.
금요일 | 『100개의 미생물, 우주와 만나다』 – 플로리안 프라이슈테터, 헬무트 융비르트
보이지 않는 존재들이 인류 문명을 만들어온 주체였다는 과학적 통찰을 안겨줍니다.
100개의 미생물을 중심으로 생명을 바라보는 시선을 확장시켜주는 과학책입니다.

■ 이번 주 <모든도서리뷰> 돌아보기
화요일 | 『그래도, 라이언』 – 카카오
카카오프렌즈 대표 캐릭터 라이언의 서사를 담은 첫 오리지널 그래픽 노블입니다.
둥둥섬이라는 왕국의 계승자였던 라이언이 자아를 찾아 떠나는 여정을 담아낸 작품입니다.
대사가 거의 없는 일러스트가 전부여도 라이언의 감정이 고스란히 전달되어 감정의 깊이감을 잘 녹여낸 만화책입니다.

■ 이번 주 <함께 읽는 시집> 돌아보기
수요일 | 『초혼』 – 김소월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부를수록 애절해지는 이름, 닿을 수 없는 이를 향한 애끓는 그리움의 시입니다.
절절한 그리움과 슬픔을 잘 담아낸 『초혼』은 죽음과 사랑 그리고 끝내 다 하지 못한 사랑이라는 사실을 또 한 번 느끼게 합니다.
♥
이번 주는 과학의 주라고 할 만큼 과학분야의 책이 가득했습니다.
이번 주, 당신의 마음을 훔쳤던 책은 무엇이었나요?
다음 주에도 알찬 책들로 들고 오겠습니다. 기대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