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째서죠? 왜 이 노트를 읽으면 안 된다는 겁니까?" "……오니까." "네?" "그것이 엿보러 오니까……."
세상에 기담과 괴담을 좋아하는 이는 많다. 무서운, 불가사의하고 기분 나쁜, 오싹하고 섬뜩한, 온몸의 털이 곤두서는, 너무나도 기묘한 그런 이야기를 특별히 좋아하는 사람들 말이다. 그중에서는 너무 좋아한 나머지 직접 괴이담을 수집하기 시작한 인물도 있다. 유명한 사례로는 중국 청나라 전기에 기록된 포송령(蒲松齡)의 《요재지이(聊齋志異)》나, 일본 에도시대에 정리된 네기시 야스모리(根岸衛)의 《미미부쿠로(耳囊)》 등이 있을 것이다.
포송령은 산동 지방의 문인으로, 소년기부터 수재로 이름났었지만 장성한 뒤에는 관직시험에 몇 번이나 낙방했으며, 그 좌절한 마음이 《요재지이》로 결실을 맺었다고 이야기되고 있다. 통행본으로 전 16권, 445편으로 이루어진 이 책에는 수많은 판본이 존재하고 있다.
네기시 야스모리는 고케닌카부(御家人株 ; 무사의 신분. 에도 시대에는 궁핍해진 무사가 신분을 파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며 표면적으로는 구입자를 양자로 들이는 형태로 권리를 넘겼다_역주)를 사서 네기시 가의 양자가 되어 그 집안의 장자권을 상속함과 동시에 두각을 나타낸 막부의 신하로, 재정을 담당하는 칸조부교나 행정 사법을 담당하는 미나미마치부교 등을 역임했다. 사도 섬을 다스리는 사도부교 시절부터 세상을 뜨기 직전까지 써서 남긴 것이 전 10권에 1천 편에 이르는 《미미부쿠로》다.
양자를 비교해가며 읽은 경우, 전자보다는 후자에서 실제로 피부에 와 닿는 공포를 느끼게 되는 것은 아마도 이 때문일 것이다. 국가나 시대나 문화의 차이가 아니라, 담겨 있는 이야기가 지닌 일상성의 차이 때문이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
이 책의 단서는 아직 내가 간사이 지방에 머무르며 편집자 일을 하던 시절, 모 기획을 위해 몇 번이나 만나서 의논했던 ○○대학 부속 T초등학교 교사인 토쿠라 시게루(利倉成留)에게 들은 이야기다. 그 남자와는 나이도 엇비슷하고 독서 취향도 유사해서 마음이 맞은 덕분인지 금방 친해졌다. 일 이야기를 하는 사이사이에 잡담을 하는 일도 많았고, 따라서 괴담이 화제에 오를 때까지 그리 많은 시간은 걸리지 않았다.
토쿠라 시게루는 쇼와시대(일본의 연호 중 하나로 1926년부터 1989년까지를 말한다_역주)가 얼마 남지 않은—나중에 생각해보고 안 것이지만—학생 시절의 어느 해 여름, M지방의 임대 별장지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던 중에 무서운 체험을 했다고 한다. 아르바이트 동료들과 함께 정말 오싹한 사건에 휘말리고 말았던 것이다.
"‘제거할 필요가 있는 나무뿌리’란 뜻의 노조키네를 베면, ‘엿보는 나무의 아이’란 뜻의 노조키네란 괴물이 나온다……. 그런 얘깁니까?"
"네. 다만 괴물이라고 해도 그것이 못된 사람에게 앙화를 내리는 것은 아닌 듯합니다. 그냥 나타날 뿐이고, 특별히 아무것도 하지 않습니다."
"무슨 말씀이죠?"
"베어서는 안 되는 나무인 ‘노조키네’를 벤 자는 이윽고 누군가의 시선을 받는 듯한 기분을 느낍니다. 하지만 주위를 둘러봐도 자신을 바라보는 사람은 아무도 없지요. 그래도 누군가에게 주시당하고 있다는 감각은 조금도 사라지지 않습니다. 그러다가 하루 종일, 언제 어디서나 그것의 시선을 느끼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대부분의 사람은 정신이 나가버린다……라는 모양입니다."
"안 보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이 노조키네에서 파생되었다고 여겨지는 것에 노조키메가 있다’라는 문장입니다."
"그 노트의 내용은, 절대 읽지 않는 게 좋을 거요."
처음에는 ‘내가 아이자와에게 직접 노트를 받았기 때문에 나구모가 기분이 상한 건가’ 하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런 말을 하는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런 것치고는 그의 어조가 미묘했다.
"어째서죠? 왜 이 노트를 읽으면 안 된다는 겁니까?"
"……오니까."
"네?"
"그것이 엿보러 오니까……."
말의 의미를 이해하기도 전에 팔뚝에 소름이 쫘악 돋았다. 다음 순간, 나는 5년 전에 있었던 기묘한 사건의 진상을 알았다는 기분이 들었다.
‘처음에 의도했던 민속학적인 조사기록과는 거리가 먼 내용이 될 것 같지만, 이번 체험을 글로 써서 남겨두기로 한다.’
아이자와 소이치가 쓴 그 첫 문장이 눈에 들어오자마자, 나는 이미 완전히 빠져들어 있었다. 그대로 끝까지, 단숨에 독파해버렸다.
다만 읽어나가는 중에 어떤 우연을 깨달았을 때에는 정말로 깜짝 놀랐다.
‘우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