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이 놀라운 여행을 하는 목적은 나 자신을 속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많은 것들을 보고 겪고 느끼면서 참다운 나 자신과 마주하기 위해서였다.
1786년 9월 3일 새벽 3시, 나는 아무도 모르게 휴양차 머물던 카르스바트를 조용히 빠져나왔다. 남국으로 향하는 나의 긴 여행을 누구라도 알게 된다면 꽤나 성가실 터였다. 여행의 동반자들을 꺼낼 때가 왔다. 아름답고 따뜻한 나라로 데려갈 자유로운 공기가 나의 시상을 부풀리고 이끌었다.
이 놀라운 섬의 도시 베네치아에 발을 들여놓게 된 것은 운명이었다. 나는 이미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가 주신 곤돌라 모양 장난감을 가지고 놀았던 것이다. 수로는 베네치아인에게 도로이자 광장이자 산책로이다.
드디어 라파엘로의 <성 체칠리아>를 보았다. 나는 그것이 그의 작품이라는 것 외에는 아무 말도 하고 싶지 않았다. 어쩌면 우리는 사라지더라도 이 그림만은 진정 영원하기를 소망하고 싶었다.
드디어 세계의 수도 로마에 도착했다. 모든 것이 상상했던 그대로인 동시에 새로웠다. 성인들을 위한 축제인 만성절을 로마에서 맞이하기 위해 르네상스의 고향 피렌체도 세 시간밖에 머물지 않았다. 축제는 소박했지만 미사는 꽤 마음에 들었다.
원형 극장과 판테온, 카피톨리노 언덕, 성 베드로 성당의 앞마당, 베로나 광장도 달빛에 비친 모습은 꼭 보아야만 한다. 로마에서는 태양도 달도 다르게 비추는 모양이다.
만월의 달빛 아래 로마를 거니는 아름다움은 겪어 보지 않은 사람은 상상조차 할 수 없다.
나폴리, 여기는 낙원이다. 로마에 있으면 공부하고 싶어지는데 여기서는 그저 즐겁게 지내고만 싶어진다. 비옥한 땅과 풍부한 산물이 느긋하고, 행복한 나폴리 사람을 만들어 낸 듯하다. 이곳 사람들은 늘 말한다. "나폴리를 보고 나서 죽어라!"
나폴리에는 ‘무위도식하는 떼거리’가 있다. 하지만 내가 이른 아침부터 관찰한 남국 사람들은 전혀 그렇지 않았다. 그것은 하루 종일 일에 매달리지 않으면 만사가 끝장난다는 북방인의 편견일지 모른다.
친애하는 벗들에게 소식 전합니다. 고백컨대 나폴리를 떠나는 것은 고통스러웠지만 저는 그제 로마에 잘 도착했습니다. 저는 점점 더 내면으로 깊숙이 빠져들어나 자신의 고유한 것과 내게 생소한 것들을 구분하는 법을 배우고 있습니다. 티슈바인이 그리고 있는 제 초상화는 잘 되어 가고 있습니다. 앙겔리카 부인도 제 모습을 그리고 있는데 신통치 못합니다. 곱상한 청년의 모습이긴 하지만 저와는 거리가 멀답니다. 이만. 1787년 6월, 로마에서
그리고 한 독일인과 미켈란젤로와 라파엘로 중에서 누가 더 뛰어난지 논쟁을 벌였습니다. 저는 미켈란젤로가 낫다 했고 그는 라파엘로 편이었는데, 결국에는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다 함께 칭송했답니다.
1788년 4월, 2년 가까운 이탈리아 기행을 마쳤다. 이탈리아에 와서야 나는, 나를 쓸모없게 느끼게 만들었던 지독한 상처들을 치유했고, 예술을 향한 뜨거운 갈증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었다. 결국 나는 내가 작가로 태어났다는 사실을 통렬하게 자각했다. 그것은 오직 작품을 써야만 한다는 절박한 깨달음이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