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인지 진실인지, 이 때 상처 입은 사람은 십여 명 정도였으나 쇼자에몬의 일격으로 죽은 건 일곱 명으로 거기에 스스로 목을 베어죽은 쇼자에몬을 더하면 한 번에 여덟 명이 죽은 게 되니, 이것도 저 무참히 살해당한 여덟 패주무사의 원념이라며 사람들은 두려워했다.

그런데 역사는 반복되는 것인지 최근 들어 이 산속 일개 외딴 마을의 이름이 전국의 신문에 실리는 일대 괴사건이 일어났다. 그리고 이 사건이야말로 내가 여기에 소개하려고 하는 괴사건의 직접적인 단서가 되는 것이다.

다지미 가에는 저 쇼자에몬 이래 대대로 미치광이의 유전자가 있어 요조도 젊었을 무렵부터 이래저래 잔학하고 난폭한 행동을 많이 했다. 요조는 나이 스물에 오키사란 여자와 결혼하여 히사야, 하루요(春代)란 두 아이가 있었다.

그 남자는 깃을 세운 양복을 입고 발에 각반을 묶은 짚신을 신고 하얀 머리띠를 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머리띠에는 불을 켠 상태인 막대기 모양의 회중전등 두개를 뿔처럼 꽂고 가슴에는 마찬가지로 불이 켜진 내셔널 회중전등을 마치 축시참배5)에 쓰는 거울처럼 매단 채 양복 위에 맨 허리띠에는 일본도를 차고 한손에는 엽총을 들고 있었다. 마을사람들은 그걸 보고 모두 기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니, 기겁하기도 전에 남자가 든 엽총이 불을 뿜자 잠시도 버티지 못하고 그 자리에 쓰러져버렸다.

"두 번 있는 일은 세 번 있지. 다지미 가의 선조인 쇼자에몬과 이번 요조, 두 번이나 그런 일이 있었으니 언젠가 다시 한 번 저런 무섭고 피비린내 나는 사건이 일어날 것임에 틀림없어."

팔묘촌에서는 지금도 아이가 떼를 쓰면 회중전등 뿔을 기른 도깨비가 온다고 으른다. 그러면 아이들은 부모에게 들었던 하얀 머리띠에 두 개의 회중전등을 꽂고 가슴에는 내셔널 램프를 매단 채 허리띠에는 일본도를 차고 한 손에는 엽총을 든 도깨비의 모습을 떠올리고 단번에 울음을 그친다고 한다. 그것은 팔묘촌 사람들에게 언제까지나 남아 있는 악몽이었다.

그리고 26년의 세월이 흘러 쇼와(昭和)6) 2×년. 두 번 일어난 일은 세 번 일어난다는 노인들의 말대로 팔묘촌에는 또다시 기괴한 살인사건이 잇달아 일어났다. 게다가 이번 사건에는 이전 두 사건처럼 격정적인 돌발사건이 아니라 묘하게 끈적끈적한 정체모를 살인이 계속해서 일어났기 때문에 팔묘촌은 왠지 모르게 섬뜩한 공포에 사로잡혔던 것이었다.

팔묘촌. 오오, 생각만으로도 오싹하다. 뭐라 말할 수 없이 불쾌한 이름이다. 뭐라 말할 수 없이 불쾌한 마을이다. 그리고 또한 뭐라 말할 수 없이 불쾌하고 무서운 사건이었다.

팔묘촌. 나는 스물일곱 살이 된 작년까지 그런 불쾌한 이름의 마을이 있으리라고는 꿈에도 몰랐다. 하물며 그처럼 불쾌한 이름의 마을과 내가 중대한 관계가 있다고 어찌 생각이나 했겠는가. 나는 어렴풋이 내가 오카야마(岡山) 현 태생인 듯하다는 건 알고 있었다. 그러나 오카야마 현의 무슨 군, 무슨 마을 태생인지 그처럼 상세한 것은 조금도 몰랐고 또 알려고도 하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추리소설이 줄 수 있는 모든 즐거움, 팔묘촌

긴다이치 코스케 시리즈 작품 목록

팔묘촌이란 돗토리(鳥取) 현과 오카야마(岡山) 현의 경계에 있는 산 속의 외딴 마을이다.

팔묘촌의 생업이란 숯 굽는 일과 소치기다. 소를 키우는 일은 최근 시작했지만 숯 굽는 일은 예부터 이 마을의 가장 주된 생업이었다.

팔묘촌, 얏츠하카무라(八つ墓村). 여기서 태어나 여기에 뼈를 묻고 대대로 오랫동안 이 이름에 친숙한 사람들에게는 별 기이한 느낌이 들지 않을지도 모르나, 처음 이 이름을 들은 타지방 사람들은 다소 이상한 이름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뭔가 기분 나쁜 유래가 있을 거라고 생각되지 않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일 또 먹겠어요. 더 못 먹겠어요"

 하고 겨우 거절을 하면 그 편은 내가 체면이나 하는 줄 알고 자꾸 권하니 그런 딱한 노릇이라곤 없었어요. 하는 수 없이 한 자리에서 열 개를 계속해 집어넣었더니 지금까지라도 슈크림이라면 머리가 흔들립니다.

 "무턱대고 먹으라고만 권하는 것은 야만적이에요."

"내야 체면으로 권했지만 당신의 위 주머니도 상당히 야만적이던데."

 하고 비꼬니 내가 체면 차려 억지로 먹은 줄은 모르는 심판입니다.

차와 나 - 금붕어의 일기
금붕어는 물만 마시고 사는 동물이다.
술 먹는 친구들은 나를 만날 때마다 금붕어 종족이라고 빈정댄다. 나 자신도 거기 대하여 아무런 이의가 없이 그냥 받아 치운다.

낙랑 다방기(樂浪茶房記)
운동 부족이 될까를 경계해서 학교에서 나가는 시간을 이용해 다방까지 걸어가고 다방에서 다시 집까지 걸어가는 이 코스를 작정하고도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하면서 부터는 여행(勵行)93)의 날이 차차 줄어져 간다.

집에서 학교까지 10분, 학교에서 다방까지 20분, 다방에서 집까지 30분가량의 거리 - 이만큼만 걸으면 하루의 운동으로 족하리라고 생각한 것이다.

다만 야키니쿠라는 이름이 초라하고 속되어서 늘 마음에 걸립니다. 적당한 명사로 고쳐서 보편화시키는 것이 이 고장 사람의 의무가 아닐까 합니다. 말이란 순수할수록 좋은 것이지 뒤섞고 범벅하고 옮겨 온 것은 상스럽고 혼란한 느낌을 줄 뿐입니다.

명천(明川) 태가(太哥)106)가 비로소 잡아 팔았대서 왈 명태(明太)요, 본명은 북어(北魚)요, 혹 입이 험한 사람은 원산(元山)107) 말뚝이라고도 칭한다.

 수구장신(瘦軀長身)108), 피골이 상접, 한 3년 벽곡(辟穀)109)이라도 하고 온 친구의 형용이다.

배를 타고 내장을 싹싹 긁어내어 싸리로 목줄띠를 꿰어 쇳소리가 나도록 바싹 말랐다. 눈을 모조리 빼었다. 천하에 이에서 더한 악형(惡刑)도 있을까. 모름지기 명태 신세는 되지 말 일이다.

산 사람이 먹고 산 사람 대접만 하는 것이 아니라 경(經) 읽는 경상에도 명태 세 마리는 반드시 오르고, 초상집에서 문간에다 차려놓는 사자 밥상에도 짚신 세 켤레와 더불어 세 마리의 명태가 반드시 오른다(그런 걸 보면 귀신도 조선 귀신은 명태를 좋아하는 모양이야!).

명태란 그러고 보니 요샛날 케이크 한 상자, 과실 한 꾸러미 이상으로 이용이 편리한 물건이었던가 보다.

망치로 두드려 죽죽 찢어서 고추장이나 간장에 찍어, 막걸리 안주로는 덮을 게 없는 것이 명태다.

끝으로 군소리 한마디.

 40년 전인지 50년 전인지 북미(北美)로 이민 간 조선 사람 두 사람이 하루는 어디선지 어떻게 하다가 명태 세 마리가 생겼더란다. 오래 그리던 고토(故土)114)의 미각인지라 항용 생각키에는 세 마리의 명태를 천하 없는 귀한 음식인 듯이 보는 그 당장 먹어 치웠으려니 하겠지만, 부(否)115)! 두 사람은 그를 놓고 앉아 보기만 하더라고.

겨우 젖이 떨어졌을까 말까 한 도야지 새끼를, 속만 그러내고 통으로 푹신 고아, 육개장 하듯이 피어서 국물에 먹는데, 이야기는 많이 들었어도 입을 대기는 비로소 처음이고, 처음이라 그런지 좀 애색했다.

하기야 연계(軟鷄)찜을 먹는 일을 생각하면 도야지 새끼를 통으로 삶아 먹는다고 별반 애색할 것은 없는 노릇이다.

더욱이 원숭이를 꽁꽁 묶어 불 달군 가마솥 위에 달아 매 놓고는 줄을 느꿔 발바닥을 지지고 지지고 한다 치면 요놈이 약이 있는 대로 죄다 머리로 오른다든지? 할 때에 청룡도(靑龍刀)로 목을 뎅겅 잘라 가지고는 골을 뽑아 지져 먹는다는 원뇌탕(猿腦湯)이란 것에 비한다면 애저찜쯤은 오히려 부처님의 요리라고 할 것이다.

사례를 받고 광고문을 억지로 쓰는 것이 아니므로, 먹은 포도주의 상표는 쓰지 않거니와 그 효과만은 보장을 하는 것이니, 누구 나처럼 수면에 힘이 들고 일로 하여 늘 피로한 이는 시험하기를 권한다.

다만 주객은 안될 말이요, 역시 나처럼 작은 잔 한 잔으로도 알콜 기운이 몸에 퍼지는 체질이어야 한다.

여름이 다 가고 가을 기운이 들도록 수박 맛을 보지 못한 나는 밖으로 나갔다. 불 같은 석양 고열(夕陽苦熱)에 비지땀투성이가 된 나의 마음은 그 청피홍심(靑皮紅心)128)을 상상하는 때 일종의 방향(芳香)129)이 어린 양미(凉味)130)를 느끼었던 것이다. 어른 어린애 할 것 없이 수박 구루마에 모여 섰다.

항아리 앞에 서서 들여다보던 나는 미구에 미각을 찌를 향긋하고도 달 양미(凉味)를 상상하고 은근히 침을 삼키던 아까의 내 그림자가 눈앞에 떠올라서 한바탕의 웃음을 마지않았다. 동시에 운명의 불가역도(不可逆睹)138)를 다시금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조선일보》, 1928년 9월 27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계용묵
소설가, 조선일보 출판부에서 근무
출판사 <수선사> 창립
본명은 하태용(河泰鏞)1904년 평북 선천 출생, 1961년 사망. 작품세계에 적극적이지 못한 방관자적인 자세가 그의 문학적 특징이자 한계라 할 수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대표작인 <백치 아다다>를 비롯해<청춘도>, <신기루>, <유앵기>, <별을 헨다> 등의단편소설과 한 권의 수필집 《상아탑(象牙塔)》이 있다.

김남천
소설가, 문학비평가
본명은 효식(植)
1911년 평남 성천 출생
1953년 북한에서 숙청
일본 유학 시절인 1929년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KAPF) 동경지회에 가입하였고, 1931년 제1차카프 검거 때 기소되어 2년간 투옥되기도 했으며, 1947년 월북하여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과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서기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공장신문>, <소년행>, <남매>, <처를 때리고> 등의 단편소설과 《대하》, 《사랑의수족관》 등의 장편소설이 있다.

김상용
시인, 교육자
호는 월파(月)
1902년 경기도 연천 출생
1951년 식중독으로 사망
일본 릿쿄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보스턴대학교 대학원에서 영문학을 연구했다. 보성고등보통학교 교사, 이화여전 교수, 강원도 지사, 이화여대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1930년 《동아일보》에 〈무상〉, <그러나 거문고의 줄은 없고나> 등의 시를 발표하면서 등단하였고,
에드거 앨런 포 등의 영미 문학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하기도 했다. 하지만 친일 성향의 시 3편을 써 논란이 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1934년 《문학》에 발표한 <남으로 창을 내겠오>가 오늘날까지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이 작품을 포함해 <서글픈 꿈>, <반딧불> 등27편의 시를 수록한 시집 《망향》, 수필집 《무하선생방랑기(無何先生放浪記)》 등이 있다.

노천명
한국의 대표 여류시인
1912년 황해도 장연군 출생
1957년 재생불능성 뇌빈혈로 사망
본명은 노기선이나 어릴 때 홍역을 앓아 죽을 고비를넘긴 후 ‘천명(天命)‘으로 개명하였다.
진명보통학교,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이화여자전문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이화여자전문학교 재학 시절인 1932년 <신동아>에 <밤의 찬미>, <단상> 등의 시를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때 친일 시를 쓰는 등 그녀의 문학 인생에 오점을 남기기도 했다.
그녀는 짧은 생애 동안 다수의 시를 남겼으며, 특히대표 작품인 <사슴>은 현재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널리 애송되고 있다.

방정환
아동문학가
호는 소파
1899년 서울 출생
1931년 신장염으로 사망
1922년 5월 1일 ‘어린이날‘을 제정하였고,  1923년3월 한국 최초 순수 아동 잡지 《어린이》를 창간하였으며, 1928년 ‘세계아동예술전람회‘를 개최하는등 어린이를 위해 평생을 바쳤다.
주요 작품으로는 <귀먹은 집오리>, <동생을 찾아서>, <까치옷>, <만년 사쓰>, <양초 도깨비>, <사랑의선물> 등이 있다.

백신애
소설가, 본명은 무잠(武岑)
1908년 경상북도 영천 출생
1939년 위장병으로 사망
1929년 《조선일보》에 박계화(朴啓華)라는 필명으로 단편소설 <나의 어머니>를 발표함으로써 문단에 데뷔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꺼래이>, <적빈>, <낙오>, <악부자> 등의 단편소설이 있다.

이병각
시인, 기자
1910년 경북 영양 출생
1941년 결핵으로 사망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KAPF)가 해체된 1935년 무렵부터 타계할 때까지 6년 동안 다수의 시, 수필, 소설, 평론 등을 남겼다.
주요 작품으로는 <연모>, <소녀> 등의 시가 있다.

이효석
소설가
호는 가산(可山), 필명은 아세아(亞細亞)
1907년 강원도 평창 출생
1942년 뇌막염으로 요절
그의 작품은 대체로 이국을 동경하는 엑조티시즘과 자연을 배경으로 한 원초적인 에로티시즘 성향 등이 드러난다.
주요 작품으로는 <분녀>, <산>, <들>, <메밀꽃 필 무렵>, <석류> 등의 단편소설과 《화분》 등의 장편소설이 있다.

채만식
기자, 소설가, 극작가
호는 백릉(白菱), 채옹(采翁)
1902년 전북 옥구군 출생
1950년 폐결핵으로 사망
역사적, 사회적인 상황을 신랄하게 비판한 풍자적인 작품을 주로 쓴 사실주의 작가라고 할 수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레디메이드 인생>, <치숙>, <미스터 방> 등의 단편소설과 《탁류》, 《태평천하》 등의 장편소설이 있다.
그는 광복 이후에 자전적 소설인 <민족의 죄인>을 발표하여 자신의 친일 행적을 인정하고 반성하였으며,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에서 채만식을 일제시대 친일 행위자로 결정하였다.

최서해
소설가
본명은 학송(鶴松)
호는 서해(曙海)
1901년 함북 성진 출생
1932년에 32세의 나이에 요절
신경향파 문학의 대표적인 작가로 처녀작인 <토혈>, 데뷔작인 <고국>을 비롯해 주요 작품으로는 <탈출기>, <박돌의 죽음>, <홍염> 등의 단편소설과 유일한 장편 소설인 《호외 시대》가 있으며, 어릴 적부터 가난했던 삶은 그의 문학에 근간을 이룬다.

수박
취미에 따라서 제각기 다르기는 할 것이로되 여름 과실로는 아무래도 수박이 왕좌(王座)를 차지해야 할 것이다. 맛으로 친다 해도 수박이 참외나 다른 그 어떤 과실에 질 배 없겠으나 그 생긴 품위로 해서라도 참외나 그런 그 어떤 다른 과실이 수박을 따를 수 없을 것이다.

천진에 가까울 만치 순한 빛이요, 연한 살이다. 아마도 자연의 제과품으로선 이 수박이 여름의 풍물 가운데선 가장 예술적일 것이다.

영리를 위하여 다량 생산을 목적하고 인공을 가하여 자연을 모독해서 조숙 시킨 것이 거의여서 수박 본래의 제맛을 다들 그대로 지니지 못했다. 심지어는 속을 붉게 만드느라고 애숭이에다가 물감 주사질로 성숙시킨 것도 없는 게 아니라니 도시 사람은 어쩌면 한 평생 수박의 제맛을 모르고 지나게 될는지도 모른다.

여름의 미각
여름은 채소를 먹을 수 있어 좋다.

시금치, 쑥갓, 쌈, 얼마나 미각을 돋우는 대상인가. 새파란 기름이 튀여지게 살진 싱싱한 이파리를 마늘장에 꾹 찍어 아구아구 씹는 맛, 더욱이 그것이 찬밥일 때에는 더할 수 없는 진미가 혀끝에 일층 돋운다.

먹는 데도 역시 그 운치가 반은 더 미각을 돋우는 것이어서 수박은 다락 위에서 꿀을 부어 한가히 먹어야 맛이 나고, 참외는 거적문을 들치고 들어가는 원두막 안에서 먹어야 맛이 난다. 그런 것을 서울선 기껏 골랐대야 따다 두어서 익힌 속 곤 놈을 그것도 마루 위에서 밖에 앉아 먹을 데가 없으니 제맛이 돋귈 리가 없다.

오늘도 김치는 또 굶었다.

가배6)
 요즘 알베르 티보데7)의 책을 한 권 사서 《소설 독자론》의 첫 혈(頁)8)을 펼치니까 이런 글이 나왔다. 피에르 루이9)가 어떤 재미스런 콩트 속에서 희랍 문명과 근대 문명이 쾌락(그에 의하면 유일의 가치 있는 것)의 수확으로서 선물한 것을 비교해 보고, 근대인의 새로운 일락(逸樂)을 단 하나밖에는 발명하지 못했다, 그것은 담배다, 라고 결론하였다.

이런 것을 읽다가 나는 펀뜻 벽초10) 선생의 《임꺽정》을 생각했다. 임꺽정과 그의 일당이 두주로 유흥을 하는 장면은 많지마는 담배를 피우는 대목은 본 기억이 없는 것 같다. 이것으로 미루어 보면 이조 명종 전후에도 끽연의 풍속은 없었던 것이 분명하다.

차라고 하면, 퍽 전에 고 호암12) 선생의 글에서, 이것이 이 땅에 들어오게 된 유래를 읽었던 것처럼 어렴풋이 생각되기는 하지만 기억이 도무지 확실치가 못하다. 그러니까 차에 대해서도 재미난 이야기는 가지고 있지 못하다. 임꺽정의 일당이 숭늉을 마셨던 것은 확실하지만…….

그러나 가배를 가장 애음(?)한 사람은 아마 오노레 드 발자크16)일 것이다.

"그는 오만 잔(杯)의 가배로 생활하고, 오만 잔의 가배로 죽었다"는 말도 있다. "나는 야반에 기상한다, 그리고 17시간 동안 원고를 쓴다" "나는 다섯 시간밖에 자지 않았다, 야반으로 정오까지는 제작에 소비하고 정오로부터 네 시까지 교정을 본다" 이러한 격렬한 노동 가운데서 그의 의식을 지탱해 준 것은 45잔의 가배였다고 한다. 51세에 드디어 죽었으나 20년 동안 백 권의 소설을 썼다.

그렇다고 흥분제는 일적(一適)도 안 마신다고 손님에겐 홍차를 주면서도 자기는 백비탕(白沸湯)17)을 마시는 장개석18)의 기질은 또한 나의 본 받을 바 못 되고…….

‘냉면’이란 말에 ‘평양’이 붙어서 ‘평양냉면’이라야 비로소 어울리는 격에 맞는 말이 되듯이 냉면은 평양에 있어 대표적인 음식이다. 언제부터 이 냉면이 평양에 들어왔으며 언제부터 냉면이 평안도 사람의 입에 가장 많이 기호에 맞는 음식물이 되었는지는 알 수도 없고 또 알려고도 아니한다.

모든 자유를 잃고 그러므로 음식물의 선택의 자유까지를 잃었을 경우에 항상 애끓는 향수같이 엄습하여 마음을 괴롭히는 식욕의 대상은 우선 냉면이다. 이렇게 되고 보니 냉면이 우리에게 가지는 은연한 세력은 상당히 큰 것이라고 보지 않을 수 없다.

선주후면(先酒後麵)25)이란 말이 우리 시골에 있다. 소갈비나 구워서 소주를 마신 뒤에 얼벌벌하니 고추를 쳐서 동치밋국에 말아 놓은 냉면을 먹는 맛이란 지내보지 않은 사람으론 상상할 수도 없는 기막히는 진미다.

냉면에는 꿩(雉) 이상 가는 것이 없다. 꿩볶이를 쳐서 동치밋국에 먹어 본 적이 없는 이는 냉면에 대하여 용훼(容喙)36)할 자격이 없다. 꿩은 겨울에 나는 동물이다. 냉면 맛이 겨울에 나는 것은 이 때문이 아닌가 한다. 꿩고기 쳐서 냉면을 먹어 보지 못한 겨울은 나에게 있어선 지극히 불행한 겨울이다.

전주(電柱) 하나 없는 마을! 아무 ‘바쁨’도 아무 ‘시끄러움’도 없는 듯한 봄 산촌에 끊겼다 이었다 호드기 소리가 들려를 와 잔디밭에 누워서 하늘을 처다보며 이 소리를 들을 때의 내 맘이 어떻더라 할가 슬픈 듯 애닳은 듯 하여간 울어버리고 말았네 그려.

조선의 봄! 조선의 그윽한 봄 정조(情調)! 오냐 하루쯤 배탈이 났다고 결근에 굴(缺勤屈)하고 이런 데를 꼭 한 번만 다녀오자 하는 죄 많은 음모를 자리 밑에서 하네.

산나물
먼지가 많은 큰길을 피해 골목으로 든다는 것이 걷다 보니 부평동(富平洞) 장거리로 들어섰다.

술의 생리
천하의 대장부들은 좋은 일이 있으며 좋다고 한잔, 궂은일이 있으면 또 마음이 상한다고 한잔…… 술을 생리는 지극히 복잡하다.

이러고 보면 남자들은 분명히 조물주에게서 은택(恩澤) 하나는 더 받은 셈이 되지 않나 모르겠다. 마귀가 씌워 가지고도 자기 마음에만 좋다면 그것은 그대로 그 사람의 즐거움에 틀림없을 게다.

원두막
백중(白中)79)이 되도록 모가 나가질 못하고 빽빽이 서 있는 모판이 있는가 하면 김장을 갈려고 품을 뽑고 밭을 매는 데가 있어 농촌 풍경도 얼쑹덜쑹하다.

빙수 1
"조선의 여름이란 낮에는 몹시 따가워도 저녁때의 서늘한 맛이 참말 좋아요."

더위에 시달려서 견디다 못하여 저 거리(街)에 들어가서 얼음을 먹을 밖에 없다고 열사(熱沙)의 위에 다리를 저는 사람처럼 허위허위 얼음을 구하러 가면 "오늘 기차 편에 얼음이 오지 않아서 오늘은 없습니다, 내일이나 가져오면 있지요" "날마다 기차 편에 얼음을 가져다 파니까요" 기가 탁 막힌다. 기차도 자동차도 다니지 아니하는 곳, 아주 얼음을 생각도 못 하고 온 여름을 지내는 시골을 생각하면 서울 같은 곳에서 마음대로 얼음을 먹고 사는 사람들은 감사해야 할 것이다.

기왓장이라고 땅바닥이 갈러지는 듯싶은 여름 낮에 시커먼 구름이 햇볕 위에 그늘을 던지고 몇 줄기 소낙비가 땅바닥을 두드려 주었으면 저으기 살맛이 있으련마는 그것이 날마다 바랄 수 없는 것이라 소낙비 찾는 마음으로 여름 사람은 얼음집을 찾아 드는 것이다.

경성 안에서 조선 사람의 빙숫집 치고 제일 잘 갈아 주는 집은 내가 아는 범위에서는 종로 광충교 옆에 있는 환대(丸大) 상점이라는 조그만 빙수점이다.

슈크림
벌써 신혼이라는 그러그러한 때가 저 먼 옛날같이 되어버린 이때에 새삼스럽게 달콤하고 아기자기한 신혼 여행기를 쓰라는 명령을 받고 펜을 들게 되니 공연히 웃음만 납니다. 대체 쓸 만한 거리가 기억에 남아있어야 될 터인데 잊어버렸는지 또는 눈을 감고 여행을 했는지 좌우간 여행기가 될 만한 것이 생각나지 않습니다. 여행기가 아니라 그저 생각나는 대로만이라도 쓴다면 다음과 같은 운치 없는 말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속에 들어가면 나무나 바위 뒤편에서, 길을 걷고 있으면 마을의 집 모서리에서, 집에 돌아오면 봉당의 구석이나 들보 위에서 그냥 빤히 그 사람을 엿보는 거지.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은 몇 주만 지나면 완전히 정신이 이상해져버린다고 하더라."

"그래, 맞아. 언젠가부터 마을 사람들 사이에서는 사야오토시 가에 ‘노조키메’라는 괴물이 나온다는 이야기가 돌기 시작했어."

"엿보는 나무의 아이인 노조키네가 엿보는 눈이란 뜻의 노조키메로 변하고 거기서 다시 엿보는 여자란 뜻의 노조키메가 된 건가. 이 경우에 계집 녀(女)자는 어머니와 같이 생매장당한 소녀를 나타낸다고 생각해도 되겠지?"

그런데 다음날부터 서로 민속조사 준비에 바빠져서, 제대로 얼굴도 마주하지 못한 채로 각자의 조사지로 떠나게 되고 말았다. 그때 하숙집에서 술잔을 주고받았던 것이 그와의 마지막 만남이 되리라고는 생각도 하지 못했다.

사야오토시 소이치가 조사지에서 객사했다는 것을 안 것은, 내가 민속조사를 마치고 도쿄에 돌아온 뒤였다.

"자기도 모르겠다더군. 다만 사야오토시 군에게는 그 무엇인가가 보였던 것이 아닐까……라고 했어. 왜냐하면 조사지인 하하(爬跛)촌이 있는 소류고(蒼龍鄕)는 옛날부터 빙의물 신앙이 번성했기 때문이라나. 정말이지, 민속조사를 뭘로 생각하는 건지……."

"빙의물 신앙……."

노조키메도 일종의 빙의물이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문득 그런 생각이 스쳤지만 일단 그런 말은 입 밖에 내지 않았다.

하지만 나는 와버렸다. 이 지방에, 이 마을에, 이 집에.

아니, 지금도 늦은 것은 아닐지 모른다. 이런 기록을 남기고 있을 짬이 있다면, 곧바로 여기에서 도망쳐야 하는 게 아닐까.

지도상으로는 소나이 촌에 가기보다 토모라이 촌의 난라이를 향하는 것이 가깝겠지만, 스쿠자 산지의 지형이 그것을 허락지 않는다. 그것 때문에 기차의 선로는 우회에 우회를 거듭할 수밖에 없어서, 승객은 멀찍이 돌아가는 것을 강요받게 된다.

놀랐던 것은 소나이 촌이 예상 밖으로 번화한 마을이었기 때문이었다. 산속의 조금 큰 마을 정도일 거라고 예상했는데, 꽤 활기찬 마을이었다. 이 정도라면 제대로 된 여관도 발견할 수 있을 것 같다며 나는 안도했다.

"아뇨, 평범하겠죠. 다만 토모라이 촌이란 곳은 토무라이 촌이라고 불리고 있는 동네거든요. 장례 지내는 마을이란 뜻으로. 그런 마을에서 장례식을 하는 날에 장래가 창창한 학생 같은 사람이 일부러 갈 건 없어요."

산길을 내려간 끄트머리 쪽에, 어느새 모였는지 십여 명 정도의 어린아이가 한데 모여서 이쪽을 올려다보고 있었다. 그 정도의 숫자가 있는데도 아무도 입을 열지 않고 조용히, 물을 끼얹은 듯 고요하게 나를 응시하고 있다. 어느 아이의 눈동자에도 예외 없이, 무서운 것, 꺼림칙한 것, 더러운 것, 경멸스러운 것, 소름 끼치는 것이라도 보는 듯한 기묘한 빛이 또렷하게 떠올라 있었다. 마치 어린아이들이 있는 쪽이 안전한 장소고 내가 향하려 하고 있는 곳이 금기의 땅인 것처럼…….

산길은 의외로 잘 정비되어 있었다. 마차나 승용차가 달리는 것은 힘들겠지만, 말이나 소에게 짐차를 달아 끌게 할 수는 있어 보였다. 이것은 토모라이 촌과 소나이 촌 사이에 적지 않은 왕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증거다. 그 사실을 내가 얼마나 든든하게 느꼈는지 모른다.

그런데 산길을 나아감에 따라 그런 안도감이 차츰 엷어지면서 다시 불안에 사로잡히기 시작했다. 처음에 산길에 들어섰을 때는 하늘이 보였는데, 어느샌가 울창하게 우거진 나무들 사이로 들어와 있어서, 아무리 걷고 아무리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을 지나도 깊은 숲에서 나갈 기미가 전혀 없었다.

안도한 것도 잠시뿐. 이번에는 길이 뱀처럼 갈지자를 그리기 시작한 탓에 앞길을 전혀 예측할 수 없었다. 눈에 들어오는 것은 왼편의 깎아지른 듯이 솟은 산자락과 오른편의 덤불 너머로 뻗어 있는 경사면, 그리고 뱀처럼 구불구불하게 이어지는 산길뿐. 그것이 마냥 이어지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고독에 젖어 있으면 사람은 감각이 이상해지는 듯하다.

‘유령의 정체 알고 보니 마른 참억새, 라는 속담이 있지…….’

생선의 경우에는 그 냄새가 부정한 것을 쫓는다고 옛날부터 믿어져 왔다. 가장 널리 보급된 사례는 절분(節分)에 정어리 머리를 현관문에 달아놓는 의례일 것이다. 그때 호랑가시나무 잎사귀도 사용하는 것은, 그 뾰족한 형태가 부적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삼나무 잎도 같은 이유라 할 수 있다. 마늘은 식물이면서도 생선처럼 강렬한 냄새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고추는 볶는 게 효과적인데, 저렇게 매달아놓는 것은 붉은색이 부적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아마 연어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선 과연 명가인 토다테 가라고 나는 감탄했다. 저 훌륭한 연어 토막만으로 색깔과 냄새라는 두 종류의 주술을 걸고 있다.

민속학상, 일단 빗자루란 말에서 떠오르는 것은 출산에 입회하는 빗자루신(神)일 것이다. 빗자루로 임산부의 배를 쓰다듬거나 발치에 세워두거나 해서 빗자루신을 불러 무사히 출산하기를 기원하는 의식이다. 하지만 한편으로 빗자루는 장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 출관한 뒤의 방을 쓴다는, 그야말로 빗자루로서의 사용법이다. 물론 이것은 청소를 하는 것이 아니라, 죽음의 때를 문자 그대로 쓸어낸다는 의미를 지닌다. 그 증거로 밖으로 쓸어내는 몸짓을 보인 뒤에는, 쓸어낸 나쁜 것이 돌아오지 않도록 서둘러 문을 닫아버린다.

결혼식 의상이나 장례식의 상복에 검은색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메이지시대 이후부터다. 서양에서 전해진 정장의 영향일지도 모르지만, 의복의 역사에 해박하지 못한 나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일본의 대부분의 지방에서는 아직도 백색이 주류다.

유족은 하얀색 물건을 몸에 걸치고 있기도 한다. 친족이 몸에 두르는 이 하얀색은 죽은 자가 입은 수의와 같은 색이다. 즉 저 세상으로 보내는 시신과 같은 색을 공유함으로써, 친족들은 죽은 자에게 몸을 붙이고 있다. 시신만이 홀로 저 세상으로의 여행을 떠나는 것이 아니다. 우리도 함께라는 증표인 것이다. 적어도 나는 어릴 적에 할아버지 할머니께 그렇게 배웠다.

"알겠습니까? 이 집에서 뭘 보고, 뭘 듣고, 뭘 느끼더라도 무조건 모르는 체를 해야 합니다. 아시겠습니까?"

"……무서워요."
문득 전혀 생각도 못했던 말이 소년의 입에서 흘러나왔다.
"소이치 형이? 죽은 소이치 형이 무섭다는 거야?"
다시 쇼이치가 고개를 끄덕였다.
"어째서?"
반상 앞으로 몸을 내민 나에게, 쇼이치는 소곤거리는 목소리로 대답했다.
"증조할머니를 데려갔으니까……."
"……."

‘이 집에서 뭘 보고, 뭘 듣고, 뭘 느끼더라도 무조건 모르는 체를 해야 합니다.’
어째서 주지는 내가 저것을 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던 걸까. 어째서 저것과 관계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던 걸까.

‘내가 길을 잃고 들어온 곳은 대체 어떤 세계일까…….’
그렇게 자문할 수밖에 없지만 아무리 물어도 결코 답은 나오지 않는, 그렇기에 더욱 더 자문하고 만다……라는 반복되는 악몽이 이곳에 있었다.
‘이곳이란 어디인가…….’

"당신에게 흥미가 있기 때문이겠지요."
"네?"
"이 마을 사람들에게 아이자와 소이치라는 학생은 외지인입니다. 그러니까 좋은 의미에서든 나쁜 의미에서든 흥미의 대상이 되는 법이지요."

오늘 오후에 난라이 집락을 걸으며 받았던 무시무시한 시선의 세례가, 그것을 증명하고 있던 것이 틀림없다.
"같은 원리가 노조키메에게도 적용되는 겁니다."
"즉, 제가 보기 드문 존재라서……."
"네, 맞습니다. 그러니까 가장 좋은 방법은 상대하지 않는 겁니다. 저쪽이 싫증 날 때까지, 모르는 체하고 상관하지 않는 겁니다."

주지가 지적한 대로, 기이치와 노리코의 장송 행렬은 코노에 씨 때와 비하면 참여자가 확 줄어 있었다. 아무리 무라하치부 당한 집이라도 관혼상제만큼은 다르다는 상부상조 정신이 어느 마을에나 존재한다고 앞서 말했는데, 그곳에 괴이에 대한 전승이 얽히면 역시 보통 때처럼 되지는 않는 듯하다. 실제로 줄초상이 나고 있으니 마을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안이한 태도로 그들을 비난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상대가 부조리한 괴이 현상이어도, 이론이 전혀 통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이 말과 조금 의미는 다르지만, 아이자와 소이치의 대학노트를 읽는 내내 나는 계속 생각하고 있었다. 그의 문장에는 기록되지 않은 뭔가를, 필사적으로 읽어내려 하고 있었다. 어떤 사실을 깨달았던 탓이다.

지사이란 나라시대부터 헤이안시대에 걸쳐 중국의 당나라에 파견된 견당사의 배에 반드시 태웠던 인간을 말한다.

지사이는 배의 뱃머리에 서게 되는데, 옷차림에 신경 쓰는 것이 일절 허락되지 않았다. 그렇기에 머리는 제멋대로 자라고 몸에는 땟국이 흐르며 옷은 넝마 같은 상태가 된다. 게다가 육식과 여자를 가까이하는 것이 금지된 채로 완전히 방치되어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는 사람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항해가 성공하면 보수를 받을 수 있지만, 바다가 거칠어져서 조난의 위험이 생기면 바다의 신에게 바치는 제물로서 바다에 던져질 운명이었다. 즉 지사이의 존재 자체가 견당사의 배를 바다의 재앙으로부터 지키는 주술이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