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승전》이란 표제 아래 붙어 있는 ‘향토와 민속’이라는 소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 일본 각지에 남아 있는 기이한 풍습, 전설, 민화 등을 모아 놓은 것으로, 집필자도 소수의 유명인 외에는 대개 무명의 투고자로 이루어져 있다.

문장은 유치해도 사실의 진귀함과 흥미로움에 신선한 재미가 넘치고 또한 배우는 것도 적지 않다고 한다.

쇼와(昭和) 28년(1953년) 9월호에 게재된 글로, 제목은 ‘귀수촌 공놀이 노래에 관하여’라고 되어 있고 지금은 그 지방에서도 거의 잊혀 가는 공놀이 노래를 흥미롭게 고증해 놓은 글이다. 필자는 다타라 호안이란 이름인데 이 잡지만으로는 다타라 호안이 어떤 인물인지 알 수 없다. 분명 투고한 글일 것이다.

귀수촌 공놀이 노래

집 뒤뜰에
참새가 세 마리 앉아
한 마리 참새가 말하기를
우리네 처소의 주군님
사냥 좋아해, 술 좋아해, 여자 좋아해
그중 제일은 여자라네.
여자답고 어여쁜 술잔 집 아가씨.
어여쁘지만 술고래인 술잔 집 아가씨.
잔1)으로 어림잡아 깔때기로 마시고
아침부터 밤까지 종일 술에 절어
그래도 모자란다며 퇴짜 맞았네.
퇴짜 맞았네.

1) 잔(되): 원래는 액체나 곡물의 분량을 잴 때 썼던 방형 혹은 원통형 용기였으나 언젠가부터 축하 자리에서 술을 나누는 잔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두 번째 참새가 말하기를
우리네 처소의 주군님
사냥 좋아해, 술 좋아해, 여자 좋아해.
그중 제일은 여자라네.
여자답고 어여쁜 저울 집 아가씨.
어여쁘지만 구두쇠인 저울 집 아가씨
요 금화 저 은화를 저울에 달아서는
종일 감정하느라 밤낮이 저물고
잠잘 틈도 없다며 퇴짜 맞았네.
퇴짜 맞았네.


세 번째 참새가 말하기를
우리네 처소의 주군님
사냥 좋아해, 술 좋아해, 여자 좋아해
그중 제일은 여자라네.
여자답고 어여쁜 자물쇠 집 아가씨.
어여쁘지만 돌계집인2) 자물쇠 집 아가씨.
돌계집 아가씨 자물쇠 고장 났네.
자물쇠 고장 나면 열쇠가 안 맞지.
열쇠가 안 맞는다 퇴짜 맞았네.
퇴짜 맞았네.

잠시 끝이 났습니다.

어여쁘지만 돌계집인(器量よしじゃが小町でござる): 고마치(小町)는 헤이안 시대의 가인이자 절세미인이었던 오노노 고마치(小野小町)에서 따온 말로 ‘이름 높은 미인’을 일컫는 표현이다. 하지만 ‘어여쁘지만 이름 높다’는 의미라면 ‘어여쁘지만’ 뒤에 부정적 표현이 들어간 1연, 2연의 형식과 어울리지 않는다. 덧붙여 속설에 따르면 실존 인물인 오노노 고마치는 아름다웠지만 여성의 기능을 상실한 인물이었다고 한다. 그런 이유로 열쇠와 자물쇠가 각각 남녀 성기를 상징한 단어라는 견해에 따라 小町라는 표현을 ‘(여성의 기능을 상실한) 돌계집’으로 번역했다는 사실을 밝혀둔다.

여기서 귀수촌이라는 곳을 지도에서 조사해 보자.

그곳은 효고(兵庫) 현과 오카야마(岡山) 현의 경계에 걸쳐 있고 세토(瀨戶) 내해 해안선에서 불과 7리가 채 못 되는 거리이지만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이른바 주된 교통망에서 벗어난, 말 그대로 산간분지이다. 지도에서 보면 지형이든 교통이든 당연히 효고 현에 편입되어야 마땅한데, 구 막부 시대 지배지의 영향으로 오카야마 현에 편입되어 있는 게 특이하다.

그 때문에 범죄가 일어날 경우 수사상에 중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본고장인 오카야마 현 경찰로부터는 지형 등의 관계로 따돌림을 당하고, 교통이 편리한 효고 현측에서는 관할 밖의 일이라며 보고도 못 본 척하는 경향이 있어, 이제부터 이야기하려는 사건 수사의 경우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아니할 수 없다.

무감(武鑑): 무가(武家) 연감. 에도 시대에
무가의성명·계보·거성(居城)·봉록·가문
(家紋), 주된 가신의 성명 등을 기록한 책.

야나기노마(柳間)와 초산타이후(朝散大夫): 야나기노마는 도자마다이묘(外樣大名), 즉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 도쿠가와 지배 체재에 편입된 다이묘를 가리키는 말. 초산타이후는 종5품 이하의 관직명을 통칭하는 말. 즉, 야나기노마 초산다이후를 간단히 풀어 설명하면 ‘종 5품 이하의 다이묘’가 된다.

귀수촌의 공놀이 노래는 이 이토 스케유키의 비행을 노래한 것이니, 공놀이 노래 각 구절의 마무리 부분에서 ‘퇴짜 맞았네, 퇴짜 맞았네.’라고 반복되는 부분은 사실은 ‘살해되었네, 살해되었네.’란 말을 되풀이하는 의미란 것이 다타라 호안 씨의 의견이었다.

긴다이치 코스케가 이소카와(磯川) 경부의 소개장을 지닌 채 이 지방에 드물게 남은 인력거로 센닌토게(仙人峠)6)를 넘어 귀수촌에 처음 발을 디딘 것은 쇼와 30년 7월 하순의 일로, 물론 그 무렵 긴다이치 코스케는 거기 남아 있는 공놀이 노래에 대해서는 꿈에도 몰랐다.

긴다이치 코스케는 그 정양지로 이곳저곳 생각해 본 끝에 결국 오카야마 현에서 고르기로 결심했다. 그의 데뷔 사건이라 할 수 있는 ‘혼진 살인 사건’ 이래 ‘옥문도’ ‘팔묘촌’ 등 어쩐 일인지 그는 오카야마 현과 인연이 깊어, 어느새 이 지방의 인정과 풍속에 호의를 품게 된 모양이다. 원래 손님을 잘 대접하는 이 지방 사람들의 기질이 그로서는 왠지 모르게 따뜻하게 느껴졌던 것이다.

"어딘가 이 근처에 좋은 곳 없을까요. 많이 불편한 곳이 좋습니다. 외부와의 교섭이 완전히 차단되어 있는, 인가에서 떨어진 깊은 산에 사는 것 같은 느낌의 시골말이에요."

"귀수촌(鬼首村), 아오이케 리카(靑池リカ) 님."

"긴다이치 씨는 시골 농촌에 대해 비교적 잘 아시겠지만, 어느 마을에 가도 그 땅에서 유난히 세력을 지닌 사람이 있지요. 한데 그 세력가한테는 항상 대항 세력이 있어서……. 뭐, 예를 들면 옥문도의 기토 본가와 분가, 팔묘촌의 동쪽집과 서쪽집 같은 거 말이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이 너무 냉랭했다. 코끝이 찡했다. 
눈물이 핑 돌았다.
나는 햇살 속에 봄이 들어 있다고 했다.
딸은 바람 속에 봄이 들어 있다고 했다.
그러자 아내는 봄바람은 처녀 죽은 귀신이라고 했다. 그래서 봄바람은 뼛속까지 사무친다고 했다. - P26

삽질하고 있을 때, 지나가던 동네 어른들이 "어허! 어깨에너무 힘 들어갔다"고 했다. 예술은 힘 들어가면 힘 못 쓴다.
어깨에 힘 들어가면 자기 작품을 자기가 해석하거나 설명한다. 궁색해진다. 작품은 말이 없다. - P29

봄에는 저렇게 산에 강에 바람이 불어야 한다. 그래야 강물도크게 출렁이며 숨을 내쉬고, 산소를 보듬고 흐른다. 산도 몸을흔들어 탁한 숨을 쏟아 낸다. 바람은 바람을 털어 낸다.
나에게도 바람이 온다.
나는 내게 오는 봄바람을 피하지 않는다. - P30

아내의 잠
봄비 그친 날, 우리 집 장 담그는 날. 장 담그는 일의 순서와차례는 아내의 머릿속에 한 점 흐트러짐 없이 설계되고 준비되어 있다. 딸하고 내가 아내의 손발이 되어 한 치의 어긋남 없이 일을 도왔다. 장을 담그는 차례 속에 우리의 활동은 아름다운율동이었다. - P35

장을 다 담았다. 아내는 자기 혼자 이 일을 하면 하루가 걸린다고 했다. - P35

이따금 밀려 쌓인 고단을 털기 위해 아내는 깊고 먼 잠을 잔다. 그렇게 고단을 모아 지운다. - P35

정돈이 자연이다. 정돈은 실상이다. 정돈은 질서다.
그것은 수긍과 긍정으로 세상과 나를 연결하는 고요다. 아름다운 운동이다.
나의 하루를 시작한다. - P43

구례 남원 순창 지났습니다. 모두 사람 살기 좋은 고을들입니다. 해와 달이 오래 머물다 가며 하루를 다 못본듯, 뒤돌아보게 하는 땅입니다. - P47

우리나라 국토지리에서 그이들끼리 잘 살 것 같은 고을. 우리가 안 찾아가도 쌀쌀한 이른 봄, 홍매가 교정에 피어날테니까요. - P48

길은 아스팔트 길이랍니다. 아직 차는 지나가지 않았습니다. 작은 막대기로 민달팽이 가운데 몸을 살짝 들어 올렸습니다. 사람 맨손보다 나무 막대기가 달팽이 몸에 익숙할 테니까요. 나는 그렇게 생각했답니다. 민달팽이가 가려는 곳이 어디인지 모르지만, 길 건너까지 가만가만 걸어가서 키 낮은 풀잎위에 살며시 내려놓았습니다.  - P49

달팽이를 들고 가면서,
"너 길 잘못 들었다."
내가 그렇게 말했답니다. - P49

지금 내가 어디에 있는지,
또 나를 잊었다. - P53

이발하고 강천산으로 물 받으러 갔다. 몸에 좋다는 이 물을받아다가 먹은지 이 년쯤 되었다. 이 물을 마시고 건강해지거나 오래 살 생각은 없다. 물이 맛나서, 아내는 고추장 담그고나는 봄여름에 찬물로 마신다. - P54

묘목을 심고 나서 삼 년 정도가 지나면 나무의 첫 과일이 열립니다. 대개 첫 과일은 나무의 장기적인 성장을 생각해서 열매를 따 준다고 합니다. 그래야 나무가 튼튼하게 자란다고들하지요. - P60

나는 열매를 들여다보며 딸까 말까 망설이다가 어린 살구가 아까워서, 에이 자기가 알아서 열렸으니 자기가 알아서 하겠지! 하며 그냥 두었습니다. 자기 일을 자기가 알아서 하겠지, 하는 마음이었습니다. - P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삶은 지나간다.
덧없다.
무정하다.
내가 이 세상 어디에 무슨 소용인가.
때로, 써 놓은 내 글 속으로 들어가 평화를 누릴 수 있기를나는 원한다. - P5

풀씨를 어둠 속으로 던지다
내가 사는 마을은 산과 산사이로 강물이 흐르는 곳이다. 마을이 작다. 해가 늦게 뜨고 일찍 진다. 뒷산에 바짝 붙은 우리집은 더 일찍 해가 진다. 한겨울 세시반이면 산그늘이 집으로 내려온다. - P17

바람이 왔다. 어제와는 다른 바람이.
나는 그 바람 속을 걸어갔다. - P20

몸이 활발하다. 새벽에 비가왔다. 빗방울은 차갑지 않았다.
디딤돌 파인 곳으로 물이 고여 있다. 어린 빗방울들이 만드는파문을 본다. - P20

글을 쓰다가, 강가에 서 있는
느티나무를 내다보았다.
실가지들이 꼿꼿하고 팽팽하다.
어제와는 다른 색을 가져왔다.
봄이 내 앞으로 한 발 더 다가왔다.
저 나무는 슬픔을 어떻게 표현할까.
나무 밑으로 강물이 흘러간다. - P21

비를 쫓는 비
다리의 중간쯤을 건넜을 때, 비가 한 방울 두 방울 엉성한내 머릿속으로 떨어진다. 곧 시멘트 다리 위에도 빗방울 자국이 툭툭 정확하게 생겨난다. 빗방울이 많아졌다. 느티나무 밑으로 뛰어 들어갔다. - P23

소리가 빨라진다. 소란스럽다. 비가 점점 더 많이 내린다.
빗방울 소리는 절정으로 치닫는 음악 소리처럼 빨라진다.
아무래도 비가 더 쏟아질 모양이다.
비가 비를 강 건너로 쫓는다.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우메에 있는 쓰쿠모 류마의 도장이야말로 이른바 상류층이라 주목받는 사람들의 전후 부패와 타락의 결정체였던 것이다.

"그렇군요. 다이도지는 아무리 도모코 씨에게 반했어도 부녀관계인 이상 절대 어떻게도 못 하죠. 거기에 그 남자의 심각한 고뇌가 있었던 거로군요."

하지만 기누가사는 알고 있었다. 오늘의 태양은 저물어도 내일은 또 젊은 태양이 새로운 생명을 가지고 싱그럽게 떠오를 것이라고.

www7.ocn.ne.jp/~yokomizo/haiyaku/jououbati.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즈(伊豆)의 시모다(下田)에서 남쪽으로 해상 7리쯤 떨어진 곳에 지도에도 없는 작은 섬이 있어, 그 이름을 월금도(月琴島)*라고 한다.

월금도…….

물론 이렇게 불리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고, 옛날에는 바다 섬이라는 극히 흔해빠진 이름으로 불렸다고 한다. 지금도 그것이 이 섬의 진짜 이름이다.

‘그 아가씨 앞으로 많은 남자의 피가 흐를 것이다. ……그녀는 여왕벌이다. ……접근하는 남자들을 차례차례 죽음에 이르게 할 운명이다…….’

도모코여,
섬으로 돌아가라.
그대가 도쿄에 와 봐야 좋을 일이 없다.
그대의 신변에는 피 냄새가 난다.
그대의 어머니가 그랬듯이.
도모코여,
섬으로 돌아가라.
그리고 두 번 다시 그곳을 떠나서는 안 된다.

패닉이란 그리스의 목양신 판에 사로잡힌 상태라고 한다. 고대 그리스인이 생각한 바에 의하면 사람들이 판에게 사로잡히면 당황해 어쩔 줄 모르고 지독한 공황상태에 빠진다고 하는데, 그러고 보니 그날 호텔 쇼라이소는 분명 판이 사로잡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