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astal Town


After the Storm


A Cloudy Day


A Day in Brighton


Blue Cottage on the Shor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소통하는 신체 - 다른 사람의 입장에 선다는 그 위태로움에 대하여
우치다 타츠루 지음, 오오쿠사 미노루.현병호 옮김 / 민들레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을 둘러싼 야쿠자들을 차례로 베고 나서 자토이치가 칼을 거둬들이는 바로 그때 지잉하는 소리가 나면서 주위를 둘러싸고 있던 야쿠자들이 두두둑 쓰러집니다.......야쿠자들과는 다른 시간 속을 움직이며 모두를 베어버린 뒤에 지잉하는 소리와 함께 비로소 자토이치가 시간적으로 선행하고 있었던 부분, 다시 말해 모두가 절대적으로 지체되고 있던 만큼 시간이 다시 원래 시간으로 되돌아옵니다. 그때 소거되었던 현실음이 돌아와 다시 들려오기 시작합니다. 그 무음과 지잉하는 소리는 휘어진 시간 보정을 의미하지 않나 생각합니다.(157~158)

 

<자토이치座頭市>는 전설적 검객 안마사(座頭) 이치()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로서 1962년 이후 시리즈 26편이 제작되었다. 나도 그 중, 아마도 가장 유명한 한 편을 보았다. 화제 장면은 우치다 타츠루가 말한 그대로다. 나는 이 문제에서도 우치다 타츠루와 생각이 다르다.

 

우치다 타츠루가 계속 문제 삼는 시간적 선후는 자토이치와 야쿠자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자토이치 동작과 소리 사이 시간 선후와는 무관한 일이다. 이를테면 범주오류다. 무예에서 이른바 잔심殘心을 거론하는 일 또한 본인 감각 문제다. 이치는 의외로 단순하다. “신체가 뇌보다 이르게 움직이고 먼저 감각한다.” 이는 시간적 문제만이 아니다. 칼을 직접 쥐고 있는 주체는 신체지 뇌가 아니다. 뇌가 감각하는 경계보다 더 넓은, 그러니까 전체인 경계를 신체가 지니고 있으므로 둘 사이 격차는 절대적이며 당연하다. 구태여 시간을 가지고 복잡하게 설명할 이유가 없다.

 

참된 지성이 지닌 복잡함, 그러니까 모호함을 견디는 능력은 단순함도 복잡하게 이해하는 능력과 다르다. 무예인으로 오랜 삶을 사는 동안 부지불식간에 그 눈으로 모든 현상을 해석하는 관성이 그에게 생긴 듯하다. 이 문제는 내게도 마찬가지다. 의자 또는 치유인 눈으로 세상을 읽으면 죄다 아파 보인다. 보통사람이 보지 못하는 소미한 데까지 본다는 자긍심이 한 순간에 환원주의 함정으로 변해버린다. 범죄자 만드는 일만 하던 검사가 하루아침에 대통령이 된 나라 걱정보다 내 앞가림부터 해야 소시민 도리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소통하는 신체 - 다른 사람의 입장에 선다는 그 위태로움에 대하여
우치다 타츠루 지음, 오오쿠사 미노루.현병호 옮김 / 민들레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름다운 동작을 볼 때 느끼는 감동은 단순히 그 사람 몸 근육이나 골격이 부드럽다는 사실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거기에 나와 다른 시간 흐름이 생겨나고 있으며, 나와 그 사람 시간 흐름 사이에 생긴 어긋남취기에 가까운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151)

 

합기도는 의 선입니다.......선의 선을 잡는 일은 말하자면 칼을 내려치는 찰나 상대로 하여금 태연하게 내려쳐주십시오하면서 칼 아래 자기 목을 들이밀도록 하는 일입니다.(152)

 

 

얼핏 보면 전혀 무관한 듯 보이는 위 두 이야기는 같은 본성을 지닌다. 절정 기량을 지닌 무용수가 취하는 아름다운 동작과 선의 선을 잡은 고수가 칼을 내리치는 동작은 같은 동작이다. 감동, 곧 취기에 가까운 느낌을 받는 일과 칼 아래 자기 목을 들이미는 일은 같은 일이다. 춤추는 자가 흐르는 시간과 감동 받는 자가 흐르는 시간이 다른 이치는 무예 고수가 흐르는 시간과 목 내미는 자가 흐르는 시간이 다른 이치와 같다.

 

우치다 타츠루는 시종일관 시간을 말한다. 이는 아마도 그가 무예인이라는 사실, 그리고 프랑스어 텍스트로 레비나스 타자철학을 공부한다는 사실과 유관할 테다. 나는 무예인이 아니며, 프랑스어 텍스트로 레비나스 타자철학을 공부하지 않는다. 내가 알고 깨닫고 깨치는 길은, 구태여 우치다 타츠루와 대비하자면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음악으로 말해보려고 한다. 음악을 무용이나 무예보다 월등히 잘 알아서라기보다 그나마 그 둘에 비해 감응하기 쉬워서 택했다. 물론 최종적으로는 한의학과 숙의치유에 가 닿아야 한다.

 

불가결한 음악 요소 가운데 배음overtone이 있다. 배음은 원래 음 주파수 정수배에 해당하는 음이다. 음악 하는 사람이 능동적으로 드러내기[배음 창법]도 어렵고, 듣는 사람이 알아차리고 듣기도 어려워서 보통 잘 말하지 않는다. 한 음악가가 내려고 하는 음을 연주할 때 꼭 그 음 주파수에 해당하는 순음만을 내어 연주 공간에 배어들도록 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배음과 그밖에 다른 음들이 미세하게 뒤섞이게 마련이다. 이들을 어떻게 제어·조절하느냐가 음악가 수준을 결정한다. 듣는 이가 들을 때도 근본에서 같은 이치가 적용된다. 깊고 풍요로운 배음 사건을 일으키고 거기 더불어 참여할 때 음악가와 청중은 그 자체로 영적 네트워킹이다.

 

네트워킹 사건을 일으키는 배음 공간에서 감응하는 음악가 신체와 청중 신체는 어떤 관계에 있을까? 음악가 신체는 시간 흐름을 어긋나게 하는 무용수나 선의 선을 잡은 무예 고수 신체와 같을까? 청중 신체는 취기에 가까운 느낌을 받거나 칼 아래 태연히 목을 들이미는 신체와 같을까? 그렇다면, 감응 상태를 조정해야만 한다. 어긋나는 시간 흐름에서는 취기가 아니라 경이를 느낀다. 취기는 맞물리는 공간 합일, 정확히 표현하면 비대칭대칭에서 느낀다. 배음의 기축은 1:2 상음과 관계인데 이 두 음은 한 옥타브 차이 나는 같은 음이기 때문이다. 선의 선을 잡은 고수 칼 아래서는 태연히, 그러니까 경이에 압도되어 목을 들이밀지만, 배음 공간에서는 심취해 지극한 기쁨으로 온몸을 내맡긴다. 공명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우치다 타츠루는 시간 분리와 공간 합일이 비대칭대칭을 이루며 일어나는 사건이라는 진리를 아직 드문드문 보고 있는 듯하다. 분리가 일으키는 감응과 합일이 일으키는 감응을 헷갈리고 있으니 누명이 아니다. 우치다 타츠루와 같고 다른 점을 자꾸 초군초군 따지는 까닭은 내가 나와 마주앉은 사람에게 경이를 일으키거나 태연히 목을 들이밀도록 해서는 안 되는 일을 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경이를 느끼거나 태연히 목을 들이미는 일이 숙의치유와 무관해서가 아니다. 그 일 뒤에 더 중요한 일이 남아 있는 사람, 그러니까 무용 공연을 보러 오거나 칼싸움을 하러 오지 않고 아파서 온 사람을 상대하기 때문이다.

 

내가 상담치료를 굳이 숙의치유라고 달리 부르는 데는 그만한 곡절이 있다. 정신 질환은 육체 질병보다 훨씬 더 서사성이 강하다. 아니, 어떤 의미에서 정신 질환은 그 자체가 서사다. 이 서사 문제를 폐기하고 화학합성약물만으로 치료한다는 이데올로기를 관철하기 위해 서구주류의학은 정신을 뇌로 환원시키고 있다. 뇌를 타깃 삼은 화학합성약물만으로는 정신 질환을 온전히 치료하지 못한다. 서사 재구성이 필수다. 서사 재구성을 하려면 반드시 숙의를 해야 한다. 숙의는 신체와 인생 전체를 걸고 소통하는 일이다.

 

소통 과정에서 아픈 사람을 경이로 몰아넣거나 태연히 목 들이밀도록 선의 선을 잡는 일이 필요하지만 그 조차도 기본 접속, 그러니까 어떤 합일을 전제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둘은 하나에서 나온다. 이 진리에서 너무 멀리까지 이탈한 상태가 다름 아닌 정신 질환이다. 이 전경을 모르면 무용과 무예에서는 절정 기량을 자랑할 수 있지만 숙의치유에서는 그리 될 수 없다. 숙의치유는 인류 최후 초절정고수를 고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022-05-02 23: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5-04 18:0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