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녕이라 그랬어
김애란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6월
평점 :
세상 속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친밀하고 다정한 관계 속에서 까발려지는 내면의 누추한 감정들...
달갑다고 선뜻 받아들이기 쉽진 않지만, 정곡을 푹푹 찌르고 있으니 허탈하게 인정할 수밖에 없다.
그런 날카로움이 담긴 단편들.
우리 시대의 안녕이라는 게 어떤 의미인지, 그저 나 홀로 잘 살아나간다는 것으로는 부족한 사회와 타인과의 관계에 대해 여러모로 생각하게 된다.
김애란의 통찰이 씁쓸하게 다가왔다.
- 거기 있는 걸 없는 척하고 없는 걸 있는 셈 치는 건 연극의 중요한 약속 중 하나였다. 그리고 그건 가식이나 위선과는 다른 거였다. - 홈 파티, 18
- 사실 해방 이래 한 번도 돈을 욕망하지 않은 적 없으면서, 겉으로는 노동과 근면을 미덕인 양 가르쳐온 사회가 갑자기 저더러 문맹이라니 억울하고 서운한 마음이 들더라고요. 단순히 돈 문제가 아니라 그간 저나 제 부모님이 살아온 방식을...... 응, 실존을 부정당한 것 같아서. - 홈 파티, 38
- 이연은 이 밤이, 그리고 또 이 계절이 낯선 듯 익숙해 마치 보이체크가 마리를 죽이기 전 한 말처럼 '몸이 차가우면 더이상 얼어붙지 않으므로' 많은 이들이 다 같이 추워지기로 결심한 어떤 시절 혹은 시대처럼 느껴졌다. - 홈 파티, 42
- 지호에게는 뭐랄까, 어려서부터 몸에 밴 귀족적 천진함이 있었다. 남으면 버리고, 없으면 사고, 늦으면 택시 타는 식으로 오래 살아온 사람이 가진 무심한 순진함이. 학부 땐 그게 귀엽고 가끔은 터무니없을 정도로 당당해 보여 끌렸는데, 결혼 후 같이 살다보니 결코 좁혀지지 않는 간극이 있다는 걸 알았다. 이번 여행 계획을 세우며 내가 예산을 맞추려 전전긍긍할 때도 지호는 "그냥 대충대충 해. 별 차이 없어"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 '별 차이'에 대한 감각이 지호와 나의 큰 차이였다. - 숲속 작은 집, 58
- 그리고 나는 손에 든 책을 보고야 비로소 종일 나를 사로잡은 깊은 상실감의 원인을 알 수 있었다. 우리가 집을 잃어서도, 이웃을 잃어서도 아니었다. 우리가 정말 상실한 건 결국 좋은 이웃이 될 수 있고, 또 될지 몰랐던 우리 자신이었다는 뼈아픈 자각 때문이었다. - 좋은 이웃, 142
- 기태는 자신이 늙음에 대해 아는 것이 하나도 없음을, 안다 믿었던 것조차 실은 아는게 아니었음을 새삼 실감했다. 그러니 앞으로 남은 삶은 또 얼마나 혹독할까? - 이물감, 175
- 순간 "나도"라고 답할 뻔한 걸 겨우 참았다. 큰 교훈 없는 상실. 삶은 그런 것의 연속이라고. 그걸 아는 사람을 만나 정말 반갑다는 말을 하려다 말았다.
아무튼 별거 없었어. 우리 아버지 부고 안에는. 그 사람이 그렇게 좋은 부모가 아니었다는 거. 전혀 몰랐던 사실도 아닌데, 이미 알고 있던 걸 한번 더 확인한 것뿐인데, 그런데도 이 허전함은 어디서 오는 걸까?
......
이런 걸로도 뭔가 배우는 게 인생일까?
......
하긴 뭘 꼭 배우지 않으면 또 어때. - 안녕이라 그랬어, 246
- 앞으로도 저는 여전히 삶이 무언지 모른 채 삶을, 죽음이 무언지 모른 채 죽음을 그릴 테지만, 때로는 그 '모름'의 렌즈로 봐야만 비로소 알게 되는 것들이 있음을 새로 배워나가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삶은 언제나 우리에게 뒤늦은 깨달음의 형태로 다가오니까요. - 작가의 말 중
2025. jul.
#안녕이라그랬어 #김애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