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빛의 호위
조해진 지음 / 창비 / 2017년 2월
평점 :
올해 초에 읽은 책.
플래그 붙인 부분을 다시 읽으니 모든 이야기의 분위기가 다시 살아난다.
이 세계의 주변에 대한 시선들이 돋보이는 이야기들.
조해진 작가의 신간을 사두고 뒤늦게 읽은 게 오히려 다행이었다. 얼른 신간 읽어야지.
- 오년 전,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은 날에도 고모는 저런 자세로 병원 출입문 앞에 서 있었을 것이다. 인간이란 구르는 걸 멈추지 않는 한 조금씩 실이 풀려나갈 수밖에 없는 실타래 같은 게 아닐까. 그때 고모는 그런 생각에 잠겨 있었다고 했다. 병원 문을 열고 나가면 실타래는 이전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굴러갈 것이고, 실타래에서 풀려나간 실은 밟히고 쓸리고 상하면서 먼지가 되어갈 것이다. 친밀했던 사람, 아끼던 사물, 익숙한 냄새를 잃게 될 것이고 세상도 그 속도로 고모를 잊어갈 터였다. 어느날은 거울 속 늙고 병든 여자를 보며 이유도 모른 채 뚝뚝 눈물을 흘리기도 하리라. 하나의 실존은 그렇게 작아지고 또 작아지면서 아무도 모르게 절연을 준비하는 것이다. 그 누구의 배웅도 없이, 따뜻한 작별의 입맞춤과 헌사의 문장도 없이...... 오후가 저녁이 되고 저녁이 밤이 될 때까지, 실제로 고모는 그 문을 열지 못했다. - 사물과의 작별, 82
- 독일에서 돌아온 이후, 나는 종종 동료 작가들과 철거지역이나 노동자들의 집회 같은 현장 속으로 들어가 피켓을 들기도 했고 낭독을 하기도 했다. 처음엔 분연했지만 집으로 돌아올 땐 쓸쓸했다. 무력하게 지켜볼 땐 갑갑했는데 거리에 서 있을 땐 내 몸에 비해 너무 큰 옷을 입고 있는 듯 어색했다. 작가가 작품 이외의 다른 채널로 말을 거는 게 합당한 건지 알 수 없었고, 그리 유명하지도 않고 작품활동도 하지 않는 내가 시인이라는 이름으로 사람들 앞에 나서도 되는 것인지 판단이 되지 않았다. 현실을 외면하는 것도, 그 안으로 뛰어들어가는 것도, 심지어 뛰어들어간 뒤 적당한 자세를 잡지 못한 채 엉거주춤 서 있는 것도, 모조리 가식 같기만 했다.
최근에 내가 택한 방법은 나의 자격을 의심하는 것이다. 내가 살아온 과정이 대단할 것도 없고 떳떳하지도 않은데 어떻게 나 같은 사람이 나 아닌 다른 이의 고통을 대변하며 잿빛 거리에 서 있을 수 있단 말인가. 나의 자격을 되묻는 반복은 발터, 법도 정의도 상식도 통하지 않는 이 세상 한곳에 나만의 의식적 함몰구역을 만들어주기도 한다. 작은 웅덩이 같은 그곳은 안온하고 평화롭다.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그저 가만히 웅크려앉아 있어도 되는 것이다. 권장량의 탄수화물과 지방을 섭취하면서, 소화하고 배설하는 내장뿐인 몸으로, 시계의 초침 간격이 과연 정직한가와 같은 부질없는 의혹과 다투며...... - 동쪽 백의 숲, 97
- 독일의 러시아 침공 당시, 고작 열여섯살에 간호병으로 입대한 큰언니가 종전과 함께 일년 만에 귀가한다는 통지서를 받고 온 가족이 마중을 나갔는데 아무도, 심지어 어머니조차 그녀를 알아보지 못했다고요. 플랫폼에는 열일곱살의 싱그러운 처녀가 아니라 백발을 길게 늘어뜨린 신산스러운 분위기의 여인이 서 있었으니까요. 훗날 백발이 어색하지 않은 나이에 이른 할머니의 큰언니는 다행이라는 말을 가장 많이 했다고 해요. 늙어서, 잊어가고 있어서, 곧 죽을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애가 기다란 원통 모양이라면 그녀에게 다행이라는 말은 시간의 그물망을 통과하여 그 밑바닥에 쌓인, 정제되고 또 정제된 결정체 같은 것이겠지요. 전쟁은 그런 것일 테지요. - 산책자의 행복, 126
- 실은 늘 이번 소설집을 기다렸다.
나와 나의 세계를 넘어선 인물들, 그들은 시대와 지역을 초월하여 소통했고 유대를 맺었다. 그들은 나보다 큰 사람들이었고 더 인간적이었다.
이제야 나는,
진짜 타인에 대해 쓸 수 있게 된 건지도 모르겠다. - 작가의 말
2025. jan.
#빛의호위 #조해진 #단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