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어 씽킹 Core Thinking - 일의 본질을 꿰뚫는 생각의 기술
김범섭 지음 / 북플레저 / 2025년 5월
평점 :
창업도 이른바 벤처 낭인(p36을 보면 창업 N수생 이야기가 나옵니다)이 있고, 하는 일마다 성공하는 "연쇄 창업가"도 있습니다.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대답은, "일의 본질을 꿰뚫고 딱 필요한 부분에만 집중하는 능력"입니다. 아이디어는 누구 머리에나 떠오르지만 그 아이디어라는 걸 상용화하여 시장에서 히트시키는 건 아무나 해 내는 게 아닙니다. "세상에 없던 아이디어는 어떻게 현실이 되는가?" 이 책에 나오는 다양한 창업 석세스 스토리를 통해, 평범했던 청년들이 영 앤 리치로 거듭나고 주변에 영감(inspiration)과 영향력(influence)을 퍼뜨리게까지 되는 과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책좋사의 소개로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주관적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
책은 모두 6파트로 나뉘는데 제2장은 (독자인 제 생각에) 이 책의 핵심인 "일의 방식은 생각의 힘에서 온다"라는 제목의 논의입니다. 역시, 많은 실제 사례들로부터 좋은 결론들이 다양하게 귀납되어서 좋았습니다. 회의를 내실화하여 다양한 생각이 도출되게 하는 게 물론 좋습니다. 그러나 한도끝도없이 말만 늘어지게 방치하는 것도 대단히 해롭습니다. 자랑스러운 창업 히트작인 삼쩜삼의 경우가 p111 이하에 나옵니다. 수수료를 얼마 내릴 때 고객이 얼마나 늘어날지 판단을 잘 내려야 하는데, 이게 과연 효과가 날지, 거꾸로 캐시플로만 줄어드는 것 아닌지 사실 누구도 모릅니다. 의사결정의 타이밍이란 그래서 중요합니다. 심사숙고만 무한정 거듭한다고 들인 시간에 비례해서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것도 아닙니다.
어바웃 계산법이라는 말도 책에 나옵니다. 저기... JP 모건도 자신보다 계산 잘하는 사람 많았고, 더 정확한 예측을 해 내는 사람도 많았다고 회고했습니다. 그런데 의사 결정이 일정 시간 안에 꼭 필요할 때, rough한 수치를 자신보다 더 빨리 딱딱 뽑아내는 사람은 없었다고 합니다. 물론 라운드피겨라고 해도 너무 오차가 많이 나면 안 됩니다. 근삿값을 도출하되, 이거건 저거건 결단을 내려야 할 때 딱 내놓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다른 이들의 의견을 모아 "구체화하고 객관화하는(p111)" 능력은 그래서 중요합니다.
무작정 일만 밀어붙인다고 목표가 이뤄지는 게 아닙니다. 조직 전체건 개별 직급이건 어떤 기준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저자의 히트작 중 하나가 리멤버인데, 명함을 입력할 때 타이피스트가 필요했습니다. 그런데 뽑은 사람들 능력이 다 달랐고, (제가 읽으면서 놀란 점인데) 일을 아예 안 하는 사람도 있었다고 하네요. 이 경우 저자 김 대표가 어떻게 난관을 극복했는지 지켜보는 게 재미있었습니다(내 일을 누가 지켜보면 몰입도와 능률이 더 오른다). 또 고객마다 주문량이 많으니 직원에게 일을 시킬 때 공정이 일정할 수가 없는데, 이게 어떻게 시스템적으로 극복이 되는지도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p191을 보면 "스타트업 생태계는 죽음의 수용소와 같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 안에는 냉정하고 무서운 진실이 들었는데, 그만큼 창업 시도자 중 성공하는 사람 수가 적다는 것입니다. 저자는 굉장히 쿨한 말씀을 하는데, 물론 멋지게 탈출을 해 내면 좋겠지만, 구태여 안 해도 상관없고 본인은 이렇게 창업을 시도하고, 또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도움을 주는 게 좋다는 겁니다. 그런데 이런 말이 나올 만큼, 창업의 성공 확률이 극히 낮고, 멋지게 살아남는 청년이 드물다는 뜻이어서 마음이 착잡해졌습니다.
결정을 미루는 것과 결정을 하지 않는 건 다릅니다. A안을 선택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올지 어바웃 값이라고 해도 빨리 계산하고, 이 결과를 기대할 바에는 아예 하지 말 것을 결단하라는 겁니다. 갈등이 생기고 실패가 무서워서 미룰 바에는 시원하게 그냥 하지 말라고 합니다. 하지 않겠다고 결정하는 것도 하나의 결정(p291)인데, 이게 의외로 효과가 있어서 예상치 못하게 일이 잘 풀리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건 "뭉개고 있었더니 알아서 잘풀렸네?"가 결코 아니라는 겁니다. 처음부터 더 빨리 안 하기로 했으면 기회비용 포함 더 좋은 결과가 나왔겠다는 거죠.
창업은 힘들고 힘들지만, 현명한 이는 그 와중에도 길을 찾아낸다는 점 배울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