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 강박 - 행복 과잉 시대에서 잃어버린 진짜 삶을 찾는 법
올리버 버크먼 지음, 정지인 옮김 / 북플레저 / 2025년 7월
평점 :
올리버 버크먼 저의 『행복 강박』 을 읽고
모든 매체에서 “행복해져라” 혹은 “행복을 찾는 법”을 앞다퉈 이야기한다.
또한 행복에 관한 책과 영상들은 셀 수 없이 쏟아져 나왔고, 지금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행복해지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는 가장 오래된 욕구이자 원초적인 바람이다.
많은 독자들은 더 나은 삶을 살고 싶은 마음에 ‘행복’을 목적으로 살아가며 이와 관련된 콘텐츠에 현혹되고 있다 할 수 있다.
세상은 지금 ‘행복 만능주의’에 사로잡혀 있다.
행복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은 아마 없으리라 믿는다.
모든 사람이 바라고 추구하는 행복을 위해 오늘 이 시간에도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솔직히 행복은 눈으로 딱 보이지 않기에 막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나 자신도 이제 나이 70이 넘다 보니 인생 2막에 들어서면서 모든 사람들에게 행복만들기를 위한 조력 캘리 메시지 글을 만들어 배려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행복이 그냥 오는 것은 아니겠지만 우리 생활속에서 어떤 마음가짐으로 임하느냐 하는 자세는 중요하다 할 것이다.
저자인 논픽셔니스트 올리버 버크먼은 이 현상에 하나의 의문을 품게 되었다. ‘
그래서 행복을 목적으로 살면 행복해지는가?’
그는 실제로 행복해지려고 발버둥 칠수록 불행해지는 사람들을 보며, 왜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지 그 이유를 이 책에서 추적했다.
바로 행복 만능주의에 대한 괴상하지만 냉철한 반격인 것이다.
“행복해지려고 하지 마라! 그 생각이 당신을 불행하게 할 것이다”라고.
먼저 불안하지 않는 편안한 상태를 이야기한다.
인간은 재정적 안전을 추구하지만, 임계기준을 넘어서면 돈이 더 많아진다고 더 행복해지는 건 아니었다.
또한 재정적으로 빈곤한 나라에서 미래를 더 긍정적으로 그린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인간관계도 마찬가지다. 안정적 관계를 위해 지나치게 노력하다보면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킨다.
감정적인 안정도 다르지 않은데, 고통을 피하려고 할수록 사람은 더욱 고통스러워진다는 많은 자료들이 넘쳐난다.
이 책은 말한다. 애초에 안정적인 삶은 불가능하며, 삶은 원래 불안정한 것이라고...
다음은 목표가 행복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자.
목표에 집착할수록 목표는 인간의 정체성이 되고 이성적인 판단을 마비시킨다.
수많은 자기계발서는 야심찬 목표가 성공한 인생의 핵심이라고 밝히지만 사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목표를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된 비이성적인 목표는 비이성적인 판단을 야기하고, 이로 인해 우리는 행복으로부터 더 멀어진다.
“행복으로 가는 낯설지만 확실한 경로”긍정을 강요하는 세상을 향한 통쾌한 반란이라 할 수 있다.
<행복 강박>은 2천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지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야기들 속에서 ‘진정한 행복’에 대한 답을 끌어올린다.
기원전 4세기경부터 시작된 스토아 철학자들은 타인이나 상황 때문이 아니라, 타인과 상황에 따른 ‘나의 판단’ 때문에 괴로움이 생긴다고 여겼다.
상대방이 나에게 피해를 준다고 생각하고, 그 상황이 나에게 절망적이라고 감정적 판단을 내리는 것에서부터 괴로움이 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성적이고 차분하게 생각할 것을 권했다.
특히 자신에게 일어날 수 있는 나쁜 일을 미리 생각해봄으로써 오히려 행복을 되찾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가족, 내가 가진 소중한 것을 언제든 잃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우리는 그것들을 더욱 사랑하게 됨과 동시에 그것들을 실제로 잃었을 때 충격이 줄어들게 된다.
그 결과 행복과 긍정적인 생각에 집착하면 오히려 행복으로부터 멀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대로 부정적인 생각(실패, 불안, 죽음)을 끌어안고 삶의 불확실성에서 도망치지 않고 직면할 때 진정한 행복에 가까워진다는 사실인 부정적 사고의 긍정적 힘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행복에 집착할수록 더욱 불행해진다!”
“행복해지려고 하지 마라! 그 생각이 당신을 불행하게 할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자유롭게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