꿩의다리아재비
먼 길 나섰으니 무엇 하나라도 더 볼 수 있다면 좋은 것이기에 늘 주변을 살핀다. 그 중에서도 내가 사는 남쪽에서는 없는 식물이면 더 그렇다. 이 식물도 그런 반가움으로 맞이했다.

식물 이름에 아재비가 붙으면 닮았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꿩의다리아재비는 꿩의다리를 닮았다는 의비슷하다. 흔히 볼 수 있는 미나리아재비도 그런 의미다.

"꿩의다리와 잎과 줄기, 크기 등이 비슷하다. 특히 자줏빛 줄기에 드문드문 있는 마디가 마치 꿩의 다리를 연상시킨다. 다만 꿩의다리는 꽃이 흰색 또는 연분홍이지만 꿩의다리아재비는 녹황색이며, 잎도 약간 다르다. 그리고 꿩의다리보다 꿩의다리아재비가 키도 작다."

태백산을 내려오며 여기 어디쯤 있었는데 하고 찾아본다. 지난해 봤던 것이 생각난 때문이다. 비슷한 시기에 찾아왔지만 지난해와는 달리 겨우 한두개체만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인가목
관심가는 것은 언젠가는 볼 기회가 있을거라 막연한 기대를 가지고 있다. 그 기대는 늘 우연하게 찾아온다. 말로만 듣던 인가목도 태백산 꽃나들이에서 그렇게 만났다.

높은 산이나 고지대의 숲에서 자라며 한자로 인가목(人伽木)이라고 하나, 이름에 대한 정확한 유래는 알려진 바 없다. 꽃은 5~6월에 가지 끝에 1~3개가 홍자색 또는 연한 홍자색으로 핀다. 드물게 흰색으로 피는 것도 있다. 비슷한 식물로는 붉은인가목 생열귀나무가 있다.

첫만남의 반가움은 크지만 핀 꽃을 보지 못한 아쉬움이 크다. 이렇게 만났듯 꽃도 만날 날이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다시 갖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꽃개회나무
노고단 대피소 근처 숲에서 첫눈맞춤을 했다. 그후로 매년 찾아가지만 시기를 맞추지 못해 보지 못하다가 올해는 태백산을 오르며 만났다.

연한 보랏빛의 붉은색으로 피는 꽃은 은근한 향기가 그만이다. 꽃 하나하나도 이쁘지만 모여핀 전체 모습도 아름답다. 원뿔모양꽃차례는 새가지 끝에 달리고 털이 있다. 높은 곳 능선을 따라 자라는 나무는 꽃도 높이 달아 꽃 보기가 쉽지 않다.

우리나라 특산으로 고산식물이다. 꽃의 방향성이 뛰어나고 수수꽃다리와 비슷하나 잎이 긴 타원형이고 잎이 나온 뒤에 개화한다고 한다.

어떤 꽃은 숨겨두고 싶고 어떤 꽃은 나누고 싶어진다. 있는 곳 다시 확인 했으니 때를 맞춰 꽃향기를 놓치지 않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홍괴불나무
보고 싶은 꽃은 언제나 멀리 있거나 지고 난 후에나 소식을 듣는다. 안타까운 마음만 더할 뿐이다. 하여, 기회가 오면 망설이지 말아야 하고 오는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늘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곳으로 길을 나섰다. 벗을 만나 앞서거니 뒷서거니 숲에 들었다. 주고 받는 이야기 속에 꽃향기가 넘실댄다.

눈에 익은 곳이라 주변을 살펴 볼 여유가 생기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그 여유로움으로 꽃자리를 확인하고 새로운 꽃을 만나기도 한다.

그렇게 다시 만난 꽃이 이 홍괴불나무다. "꽃은 5 ~ 6월에 피고 짙은 자홍색이며 새 가지에 달리고, 꽃대는 길이 1 ~ 2cm로 대개 잎 뒷면을 따라 붙는다." 잎 사이에 숨은듯 특이한 모습으로 피었다. 비슷비슷 나무들이 많기에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함박꽃나무
모든 꽃은 어느 순간이나 아름답다. 꽃이라는 이유만으로 마땅히 주목 받아야 한다. 잠시 피는 꽃이지만 꽃이 피기까지의 수고로움과 열매 맺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의 결과임을 알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모든 꽃이 동등하게 주목 받지는 못한다. 사람 마다 취향과 호불호가 다르고 보는 목적이 달라서다. 나 역시 수많은 꽃을 찾아 발품 팔면서도 유독 마음이 가는 꽃은 따로 있다. 그 중 이 함박꽃나무가 선두다.

깨끗하고 탐스러우며 특유의 향기 또한 은근하고 깊다. 꽃잎의 백색과 붉은 빛이 도는 수술에 꽃밥의 밝은 홍색의 어우러짐이 환상적이면서도 기품있는 단아함을 보여준다. 모양, 색, 향기까지 무엇 하나 빼놓을 수 없는 매력을 가졌다.

때를 기다려 높은 산을 올라 기어이 보고나서야 비로소 여름을 맞이한다는 혼자만의 의미를 부여한다. 나에게는 나름 봄과 여름을 가르는 시금석 같은 꽃이다. 이 꽃을 본다는 핑개로 무등산을 올랐는데 언제부턴가 지리산에서 눈맞춤하게 된다. 올해는 태백산에서 만났다.

전국 숲에서 자라지만 눈여겨 보는 이가 많지 않다. 비교적 해발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사는 이유도 한몫 한다. '산에 자라는 목련'이라는 뜻으로 '산목련'이라고도 하며, 북한에서는 '목란'이라 부르며, 국화로 지정하고 있다.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은 함박꽃나무다.

곱다. 흰 꽃이 잎이 난 다음에 밑을 향해 달려 피는데 향기가 좋다. 꽃그늘아래 있다보면 꽃향기에 취해 나무 곁을 벗어나기 힘들 정도다. 함박꽃나무, 입안에 머무는 이름이 꽃만큼이나 좋은 여운을 남긴다.

백련의 숭고함도 아니고 백모란의 원숙미와도 다르다. 순백의 꽃잎을 살포시 열어 보일듯 말듯 미소 짓는 자태가 중년으로 접어드는 여인이 곱게 단장하고 옅은 미소를 띈 모습으로 연상된다. '수줍음'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