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안의(安義)는 경남 함양의 면이다. 편안할 안과 옳을 의라는 두 개의 좋은 의미가 다 들어 있는 곳이다. 함양(咸陽)이라는 이름 자체가 모두 함, 볕 양이니 상당히 긍정적이다. 주희(朱熹)는 자신의 이름에 든 성()하다, 빛나다를 의미하는 희()를 중화하기 위해 호를 그믐을 의미하는 회()를 넣은 회암(晦庵)이라 했다. ()하다는 의미는 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는 의미다


그런데 희()에는 빛나다, 환하다 외에 희미하다는 의미도 있다. 어떻든 안의(安義)는 연암(燕巖)이 물레방아를 처음 만들어 선보인 곳이다. 정길연 작가의 장편 안의(安義) 별사(別辭)’를 손에 넣었다. 연암이 함양 현감 시절 나눈 사랑 이야기를 그린 책이다. 언제 읽을지, 시작한다면 얼마나 빨리 읽게 될지 알 수 없다. 이별의 말을 의미하는 별사(別辭)가 제목에 있으니 슬픈 내용이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좋아하는 분야만의 책을 검색하는 탓에 발견하지 못했으나 특정 개념으로 검색을 해서 알게 된 책이 김나현 교수의 '모빌리티 렌즈로 보는 현대시'란 책이다. 책은 인문학의 하위 분야인 교양 인문학 분야로 분류되어 있었다. 시를 분석한 책이니 시평론 분야로 분류될 수도 있었지만 시평론이든 인문학이든 거의 찾지 않았으니 특정 개념을 키워드로 해 검색하지 않는 한 찾지 못했을 것이다.

 

5'모빌리티의 시공간성'에 실린 '허수경 시 깊이 읽기'로부터 많이 배웠다. 시인이 고고학을 전공하고 쓴 시 가운데 '시간언덕'이란 작품이 있다. 김나현 교수는 이런 말을 한다.

 

"발굴 현장은 우리의 공간 경험을 새롭게 뒤흔든다. 물리적 이동의 차원에서만 생각하자면 발굴이란 꼼짝도 하지 않고 한자리에서 수행하는 작업이므로 수평적 이동이 0에 수렴한다. 일상적으로는 경험하지 못하는 수직적 이동, 즉 아래로 파내려가는 이동만이 경험된다. 그리고 이 수직적 이동도 움직임이 거의 없다. 몇 센티 아래로 내려가는 데 몇 달이 소요되기도 하는 것이 발굴작업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작 1미터를 이동했을뿐인데 완전히 새로운 연대기가 펼쳐지게 된다. 이런 경험은 공간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을 불러온다. 현재 내가 점유하고 있는 공간은 나의 장소라고 인식되고 이런 장소 경험을 통해 우리는 로컬 정체성을 구성해 간다. 하지만 시간대를 이동하면 이 장소는 나만의 장소가 아닌 것이 된다. 몇 백 년, 몇 천 년, 몇 억 년을 건너가면 전혀 다른 세계 속 장소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허수경의 시는 시간을 관통하는 수직적 모빌리티를 통해 새로운 시적 상상력을 열어간다.“

 

한때 진지하게 들춰보다가 최근 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고고학에 흥미를 느끼게 하는 글이다. 지층이 뒤집히지 않는 한 아래일수록 과거라는 점에서는 지질학도 같다. 차이는 지질학은 파내려가지 않고 노두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시인은 "...사진을 찍고 난 뒤 바닥을 다시 삽으로 판다 한 삼십 센티 정도 밑으로 내려가자, 다시 토기 파편들, 돼지뼈, 소뼈, 진흙개, 바퀴, 이번에는 돌처럼 딱딱하게 굳은 곡식알도 나온다.."란 말을 한다.

 

고구려의 3대 강안평지성에 속하는 연천의 문화유적지 호로고루가 연상된다. , , , 사슴, 멧돼지, 노루 등 적어도 여섯 동물의 뼈와 탄화곡물까지 나온 곳이 호로고루다. 모빌리티를 연구하는 인문학자의 눈에 들어온, 즐겨 읽었으나 최근 소원했었던 시의 주인공에 대한 평론을 통해 잊고 지내던 고고학에 대해 생각하게 되어 좋다. 모빌리티 시각으로 지질현상을 분석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혜원의 책은 이번에 구입한 현상과 언어로 두 권이 되었다. 첫 책은 존재와 현상이다. 전자는 오규원 분석서이고 후자는 김춘수 분석서다. ‘현상과 언어는 안용성 목사의 현상학과 서사공간을 읽고 서평을 쓴 것이 고무적이라고 느껴서 구입한 책인데 아직 별 단서를 얻지 못하고 있다. 다만 은유적 시 쓰기와 환유적 시 쓰기의 구별을 통해 의미 있는 도움을 받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건너다를 뜻하는 세 한자인 도(), (), ()은 모두 나루의 의미도 갖는다법도모양도구 외에 건너다도 뜻하는 도()는 나루를 의미하지는 않는다파주시 파평면 율곡리 율곡수목원에서 구도장원(九度壯元)길을 따라 도열(堵列)해 있는 황금 회화나무들을 보았다이 길은 율곡 이이 선생이 이룬 아홉 번의 장원에서 이름을 가져온 길이고회화나무는 학자(學者)/ 고위 관직을 상징하는 나무다.


율곡 선생이 아홉 번 과거에 장원을 했다고 실패한 경우가 없는 것은 아니다이는 퇴계가 율곡에게 쓴 편지를 통해 알 수 있는 바다편지글에서 퇴계는 그대가 이번 과거에 실패한 것은 아마도 하늘이 그대를 크게 성취시키려는 까닭인 것 같으니 아무쪼록 힘을 쓰시게나."라 썼다. 실패의 사연보다 궁금한 것은 선생이 왜 그렇게 여러 번 과거를 치렀는가이다


과거에 한두 번 응시한 뒤 곧 포기한 남명 조식원종 추숭 관계로 당한 정거(停擧처분이 풀린 뒤에도 과거에 도전하지 않은 미수 허목과거에 실패한 후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과 저술에 전념한 연암 박지원 등이 생각난다율곡이 이룬 아홉 번 장원의 성과를 가볍게 여기고 싶지는 않다시험을 거치지 않은 학예사 출신의 공무원이 국가 차원을 넘는 성과를 내는 것을 보며 조선 시대의 과거가 아닌 천거(薦擧같은 제도를 생각한다


아홉 번 장원했다고 해서 한 번 장원을 한 사람보다 국가에 아홉 배 더 많은 기여나 공헌을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물론 천거(薦擧)는 취지와 다르게 과거를 보완하는 역할을 했다고 한다그러니 어떻게 보면 공무원 시험을 거치지 않고 특별 채용되는 별정직 공무원 제도가 있는 요즘이야말로 진정한 천거제도가 시행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세종 전문가 박현모 교수는 점수를 따기 위해 하는 공부가 가장 낮은 단계의 공부라는 말을 하며 위기지학(爲己之學)을 강조했다.(2025년 6월 25일 연천 강의 역사에서 배우는 리더십‘) 공부한 것이 남에게 알려지기를 바라고 하는 공부가 위인지학(爲人之學)이라면 공부한 것이 자기에게 체득되기를 바라고 하는 공부가 위기지학이다


다만 공무원 시험 공부가 위인지학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시험에서 점수를 따기 위해 하는 공부도 필요하다. 그러나 큰 성과를 낸 특별 채용 공무원까지 시험(점수)의 논리로 보는 것은 문제다. (정확한 과목을 모르지만공무원들이 시험에서 치르는 국어수학영어 같은 것들이 군정(郡政또는 시정(市政)에 직접 필요한 것도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다두뇌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라는 의미다


그나마 창의성이나 논리성 등과 관련된 두뇌도 아니다두뇌라면 학교에서 석박사 등을 딴 사람도 이미 입증되지 않는가오히려 고고학지질학기타 학문 등에서 학위를 딴 사람이 시험을 치르지 않고 일정 과정을 거쳐 공무원이 되어 하는 업무가 학교에서 배운 과목과 바로 연결되고 관련이 있다공무원 시험 공부 (준비)는 실습이란 것이 없고 오직 외우는 것으로 채워진다그러나 특별 채용된 공무원들은 이론 공부뿐 아니라 답사나 실습도 겪는다


서울에서 태어났으나 피난좌천(左遷), 유람연마(練磨등의 이유로 이곳저곳을 유전(流傳)하다가 연천에서 삶의 대미를 장식해 연천 인물로 불렸던 미수 허목은 과거와 무관하게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까지 지냈다아홉 번 장원을 한 율곡은 판서(이조병조)에까지 올랐을뿐이다.(율곡과 미수는 59년의 나이 차이가 난다율곡; 1536년생미수; 1595년생시대가 다르고 상황이 다르지만 굳이 비교하자면 그렇다는 것이다


건너다를 뜻하는 세 한자인 도(), (), ()은 모두 나루의 의미도 갖는다법도모양도구 외에 건너다도 뜻하는 도()는 나루를 의미하지는 않는다파주시 파평면 율곡리 율곡수목원에서 구도장원(九度壯元)길을 따라 도열(堵列)해 있는 황금 회화나무들을 보았다이 길은 율곡 이이 선생이 이룬 아홉 번의 장원에서 이름을 가져온 길이고회화나무는 학자(學者)/ 고위 관직을 상징하는 나무다.


율곡 선생이 아홉 번 과거에 장원을 했다고 실패한 경우가 없는 것은 아니다이는 퇴계가 율곡에게 쓴 편지를 통해 알 수 있는 바다편지글에서 퇴계는 그대가 이번 과거에 실패한 것은 아마도 하늘이 그대를 크게 성취시키려는 까닭인 것 같으니 아무쪼록 힘을 쓰시게나."라 썼다. 실패의 사연보다 궁금한 것은 선생이 왜 그렇게 여러 번 과거를 치렀는가이다


과거에 한두 번 응시한 뒤 곧 포기한 남명 조식원종 추숭 관계로 당한 정거(停擧처분이 풀린 뒤에도 과거에 도전하지 않은 미수 허목과거에 실패한 후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과 저술에 전념한 연암 박지원 등이 생각난다율곡이 이룬 아홉 번 장원의 성과를 가볍게 여기고 싶지는 않다시험을 거치지 않은 학예사 출신의 공무원이 국가 차원을 넘는 성과를 내는 것을 보며 조선 시대의 과거가 아닌 천거(薦擧같은 제도를 생각한다


아홉 번 장원했다고 해서 한 번 장원을 한 사람보다 국가에 아홉 배 더 많은 기여나 공헌을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물론 천거(薦擧)는 취지와 다르게 과거를 보완하는 역할을 했다고 한다그러니 어떻게 보면 공무원 시험을 거치지 않고 특별 채용되는 별정직 공무원 제도가 있는 요즘이야말로 진정한 천거제도가 시행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세종 전문가 박현모 교수는 점수를 따기 위해 하는 공부가 가장 낮은 단계의 공부라는 말을 하며 위기지학(爲己之學)을 강조했다.(2025년 6월 25일 연천 강의 역사에서 배우는 리더십‘) 공부한 것이 남에게 알려지기를 바라고 하는 공부가 위인지학(爲人之學)이라면 공부한 것이 자기에게 체득되기를 바라고 하는 공부가 위기지학이다


다만 공무원 시험 공부가 위인지학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시험에서 점수를 따기 위해 하는 공부도 필요하다. 그러나 큰 성과를 낸 특별 채용 공무원까지 시험(점수)의 논리로 보는 것은 문제다. (정확한 과목을 모르지만공무원들이 시험에서 치르는 국어수학영어 같은 것들이 군정(郡政또는 시정(市政)에 직접 필요한 것도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다두뇌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라는 의미다


그나마 창의성이나 논리성 등과 관련된 두뇌도 아니다두뇌라면 학교에서 석박사 등을 딴 사람도 이미 입증되지 않는가오히려 고고학지질학기타 학문 등에서 학위를 딴 사람이 시험을 치르지 않고 일정 과정을 거쳐 공무원이 되어 하는 업무가 학교에서 배운 과목과 바로 연결되고 관련이 있다공무원 시험 공부 (준비)는 실습이란 것이 없고 오직 외우는 것으로 채워진다그러나 특별 채용된 공무원들은 이론 공부뿐 아니라 답사나 실습도 겪는다


서울에서 태어났으나 피난좌천(左遷), 유람연마(練磨등의 이유로 이곳저곳을 유전(流傳)하다가 연천에서 삶의 대미를 장식해 연천 인물로 불렸던 미수 허목은 과거와 무관하게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까지 지냈다아홉 번 장원을 한 율곡은 판서(이조병조)에까지 올랐을뿐이다.(율곡과 미수는 59년의 나이 차이가 난다율곡; 1536년생미수; 1595년생시대가 다르고 상황이 다르지만 굳이 비교하자면 그렇다는 것이다


배승호의 어쩐지 나만 알 것 같은 역사에 흥미로운 글이 있다. ’서인이 짓고 남인이 쓴 취선암이란 글이다. “허목이 오대산 소금강(小金剛)에 간 적이 있다그리고 율곡 이이가 취선암(醉仙巖)이란 글을 써새겼다서인 종주인 이이가 이름을 짓고 남인 영수였던 허목이 글씨를 썼다둘의 세대가 달라서 만난 적은 없지만 남인과 서인은 앙숙이었는데이런 궁벽한 시골에서 아무도 모르는 화해(?)의 장면이 남아 있는 것이다....이이가 짓고 허목이 쓴 바위 글씨를 감상하고 바로 되돌아 1미터 앞철제 펜스를 넘어가면 넓적한 바위에 글씨가 또 있다후학지기대(後學知己臺), 후학이 자신을 알게 될 곳이라는 뜻이다이 또한 허목의 글씨라고 전해진다.” 


위기지학의 기()와 후학지기의 기()가 같다는 점이 눈에 띈다


* 앞서 말한 구도장원길과 어울리는 회화나무가 생각나게 한 것이 있다관청에는 장수와 정승이 도열해 있고 대궐 길가에는 삼정승을 의미하는 삼공(三公)과 여러 판서 등을 의미하는 구경(九卿)이 늘어서 있다는 의미의 천자문 중 두 구절인 부라장상 노협괴경(府羅將相 路挾槐卿)’이란 말이다.(‘는 회화나무를 의미하고나아가 삼공 벼슬을 의미한다.)


*서울 중구 정동의 캐나다 대사관을 지은 건축회사 사이트에서 대사관 앞의 회화나무를 가리켜 scholar tree(hakjasu)라 해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위기지학의 기()와 후학지기의 기()가 같다는 점이 눈에 띈다


앞서 말한 구도장원길과 어울리는 회화나무가 생각나게 한 것이 있다관청에는 장수와 정승이 도열해 있고 대궐 길가에는 삼정승을 의미하는 삼공(三公)과 여러 판서 등을 의미하는 구경(九卿)이 늘어서 있다는 의미의 천자문 중 두 구절인 부라장상 노협괴경(府羅將相 路挾槐卿)’이란 말이다.(‘는 회화나무를 의미하고나아가 삼공 벼슬을 의미한다.)


*서울 중구 정동의 캐나다 대사관을 지은 건축회사 사이트에서 대사관 앞의 회화나무를 가리켜 scholar tree(hakjasu)라 해놓은 것을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연천역 광장에 설치된 주목(朱木) 화분을 보며 붉은 색을 의미하는 한자들 가운데 짙게 붉을 강이란 글자가 들어 있는 능마강소(凌摩絳霄)를 생각했다. 장자(莊子)가 말한 북해의 물고기 곤(鯤)이 봉(鳳)이 되어 날아오르는 것과 관련한 의미라고 들었다. 유곤독운(有鯤獨運) 능마강소(凌摩絳霄)가 한 세트이다. 도남(圖南)을 생각하게 하고 미수(眉叟) 선생님을 생각하게 한다. 주역(周易)의 비룡재천(飛龍在天)과 연관지어 생각해도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