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2006년)에 <괴물들이 사는 나라>에 나오는 맥스의 나이가 40이라고 하더니, 올해는 에릭 칼의 <갈색곰아, 갈색곰아, 무엇을 보고 있니?>가 출간된지 40년이 되는 해라는군요. 방금 우연찮게 아마존에서 책검색하다가 < Brown bear,brown bear,  what do you see ?> 의 40주년 기념판을 팔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그렇다면 이 책이 67년에 나왔고 40년 동안의 지칠 줄 모르는 인기로 세대와 세대를 연결해주는 책이라는 말.  

저의 나라는 에릭 칼이 그다지 선풍적인 그림책 작가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데, 아마도 프뢰벨이 단행본으로 그의 책을 출간하지 않고 전집으로 묶어 팔면서 에릭 칼이 인기가 우리 나라에서는 좀 저조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옆나라 일본만 해도 작년에 가보니 에릭 칼의 경우 그의 작품을 따로 모아 놓고 파는 코너가 따로 있을 정도로 그의 인기는 하늘을 찌르더군요. 후카오카의 서점 3군데를 다녀봤는데 3군데 모두 에릭 칼의 작품을 모아 놓은 자리는 따로 있었습니다. 한 군데는 아주 작은 서점이었는데도 말입니다. 일단 잘 팔리고 인지도가 높으니깐 그런 자리를 마련해 준 것이겠죠. 
 
저도 많지는 않지만 한 10권 넘게 소유하고 있는데, 에릭 칼의 일러스트의 매력은  단순한 라인과 조화로운 색채가 아닐까 싶습니다. My secret birthday message 나 Dream snow같은 전체적으로 색을 다 쓴 작품조차 색의 가짓수는 몇 개 되지 않습니다만 따스하고 풍성하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색의 감각이 살아 있는 그림책 작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작품에 파란색으로 주조를 이루는 제인 레이처럼 에릭 칼도 파란 색을 기가 막히게 잘 쓰는 작가라는 생각이 드는데, 보통 일반적으로 파란색이 차가운 느낌이 강한데, 에릭 칼의 파란색은 따스한 느낌이 독자의 가슴에 스며드는 것 같이 느껴지죠.  저의 애들은 <배고픈 애벌레> 같은 책은 무척이나 좋아해서 거의 너덜너덜 해졌습니다. 저도 한번 를르외르 아저씨를 찾아가 볼까요.  

레오 리오니처럼 아주 커다란 감동의 울림도, 윌리엄 스타이그처럼 장난끼 넘치는 짖꿎음도, 크리스 반 알스버그처럼 정교하지도, 모리스 센닥처럼 깊이감은 2% 부족하지만, 유아들에게는 인기폭발 그림책답게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어린아이들보다 더 순수하고 어린이같은 마음을 갖고, 작품에다 온 힘을 다해 쏟아부었구나 싶습니다.  

에릭 칼은 그림책 판매도 상당하지만, 그의 그림책에서 나온 부가가치, 즉 캐릭터의 상품화는 거의 중소기업 수준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불과 같은 생활용품이나 기프트용품까지 그의 작품 속 캐릭터로 만든 제품이 이로 말할 수 없이 많습니다. 이런 점은 우리나라 그림책 시장이 본 받아하지 않을까 싶어요. 사실 백희나씨나 배현주씨의 뛰어난 작품이 그림책이라는 카테고리 안에만 묶는다는 것은 그들의 재능을 낭비하는 셈이죠. 좀 더 활발하게 그들의 캐릭터로 상품화 시키고 거기에서 얻은 이익으로  그림책이나 여타 다른 분야에 투자한다면, 그림책 시장이 지금보다 더 활발하게 움직일텐데 말입니다. 사실  우리나라의 그림책 시장은 전문적인 그림책 작가보다 일러스트 좀 한답시고 그림책에 뛰어들고 한 두작품 만들고 마는 어중이떠중이들이 넘 많아서.... 작품의 질이 하향곡선을 그릴 수 밖에 없습니다. 대표적인 사람을 들라하면... 그만하겠습니다. 괜시리 그 사람한테 상처주기는 싫네요. 

미국의 초등학교에서는 에릭 칼 주간까지 만들어 그의 책을 읽고 즐긴다고 하는데, 그의 미국내 저력을 다시 한 번 실감합니다. 그가 브라운 베어 40주년을 맞이하여 아마존과 잠깐 인터뷰한 글을 통해 그의 입을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잠깐 들여다 볼까요.
 

A Conversation with Eric Carle




어떻게 콜라쥬기법으로 일러스트할 아이디어가 떠올랐나요?

 

내가 콜라쥬를 개발한 것은 아니죠. 많은 예술가들이 쿨라쥬기법을 사용했습니다. 마티스, 피카소, 레오 리오니, 에즈라 잭 키츠등. 나는 작은 조각으로 전체적인 무언가를 만드는 과정을 즐기고 콜라쥬의 자유로움과 느슨함을 좋아합니다.

 

빌 마틴 주니어의 글 Brown Bear 가 당신의 독특한 일러스트기법에 영감을 불어넣어주었나요? 또는 이미 콜라쥬 기법을 실험하고 있었나요?

나는 예술학교(art school)에서 콜라쥬라는 매체를 도입하고 있었고 내가 그림책을 만들기 전에 광고회사에서 디자이너로서 이 기법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처음 빌 마틴의 관심을 끈 것은 콜라쥬스타일로 창조해낸 빨간 가재의 광고였습니다. 그리고 나서 빌은 나에게 자신의 글 Brown Bear 의 일러스트를 의뢰했던 것입니다. 

자신의 경력을 쌓는 과정에서 영향을 준 예술가는 누구인가요? 그리고 당신이 좋아하는 그림책 작가는 누구인가요?

나에게 영향을 준 예술가는 화려하며(colorful) 꿈꾸는 듯한 그림(dreamlike painting)을 그린 폴 클레(1879-1940)와 내가 자란 독일을 연상시켜주는 중앙유럽의 풍경과 소작농을 그렸던 브뤼겔(Pieter Brueghel,1525-1569)입니다. 내가 좋아하는 그림책 작가로는 레오 리오니, 호세 아루에고, 안노 미쯔마사, 모리스 센닥, 에즈라 잭 키츠, 제리 핑크니 그리고 알스버그입니다. 내 생각에는 이들 그림책 작가은 개성적이고 그들 특유의 스타일과 접근법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영혼(내면)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시대를 막론하고 좋아하는 그림책은 어떤 것이 있나요? 

내가 쓰지 않았던 아이들 책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작품은 <레오가 해냈어요 Leo the late Bloomer> 입니다. 로버트 크라우스가 쓰고 호세 아루에고가 그림을 그렸죠. 나는 이 작품의 중요인물과 여러 면에서 동일시하기 때문에  그리고 또한 일러스트레이션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 작품을 좋아합니다.  

당신의 작품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작품을 고르라면 그리고 이유는? 

<Do You Want to Be My Friend?>입니다. 우정에 대한 것이기 때문이죠. 
 

어떤 면에서, 아이들은 당신 책을 보면서 동물들과 자연 세계를 탐험하고 즐겁게 논다는 점에서, 당신의 책은 아이들에게는 논픽션과 같은 것입니다. 쓰고 싶어하는 또 다른 책이나 아이들에게 교육적으로 그리고 지식을 주기 위하여 쓰고 싶어하는 다른 책들이 있나요? 

나는 아이들에게 즐거움과 기쁨을 주기 위하여 글을 씁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작은 지식을 전달하기 위하여 글을 씁니다.그러나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독자가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내가 그린 자연이든 밝은 색깔이든 그림 안의 선에 반응하여 나의 책 세계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입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수 많은 작품을 발표했지만 상은, 심지어 칼데콧 상도 못 탔다고 하는군요. 한마디로 상복이 지지리도 없는 그림책 작가입니다. 하지만 상을 타고 잊혀진 수 많은 작가들에 비하면 그는 상 한번 받지 못했어도 작품활동 40년동안 끊임없이 전 세계의 어린이들에게 사랑받는 작가라는 사실은 변함 없는 것이겠죠. 
 

팁 하나 : 아마존에서 에릭 칼이 브라운 베어에 관한 일화와 칼의 작업실이 소개된 동영상이 있는데 도저히 어떻게 퍼오는 줄 모르겠어요. 주소만 밑에 써 났습니다. 남들은 이 주소만 클릭하면 곧바로 화면이 뜨는데 전 그것조차 할 줄 몰라서... 컴맹의 비애입니다.ㅎㅎ

 



 

http://www.amazon.com/gp/mpd/permalink/m3QHMVE0C92F9O:m11JX20RM2EM4R
 

 

 

  

 

이글의 원문이 아마존에 있는데, 어디에서 봤는지 기억이 나질 않아요. 제가  작년에 네이버 블로그에 글 썼을 때 에릭칼과의 인터뷰 을 네이버에다 옮겨놓은 적이 있는데, 제가 성질이 지랄 같아서 올해 네이버 회원탈퇴하면서..자료가 없어졌어요.  

 

 

 

 

 

 

 

 

 

 

 

등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집하는 그림책 중에서 여러 작가들의 The night before christmas 도 있는데, 이번에 토미 드 파올라의 이 책이 페이퍼백이지만 싸게 나와서 다른 작가들의 The night before christmas와 주문을 넣었더니 이 책만 품절이라네. 클래맨트 무어의 the night before christmas에 대한 관심은 팀 버튼이 비튼 The nightmare before chritmas에서 시작되었다. 집에 있는 The night before christmas 책이 일곱권 정도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화려하고 장식적인 것은 Mary Engelbreit의 작품, 사부다는 말할 필요도 없고. 이번에 주문한 책들은 바로 밑에 책들인데, 고환율임에도 불구하고 싸다. 내가 주문한 게 12월 23일께에 만원이 넘지 않았다. 다른 곳에서 토미 드 파올라의 작품의 이작품은 만원이 뭐야 , 이만원도 넘는다. 그렇다면 다음 기회에... 손에 넣을 수 밖에.

 

 

 

 

 

 

 

 

 

이건 예스에서 주문했는데, 이것도 품절이란다. 17천원해서 덥석 주문했더니.... 알라딘은 2만5천원선. 이렇게 비싸면 수집의 의미가 없다. 기다리고 기다릴지어니....... 가격이 어느 정도 떨어질때까지.  닐 게이먼과 데이브 매키의 그림책은 딱 나랑 맞아떨어지는 작가라고 하기엔 뭐하지만, 성완경의 설명이 없었더라면, 그.들.을 이해하는데 한참 걸렸을 것이다. 멀티 뭐라나.....그림책 읽다보면, 이야기가 뛰어난 작가가 있고 말이 뛰어난 작가가 그리고 그림이 글을 휠씬 능가하는 작가가 있는데, 닐 게이먼은 아이들이 보기엔 이야기가 뛰어난 작가다. 아이들에게 그들의 작품을 읽어주면, 이야기는 재밌다고 하는데, 그림은 정신 없다고, 별로 호감이 가지 않는다고 한다. 하기사 나도 그러는데 아이들이라고 별 수 있나...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10-04-27 20:47   좋아요 0 | URL
티메카라는 사이트에는 판매 할지도 모르는데.. 기억의 집님 저도 그림책 좋아하지만 비싸요ㅜㅜ

기억의집 2010-04-28 14:41   좋아요 0 | URL
네, 저는 주로 하프프라이스나 웬디북에서 많이 사고 정 거기서 못 사면 아마존에서 사는데 한 몇년은 산 적이 거의 없는 거 같아요. 저 그레이브 야드 읽었는데, 닐게이먼의 작품은 펑키해서 어떨 땐 버거울 때도 있어요. 근데 저도 상당히 키취적인 사람인데..... 버거울 때가 있더라구요.
 

며칠 전에 닐 게이먼과 데이브 맥키의 그림책을 뒤적거리다가 나귀님이 그들의 초기작 <흑란>에 대한 썼던 글이 생각나 다시 한번 참고하려고 갔더니 지난 글들이 다 지워진 것을 발견했다. 사실 그 순간 쇼크! 먹었다. 가슴이 철렁거리고 두근거리더라. 개인적으로 나귀님의 자료와 글이 나의 독서 지침서나 다름없었는데, 본인이 따로 글을 저장하고 다 지운 것인지..아니면 무슨 심경의 변화로 저장 없이 싸그리 몽땅 다 삭제한 것인지..... 초창기 때부터 작년 6월까지의 리뷰나 페이퍼는 따로 프린터해 보관해 놓고 있지만, 그 이후의 글들은 귀차니즘의 발동으로 따로 저장하거나 프린터 해 놓은 것도 없건만. 이런 날이 올 줄이야.....나귀님, 다시 자료들 제자리로 돌려놓을 수 없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딸애랑 어깨 들썩이며 듣고 있는 브아걸의 my stlye - 여러분한테는 딱 내 스탈의 남자 없으신가요? 솔직히 고백하면 저......있어요. 애아빠냐구요! No. (웃자고 올리는 포스트예요! 바람난 거 아니니까 읽고 웃어주세요^^)

히가시노 게이고의 괴소소설의 단편 모음중에 이런 내용의 단편소설있습니다.지독한 구두쇠 할머니가  갑자기 엔카 가수에 빠져 그의 공연이라면 무조건 쫒아 다니는, 나이 들어 늦바람 난 이야기가 실려있는데, 그 땐 그 단편 읽으면서, 일본아줌마들의 욘사마 사랑을 떠올리며 픽, 웃으며 그러려니 했습니다.  게다가  그 때 언니가 일본 배우 기무라 타쿠야가 너무 좋다며 그의 사진을 핸폰에 저장하질 않나, 팬카페에 가입하질 않나, 안하는 짓에 야, 니 미쳤냐 ! 형부보면 어떻하려고! 하며  나한테는 절대 그런 일이 날리가 없다는 듯히 웃어 제쪘습니다. 푸하하하! 하고 말입니다. 그런데 어머, 이거 왠일입니까!  저한테도 가슴 콩닥거리는 남자가 생겼습니다. 남편, 아니라니깐요!

 

 

바로 이 남자! 브아걸의 my style 노래말처럼 딱 내스타일의, 웃는 모습이 너무 매력적인 리로이 제스로 깁스!!!!!!!!!!!! 마크 하몬입니다.






 카야악~~~~~~~ 옵파~

아후, 나  어느날 이 미드보다가 이 남자의 이 웃는 모습에 반했잖아요. 제가 미드 중에서 콜케하고 이 ncis 좋아하는데, 마크 하몬 보는 재미에 더 꼬박꼬박 챙겨본다는 거 아닙니까. 한때 일본아줌마들의 욘사마 사랑을, 언니의 키무라 타쿠야 사랑을 , 중년아줌마의 발악이구나, 주책 좀 그만 떨어라 하며 이해하지 못하며 비웃음을 보냈는데,  지금은 다시 불어오는 그들의 설레이는 연애 감정을, 꺾여진 나이의 먼 발치의 사랑을 이해합니다. 이젠 설레이는 연애감정보다는 신뢰와 편안함으로 대하는 남편, 이젠 예전의 감정은 다시 맛보지 못하겠구나 싶었는데,  중년 아줌마의 핑크빛 바람이 꽃바람처럼 타고 오더란 말입니다. 핑크빛으로 세상이 보이냐구요? 그럼요, 이런 기분, 애아빠 만난 이후로 처음인걸요. 바람난 것도 아니고 우울하고 암울한 세상에 이 정도 기분 안 내면 어떻하겠어요. 대리만족! 근데 제가 마크 하몬 좋아하면서 안 사실인대요. 저는 나이 든 사람을 좋아한다는 것을 알았어요.




마크 하몬의 젊은 시절의 모습인데, 무척이나 잘생겼죠! 잘생기는 했는데, 저를 유혹하는 모습은 바로 나이 든 지금의 모습이네요. 52년생이니깐 거의 환갑 다 되간다는..... ncis에서 무척이나 까탈스럽게 나오는데...그 모습마저도 사랑스럽다는.(그냥 웃어넘겨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サンタのおばさん

    
 우리나라초판 산타아줌마의 겉표지

 현재 산타아줌마의 겉표지

성정체성을 다룬 히가시노 게이고의 <짝사랑>에서 연극대본으로 줄거리만 대강 나오는 것으로 기억되는데, 히가시노 게이고가 나중에 따로 이 <산타아줌마>를 동화로 일러스트 삽입하여 한 권의 책으로 낸 것이 바로 위의 책입니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성격하고는 전혀 다른 동화라 좀 뜨악했지만(사실 아니, 히가시노 게이고가 이런 책도 쓸 줄 안다말이야, 하고 놀랬다고 하는 게 더 맞겠죠!), 아주 좋았어라고 하는 것 좀 허풍이지만 전 무난하게 읽었습니다. 이 책 읽으면서 히가시노 게이고는 결혼을 했을까? 했으면 애는 있나? 작품 성격상 아기자기한 맛은 없던데... 아내한테는, 아이들한테는 어떤 아빠일까? 무뚝뚝한 아빠 아니면 닭살 아빠 ? 하고 궁금했더랍니다. 나이가 들수록 나 살기 바뻐 타인의 사생활은 덜 궁금한 법인데 말이죠. 히가시노 게이고가 다루는 주제가 좀 독특하잖아요. 히가시노 게이고는 사물을 보는 눈이 건조하다기보다는 차가워요. 전 히가시노 게이고 한국에서 나온 작품 거의 다 읽었는데, 읽으면 읽을 수록 애정이 가는 캐릭터는 없었어요. 어떤 작가의 작품을 계속 줄기차게 읽으면, 캐릭터에 동해 읽은 경우가 많은데, 이 작가는 그런 매력덩어리의 캐릭터는 없다는 거죠. 그냥 이야기가 재밌어서 계속 찾는 정도.

<산타아줌마>는 기존의 산타할아버지 대신 산타엄마를 내세웁니다. 글쎄, 천하의 히가시노 게이고가 페미니스트란 소릴 다 듣겠네! 라고 할 정도로 그의 작품 속의 여주인공들하곤 일치하지 않죠! 근데, 전 이 작품 읽으면서 히가시노 게이고가 말하는 엄마가 아니 여자도 산타가 될 수 있다라는 주장보다도 일러스트에 관심이 가더라구요. 여성적인 라인과 깔끔한 색채가 한 눈에 들어와, 이 스기타 히로미라는 일러스트 작가에 관심이 저절로 생기더라는. 그래서 이 아마존 들어가 히기시노 게이고 한자를 여기 인터넷서점에서 복사해 아마존 들어가 검색했더니,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볼 수 있었더랍니다. 다작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작품이 많습니다. 제 생각엔 여성 일러스트 작가 같은데... 우리나라 책날개에는 59년생이란 것밖에 작가 소개가 되어있지 않습니다. 나이에 비해 일러스트가 상당히 젊고 여성적이예요. 그 나이에(40대 초반에 이 작품의 삽화를 그렸습니다.)  이런 젊은 화풍을 갖는 다는 게 쉽지 않는데...  좀 더 있으면 일러스트 풍이 바뀔려나..저도 아주 많은 일러스트를 본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일러스트레이터가 나이가 들면 일러스트도 나이가 듭니다. 아주 미묘하든 아니면 급격히 라인이든 색채든 무엇인가가 변합니다. 아무리 일러스트 작가가 자신의 기존 방식을 그대로 유지한다고 해도 세월을 못 비켜나간다는 거죠. 하지만, 이 스기타 히로미가  그린 겉표지를 보면 이 작가는 기존의 자신의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요. 검색 결과에 나온 겉표지만 봐서는 확실히 알 수 없지만 그래도 그 나이에 이런 영(young)적인 분위기의 라인과 색채를 구사하기 힘든데 말입니다. 그래 이 작가의 일러스트에 혹해 한 번 구입하기로 했는데 바로 구입한 책이 밑의 30층 어쩌구저쩌구 하는 책입니다.  사실 몇 권 더 구입하고 싶었는데, 돈이 없어서....그림 많아 보이는 밑의 책을 주문했었어요. (그 때 몇 권 주문했어야 했는데..... ) 아래  그림책은 30층 건물 속 사람들을 그렸는데, 여기에 산타 아줌마 연극이 나옵니다.  그녀의 이전 작품 산타아줌마란 작품을 생각하면 이 그림책 속의 산타 아줌마 모습 보고 웃음이 풋, 나오다는.

30かいだての30ぴき (おはなしえほんシリーズ)














여기 15,16층에서 산타아줌마란 연극이 상영되고 있네요^^








아이들이 가볍게 읽을 수 있는 그림책인 것 같아요. (일본어를 몰라서~~) 디테일이 뛰어난 작가는 아닙니다. 그냥 평범한데 그림이 참 편안하고 쉽게 다가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일러스트 작가라는 것을 이 한 작품을 보면 알 수 있죠! 일러스트가 풍부해지는 사회가 되려면요, 튀는 작품보다 바로 이런 평범한 그림을 그리는 작가가 많아야 해요. 이런 그림들 틈에서 보고 자란 아이들이 언젠가 정말 뛰어난 삽화가가 탄생하거든요. 물론 저의 생각이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