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키
존 윈덤 지음, 정소연 옮김 / 북폴리오 / 2011년 9월
평점 :
품절
현재 스필버그 감독이 영화로 만들고 있다고 하는 초키. 더 놀라운 것은 1968년도에 쓰여진 책이고 예전에 TV시리즈로 만들어져 방영을 한 작품이라고 한다. 사람이 할 수 있는 상상 세계의 끝은 어디일까? 상상 속의 글이 영화로 만들어진다고 하니 어떤 그림으로 그려질지 기다려진다.
평범한 소년 곁에 나타난 미지의 인물(?) 초키. 다른 사람에게는 보이지도 않고 이야기가 들리지 않지만 매튜에게만 들리는 이야기. 만약 다른 사람 눈에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이야기만 나에게 들린다면 어떤 생각이 들까? 이 책에서도 '귀신들림'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우린 어쩌면 귀신이 씌였다고 말할 수 있을것이다. 혼자서만 들리는 이야기에 반응을 하는 모습을 지켜본다면 그것을 믿을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미친사람일지 모른다는 생각으로 그 사람을 외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나에게만 그런 소리가 들린다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 매튜처럼 담담하게 받아들이기 힘들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초키는 매튜 상상 속의 존재예요. 폴리의 피트가 그랬듯, 가상의 친구에게 이름을 붙였을 뿐이라고요. 드문 일도 걱정거리도 아니죠. - 본문 101쪽
우리도 이런 일이 생기면 매튜의 엄마 메리처럼 초키가 가상의 인물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에 대해 우린 쉽게 인정할 수 없으니까. 우리가 직접 보고 듣지 않는 상황에 대해서는 받아들이는 것이 힘들다라는 생각이 든다.
공상과학 영화나 책 속에는 미지의 별에서 온 외계인에 대한 이야기들이 종종 나온다. 과학적인 근거로는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곳은 지구 뿐이라고 하지만 어쩌면 우리가 모르는 어딘가에서는 다른 생명체가 있을지도 모른다. 어느 날, 초키가 우리 곁에 온다면? 그의 존재를 우린 쉽게 인정할 수 있을까?
훈련을 받았는데도, 가끔은 당신들 같은 '형태들'이 진짜 마음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믿기 어렵다. 나를 보고 내 형태에 마음이 담길 수 있다는 일은 당신들에게 더 어려우리라. 아니, 모르는 편이 낫다. - 본문 248쪽
초키의 눈에는 지구인들이 한심하고 그들이 가진 것이 초라하다고 생각하지만 순순한 매튜를 통해 마음이 움직이는데...매튜가 위험해질거라는 생각에 매튜 곁을 떠났지만 어쩌면 지금도 우리의 곁에 남아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