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역시 일단 해 보자는 심정으로 시작한 팟캐스트 프로그램이 있다. 씨네21 기획위원인 김혜리 기자님, 배우 임수정씨와 함께 만드는 영화 팟캐스트 <김혜리의 필름클럽>이다. - P17
"라디오 좋아하는 사람치고 나쁜 사람 없다는 게 제 생각이에요. 지금 이 시간에 라디오 듣는 모든 분들은 착하고 인간적인 분들!" - P20
"남의 얘길 듣잖아요. 다른 사람들의 사정을 자꾸 들으니까요?" - P23
Let‘s wave 저기 끝까지Be brave 끝날 때까지Oh love you make mymy birthday - P25
그러나 원한 적도 없던 마이크 앞에 서는 일을 어떻게 이렇게 계속 하고 있는지 내게 묻는다면, 나 역시 ‘어쩌다 보니‘라고 답할 수밖에 없다. - P32
감탄사가 담긴 문자 하나, ‘이런 걸 듣고 싶었다‘는 내용의문자 하나, 마지막으로 최상급 표현이 담긴 문자 하나. - P34
‘어쩌다 보니‘는 이렇게 수많은 우연과 선택,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스토리를 함축하는 말이 아닐까. 나의 계획과 의지가 나만의 힘으로 실행되는 일은 없다는 걸 시간이 지나면서 뼈저리게 느낀 나는 ‘어쩌다 보니‘라는 대답에더 이상 실망하지 않는다. 그저 느긋하게 ‘그 안에 얽혀 있는수많은 사람과 시간에 대해서 들을 준비가 됐습니다‘라는 마음으로 기다린다. - P36
예술에 관한 어떤 대화든 아는 것보다 느낀 바를 정확히 표현하는 것에 치중한 대화가 훨씬 흥미롭다. - P49
비슷한 성향의 사람 셋이 만나 일과 친분사이의 경계를 비슷하게 감지하고 감정적인 소모 없이 적절한거리를 유지하는 것. 이는 운의 영역이기도 하다. - P54
"우리는 Human doing이 아니라 Human being이라는 얘기를 들은 기억이 있는데 도움이 되었어요. 건강 잘 챙기길바라요!" - P57
"집안이 단박에 망하려면 부모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고 서서히 망하려면 자식이 음악을 하면 된다고 했다?" - P65
게다가 악보 따라 연주하는 것으로는성이 안 차음 하나하나 제 맘대로 정하겠다고 나선 우리들이피디로, 교사로, 통번역가로 각자의 위치에서 제 의지대로 활동하는 것이야말로 자연스러운 결과 아닌가. - P68
음악의 매력은 상세하게 설명할수록 정확한 이해가 뒤따른다는 상식을 배반한다는 데에서 나온다. 내 생각과 감정을 구구절절 얘기하는 것보다 눈빛만 보고 통했다고 느끼는 순간이 더 오래 기억에 남는 것처럼. 음악 안에서 통한다는 감각이란 쉬운 길을 놔두고 망망대해로 가서 낮은 확률을 뚫고 마침내 누군가와 한몸으로 헤엄치는 희열과도 비슷하다. - P80
성적도 외려 음대 과목보다 잘 받았다. 음악 말고도 궁금한게 많아 밖으로 꾸준히 나돌았던 나를 두고, 최근에 만난 과선배는 이렇게 얘기했다. "넌 그때도 피디 같았어?" - P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