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개의 유전자는 수많은 개체의 몸을연속적으로 거쳐 생존하는 단위라고 생각해도 좋다. - P85
여기에서 내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유전자를 정의하는 속성은 유전자가 사본 형태로 거의 불멸이라는 것이다. 유전자를 하나의 시스트론으로 정의하는 것은 어떤 목적에서는 적절할지 모르나, 진화를 논하려면 그것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P101
갓난아이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은 거의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그러나 한 아기와 또 다른 아기 사이에 있는 차이, 이를테면 다리 길이가 차이 나는 원인을 추적해 보면, 환경이든 유전자든 하나 내지 두세 개의 단순한 차이를 쉽게 발견할 수있을지도 모른다. 치열한 생존 경쟁에서 중요한 것은 차이이고, 진화에서 중요한 것은 ‘유전자에 의해 제어되는 차이‘이다. - P104
이 논의의 기초가되는 것은 유전자가 불멸인 데 비하여 몸 이상의 큰 단위는 일시적이라는 가정이었다. 이 가정은 두 가지 사실, 즉 유성생식과 교차가 있다는 사실과, 개체는 죽을 운명이라는 사실에 근거를 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명백하지만 우리는 그것들이 왜 사실일 수밖에 없는가라는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왜 우리와 대부분의 다른 생존 기계는 유성생식을 하는 것일까? 우리의 염색체는 왜 교차하는 것일까? 그리고 왜 우리는 영원히 살지 못하는가? - P107
‘우리는 왜 늙어서 죽는가‘라는 의문은 복잡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그 내용을 상세히 기술하는 것은 이 책의 영역을 넘어선다. 우리가 왜 늙어서 죽는지에 대해 경우마다 다르게 적용되는 이유뿐만 아니라 더 일반적인 이유도 몇 가지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노쇠는개체의 생애 동안 일어나는 복제 과정의 유해한 오류와 유전자 손상이 축적되어 생기는 것이라는 이론이 있다. 피터 메더워 Peter Mecaves 이 주장한 또 다른 이론은 진화를 유전자선택에 근거한 것으로 생각하는 사고방식의 좋은 예가 된다. 메더워는 우선 다음과 같은 전통적인 가설을 기각하였다. "늙은 개체가 죽는 것은 그 종의 나머지 가체에 대한 이타적 행위다. 왜냐하면 번식할 수 없을 정도로 늙어서도살아 있는 개체는 세상을 어지럽히기만 할 뿐이기 때문이다"라는 종래의 설은, 메더워가 지적하고 있듯이 순환 논리다. - P108
일반적으로 이 원리는 다음과 같다. ‘목적기계‘, 즉 의식적인 목적을 갖고 있는 것처럼 행동하는 기계 내지 물건은 사물의 현재 상태와 자신이 ‘바라는‘ 상태의 차이를 측정하는일종의 장치를 가지고 있다. 이 차이가 클수록 기계는 더 열심히 돌아가도록 만들어진다. 이렇게 해서 기계는 자동적으로 그 둘의 차이를 좁혀 가며 (이 때문에 ‘음의 피드백‘이라고 불린다), 자신이 ‘바라는‘ 상태에 도달하면 작동을 멈춘다. - P126
복잡한 세상에서 예측이란 불확실하기 마련이다. 생존 기계가 내리는 결정은 모두 도박이다. 따라서 유전자가 할 일은 뇌가 평균적으로 이득이 되는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뇌에 미리 프로그램을 짜놓는 것이다. - P134
크고 복잡한 경쟁 시스템 속에서는 눈앞의 경쟁자를 없애는 것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그 경쟁자의 죽음으로 당사자보다 다른 경쟁자가 이득을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 P1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