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화도 설계하는 시대가 온다 - AI와 바이오 혁명이 바꾸는 노화의 미래
박상철.권순용.강시철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5년 4월
평점 :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100세 시대, 문제는 오래 사는 게 아니라 어떻게 사느냐다!
인공지능,생명과학,유전자 기술등이 융합되며 노화를 직접 조절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노화를 숙명처럼 받아들이는 시대는 끝났다.
그렇다면 앞으로 노화를 위해 어떻게 받아들여야할까를 많이 고민인데 노화도 설계하는 시대가 온다고 하니 기대가 된다.
노화는 퇴보가 아니라 설계할 수 있는 미래라고 한다.과연?이라는 질문과 함께 책을 펼치게 된다.
노년은 단순한 쇠퇴가 아니라 지혜와 경륜의 상징이며 존엄성을 회복해야 할 가치
인간 구조의 변화는 위기가 아닌 도약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
노화는 쇠퇴가 아닌 창조적 여정, 최고령인은 더 이상 죽음을 기다리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다. 그들은 생물학적 나이를 초월해 더 깊은 지혜와 통찰을 획득하는 존재로 노년 초월이론이 보여주듯 나이듦은 단순한 쇠퇴가 아니라 새로운 의식 차원으로의 도약이다.

AI의 유전체학의 융합으로 개인 맞춤형 약물 요법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개인 맞춤형 약물 요법은 환자의 유전적 특성뿐만 아니라 생활 습관, 환경요인까지 고려해 가장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치료법을 찾는 방식, 개인 맞춤형 요법의 대표 사례로 미국 국립암연구소가 진행중인 MATCH임상 시험이 있다고 한디. 이 시험에서 AI를 활용해 환자의 종양 유전체 정보를 분석한 뒤 이를 바타응로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표적 치료제를 선택한다고 한다.

치매없는 세상이 가능할까, 뇌과학이 말하는 건강한 노화의 조건을 통해 뇌의 잠재력을 깨우는 기업들을 만나볼 수 있고 100세시대, 문제는 오래 사는 게 아니라 어떻게 사느냐의 문제이다라는 생각에 노화를 숙명처럼 받아들이는 시대는 이제 끝이라는 것을 깊이 인식하고 노화도 설계할 수 있는 시대가 기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