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고뉴 와인
백은주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야말로 브르고뉴 와인에 대한 정보를 집대성한 유일무이한 최고의 도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부르고뉴 와인이라는 놀랍고 신비로운 세계로 들어가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친절한 입문서이자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라 확신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르고뉴 와인
백은주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인 애호가라면 누구나 부르고뉴 와인을 알고 있을 것이다. 브르고뉴는 보르도와 함께 프랑스 와인을 대표하는 지역이다. 와인 애호가라면 누구나 한 번쯤 반드시 거쳐 가게 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대중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브르고뉴는 피노 누아와 샤르도네 품종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섬세하며 고귀한 와인을 만드는 곳이다. 브르고뉴만이 보유하고 있는 불가사의하며 놀라운 지질학적 특성에 양조를 하는 인간의 정성과 뛰어난 노하우가 더해져 오랜 세월 많은 이들의 칭송을 받은, 지구상에서 가장 순수하며 매력적인 와인이 탄생할 수 있었다.


와인 교육가이자 부르고뉴 와인 스페셜리스트로 알려진 저자 백은주가 저술한 <브르고뉴 와인>은 부르고뉴 와인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식부터 브르고뉴의 각 지역별 특징과 포도밭 지도, 주요 그랑 크뤼와 프르미에 크뤼 등 와인을 공부하는 이들이 꼭 알아야 할 대표 와인들을 친절하게 해설하고 수록하였다. 그야말로 브르고뉴 와인에 대한 정보를 집대성한 유일무이한 최고의 도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부르고뉴 와인이라는 놀랍고 신비로운 세계로 들어가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친절한 입문서이자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라 확신한다.


저자 백은주는 부르고뉴 대학교에서 와인 양조를 전공하고 경희대학교에서 외식경영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부르고뉴의 도멘 드 라 부즈레, 루 뒤몽 그리고 샤토 몽투스 등 여러 도멘에서 포도 재배 및 와인 양조 등의 경험을 쌓고 난 후 귀국하여, 현재 와인 교육가 및 와인 전문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브르고뉴 와인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무 경험을 겸비한 최고의 전문가라 할 수 있다. 많이 알수록 많이 느낀다는 말처럼 <브르고뉴 와인> 한권이면 와인 애호가로서 와인의 깊은 풍미를 한층 더 느끼고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은 버섯 - 제3회 사계절그림책상 수상작 사계절 그림책
정지연 지음 / 사계절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은 존재들이 돌고 돌며 일으키는 웅장한 세계"


정지연 작가의 제3회 사계절그림책상 수상작 <작은 버섯>은 우연히 발생한 작은 솔방울의 두드림으로 숲속의 크고 작은 생명체들이 깨어나고 성장하면서 거대한 세계를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을 그린 그림책이다. 자연 안에 존재하는 작은 존재들이 가진 에너지가 순환하면서 거대한 세계를 이루는 것을 경쾌하고 재치넘치는 이미지와 필치를 통해 잘 표현하고 있다. 작은 솔방울이 우연히 대지에 떨어지면서 작은 버섯을 깨운다. 깨운다는 것은 에너지를 전하고, 생명력을 불어넣는 것이다. 이 새로운 만남과 탄생을 기점으로 에너지의 선순환이 이루어진다. 솔방울이 깨운 버섯이 사슴을 깨우고, 사슴이 다시 버섯들을 깨우는 상호작용을 거쳐 거대한 숲을 만들어 간다.


"이것이 생명의 순환. 우리 모두를 움직이지. 절망과 희망을 통해, 신념과 사랑을 통해, 우리가 있을 곳을 찾을 때까지. 감겨 있던 것이 풀리는 길 위에서... 그 순환 속, 생명의 순환 속에서... (It's the circle of life. And it moves us all. Through despair and hope, Through faith and love, Till we find our place. On the path unwinding. In the Circle, The Circle of Life.)" - 라이온 킹 <The Circle of Life> 중에서 -


어느 날 아침에 출근하면서 직장에 도착할 때까지 만나는 나무들의 종류를 세어보면서 그동안 의식하지 못했지만 나무가 내 일상 속에 이렇게 깊이 들어와 있었구나 하는 생각을 했던 적이 있다. 라이온 킹 <The Circle of Life>의 가사처럼, 또 정지연 작가가 <작은 버섯>을 통해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 처럼 자연은 생각보다 우리 삶 가까이에 있다는 것, 또 세상 안에서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존재한다는 것을 느낀다. 나무는 꽃과 풀, 작은 버섯, 곤충들과 함께 하면서 크고 작은 동물들과 인간들의 삶과 연결되고, 다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와 연결된다. 에너지의 생성과 소멸을 이토록 재미있고 경쾌하게 표현할 수 있을까?


스스로 작은 존재라고 생각하는 아이들은 <작은 버섯>을 보며 큰 용기와 희망을 얻는다. 결국 작은 버섯이 커다란 숲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바꾸었으니 말이다. 아니 아이들 뿐만이 아니다. 함께 하는 작은 두드림이 새로운 에너지로 연결되고, 결국 큰 세계를 이룬다는 건 어쩌면 어른들에게 더 필요한 메시지이지 않을까? 작고 약한 존재라 하더라도 그들의 힘으로 인해 세상이 더 풍요롭게 하고, 하나의 웅장한 세계를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것은 어른들이 필요로하는 응원이기도 하니 말이다. <작은 버섯>을 읽으며 나는 마음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작은 물결과 파동, 울림을 느꼈다. 이렇게 작가의 진심이 독자들에게 전해진 것이 <작은 버섯>을 제3회 사계절그림책상을 수상하게 된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다. '어린이들은 이 책을 통해 자신이 만들어 낸 울림이 세상을 더 풍요롭게 한다는 것을 경험할 것'이라는 사계절그림책상 심사평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정지연 작가는 잔잔한 호수에 퍼지는 물결처럼 읽는 사람의 마음에 작고 고요한 파동이 일어나 간질간질해졌으면 하는 바람으로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린다고 한다. 아직은 책에 담긴 메시지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아이들이지만, 육아를 하는 부모로서 내 아이들이 앞으로 살아가면서 아빠와 함께 이 책을 읽으며 나눴던 지금 이 순간의 온기를 기억하길, 또 이를 통해 삶의 가치를 조금씩 알아갔으면 하는 작은 바람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은 버섯 - 제3회 사계절그림책상 수상작 사계절 그림책
정지연 지음 / 사계절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함께 하는 작은 두드림이 새로운 에너지로 연결되고, 결국 큰 세계를 이룬다는 메시지를 담은 이 책을 읽은 독자들이 책을 읽으며 느꼈던 지금 이 순간의 온기를 기억하길,�또 이를 통해 삶의 가치를 조금씩 알아갔으면 하는 작은 바램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쩌면 가장 보통의 인간 - SF 작가 최의택의 낯설고 익숙한 장애 체험기
최의택 지음 / 교양인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에세이 전체가, 그리고 내가 썼고 쓰고 있으며 쓰게 될 모든 글이, 나라는 사람이 움직여 온 경로를 미분해서 각각의 사건이 지닌 의미를 해석하는 동시에 그것들을 적분하여 전체 그리고 플러스 알파의 의미를 추출하는 일일 것이다. 그 결과는 분명 에너제틱할 것이다." (p. 225)

 

 

브레히트는 헤겔의 “진리는 구체적이다. (Die Wahrheit ist konkret.)” 라는 명제를 즐겨 인용했다구체적이지 않은 진리는 인간을 모호한 주관적 확신으로 이끈다때문에 진리는 언제나 구체적일 필요가 있다이는 에세이나 자전적 글쓰기에도 적용되는 명제다생동하는 저 세계를 구체적으로 겪어내고 구현해내야 한다구체적이지 않고서는 독자의 마음을 관통할 수 없다비비언 고닉도 자전적 글쓰기에 관한 지침서 <상황과 이야기(The Situation and the Story)>에서 자서전의 주제는 항상 자기 인식이 우선이지만 실체가 없는 자기 인식이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좋은 글은 실제로 경험하고 목격한 것들을 살아 있는 어휘로 표현되는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독자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자전적 에세이는 자신의 경험과 체험생각을 솔직하게 담아서 가장 쉽고 명확한 어휘와 문장으로 누구나 읽고 싶게 써야 한다는 것이다. 최의택 작가의 <어쩌면 가장 보통의 인간>에 많은 독자들이 공감하는 이유는 화자는 절대적으로 구체적 진실을 이야기해야 하며불명확하게 또는 모호하게 두리뭉실한 문장으로 독자들을 속여서는 안 된다는 자전적 글쓰기의 기본 명제를 충실하게 지켜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 에세이는 분명 에너제틱하다.

 

 

"장애인이 아닙니다. "장애 '경험자'입니다.“

 

 

우리를 만드는 것은 경험 그 자체가 아니라 경험에 반응하는 태도라고 생각한다우리는 수많은 경험을 하면서 삶을 살아간다. 동일한 사건을 경험하면서도 사람들은 서로 다른 언어적신체적심리적 반응을 보인다이는 그 사건을 대하는 개인의 신념과 사고체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흔히 언급되는 A-B-C 법칙처럼 '사건(Accident)'을 경험하면서 개인은 자신만의 '신념(Belief)'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Consequence)'를 창출해내는 것이다인간은 저마다 '진실'을 바라보는 다채로운 시각을 가지고 있고이러한 인식하에 본능적으로 자신을 정당화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계'가 필요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보면 우리 모두는 저마다의 역사와 존재이유를 가진 하나의 섬이다인간의 삶은 평범한 사건들이 빚어낸 기적이고 역사고사소하고 시시콜콜한 삶의 순간들이 누적되어 이루어진 인생은 누구에게나 값지고 귀한 것이다그러한 순간들이 모여서 시간과 역사를 이루고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개별적 세계가 빚어지기 때문이다서로의 고유한 존재방식상실과 결핍의 기억들은 우리 각자를 섬으로 만든다하지만 섬은 연결과 단절의 이중성을 가진 특별한 공간이다수면 위 드러난 부분을 기준으로 보면 섬은 단절된 공간이지만 드러나지 않은 수면 밑으로 섬과 섬들은 연결되어 있다삶이란 저마다 쌓아 둔 사연들로 섬들이 나누는 대화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서로가 단절된 채 살아가는 것 같아 보이지만 우리는 함께 더불어 살아가며 서로의 존재를 느끼고 온기를 나누는 존재들이니 말이다.

 

 

 "삶이라는 건 층층이 쌓인 무수한 목소리들을 다루는 고고학과도 같다내게 없어선 안 되는 게 있다면바로 그 목소리들이다." - 비비언 고닉 -

 

 

현재의 삶은 지나온 삶의 이력을 빼놓고 말할 수 없다작가의 지나온 삶에 관한 기록을 읽으며현재까지  삶에 존재했던 행복했던 기억아픈 추억낯설고도 친밀한 기억들이 떠올랐다지나온 세월 동안의 경험과 기억들은 현재의 우리를 구성한다즐거웠던 추억과 기억에서 지우고 싶은 아픔들간절히 돌아가고 싶은 시절과 떠올리는 것조차 두렵고 고통스러운 시절들을 거쳐 오늘의 우리가 있다우리는 행복했던 시절의 추억들을 기억하며 현재를 살아간다이는 우리의 잠재의식 속에 행복한 기억들을 화석화하여 영원과 불멸의 세계에 편입시키고자 하는 욕망이 있기 때문이며 이는 현실을 살아가는 동력으로 작용하기도 한다하지만 기억은 불완전한 것이고 객관화된 진실은 아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을 살아가다보면 우리는 '사실 (事實)' 보다 '사연 (事緣)'이 중요해지는 순간들을 만나게 된다라쇼몽 (羅生門)의 대사처럼 진실이란 어차피 그 사람이 진실이라고 생각하고 싶은 것에 불과한 것인지도 모른다기억은 현재의 삶 안에서 고동치는 두 번째 심장이자미래의 삶에 대한 이정표이다우리가 어떤 일을 겪고 경험을 하든지 간에 그것을 현재 시점에서 어떻게 재생하고 재구성하느냐에 따라 행복한 기억이 될 수도 뼈아픈 추억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이런 의미에서 모든 개인은 모더니스트 (Modernist)인 동시에 자기 자신의 역사가 (His own Historian)라고 할 수 있다.

 

 

"제가 관심 있는 건 인간이되 인간이 아닌 인물들. 인간 밖의 인물들, 굳이 인간이 아니어도 되는 인물들, 우리가 인간이라고 부르는 울타리를 벗어나는 인물들, 그런 인물들에게 관심이 가는 데요." (p. 161)

 

 

삶은 참으로 알 수 없는 것이다안정된 상태라고 느끼는 순간기다렸다는 듯 미지의 것이 느닷없이 닥친다이렇게 질서가 무너진 혼돈 속에서 우리 삶은 현실부정과 절망, 미래에 대한 두려움에 잠식되어 간다삶은 질서와 혼돈으로 점철되어 있다안정된 질서 속에 갑자기 혼돈이 찾아오기도 하는 반면, 모든 것을 상실한 듯한 절망적 순간에 새로운 질서가 나타나기도 한다삶의 길을 걸어간다는 것은 질서와 혼돈의 경계 위에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삶에서 인생의 의미가 빛을 잃어가고절망과 두려움이 고개를 드는 순간과 마주칠 때 우리는 무엇에 의지하며 세상을 살아가야 할까? 인생을 살아가는 간다는 것은 어쩌면 조금씩 퇴보하고 소멸해가는 과정인지도 모른다하지만 인간이 죽음을 예정하고 있는 유한한 존재라는 것과 그러한 운명에도 불구하고 삶 속에서 인간적 가치를 유지하는 것은 존재와 소멸의 문제와는 또 다른 차원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정글과 같은 삶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다절망속이라 해도 함께 있다면 타인의 고통을 느낄 수 있고 자신의 아픔도 진정시키는 순간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한 자각과상대방의 존재에 대한 ‘인정’ 그리고 ‘이해는 품이 드는 일이다그것은 환경의 제약 속에서 타인과 삶의 온도를 맞춰가는 일이며상대적 성숙의 시간을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하지만 그러한 과정을 거치며 우리는 삶을 무조건적으로 거부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흐릿하게 잡힐 듯 떠오르는 희망에 대해삶의 온기에 대해 느낄 수 있는 것 아닐까

 

 

"엉뚱하고 허튼소리를 잘 하는 또라이인 나의 이야기를 통해, 그저 분류로서만 존재하는 당신의 당신의 이름을 찾을 수 있기를, 진짜 당신을 찾을 수 있기를, 따옴표를 벗어 던지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나는 좋겠다." (p. 285)

 

 

화제가 되었던 룰루 밀러의 에세이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의 부제는 상실, 사랑, 그리고 숨어 있는 삶의 질서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 책에 대해 미국에서 가장 유쾌한 과학 저술가라고 불리는 메리 로치는 서정적인 동시에 지적이고, 사소하면서 거대하고, 별나면서도 심오한 완벽한 책으로 평했고 인디애나 존스이자 에밀리 디킨슨라는 별칭을 가진 세계적인 생태학자이자 탐험가, 작가인 사이 몽고메리는 이 책은 당신의 가슴을 사로잡고, 상상력을 장악하고, 예상을 박살 내고, 당신의 세계를 뒤흔들 것이다.“라고 평했다.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가 수많은 독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었던 이유는 '누군가 그어 놓은 선 저 너머를 보려고 노력하는 것 그 자체가 삶의 소중함과 삶을 살아가는 지침이 될 수 있다'는 룰루 밀러의 삶에 대한 철학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중구난방으로 접했던 지식의 단편들이 '조각 모음' 되는 것이 피부에 와 닿을 정도인데, 나는 그런 느낌이 정말 좋다. 새로운 앎을 얻는 것도 좋지만,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이 합쳐져 더 큰 의미를 지니게 되는 과정은 그 자체로 짜릿함을 선사한다. (p. 50)"는 최의택 작가의 말처럼 삶에 대한 아포리즘은 새로운 지식 보다는 새로운 시각과 관점에서 더 많이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최의택 작가의 체험적 진리가 담겨 있는 <어쩌면 가장 보통의 인간>은 정해진 경계를 넘어 진짜 당신의 이름과 삶을 찾을 수 있게 용기와 희망을 주는 에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