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살았던 날들 - 죽음 뒤에도 반드시 살아남는 것들에 관하여
델핀 오르빌뢰르 지음, 김두리 옮김 / 북하우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삶은 별자리와 같다는 생각을 했다. 별자리는 저마다 거리와 밝기가 다른 별들로 구성되어 있다또한각각의 별들은 한 곳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제각기 다른 속도와 방향으로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하지만 별들은 인간의 가시거리를 아득하게 넘어서는 먼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우리는 각각의 별들의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해내지 못하고 고정되어 있는 하나의 군집된 별자리로 인식하게 된다수천 년의 시간 동안 별자리의 모습이 거의 변하지 않은 것의 이면에는 이런 사실이 숨겨져 있다.

 


삶을 뜻하는 단어 '하임'은 복수형이다. 히브리어로 삶은 단수형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 언어는 우리에게 저마다 다른 여러 삶이 있고, 그 삶들은 연속된 것이 아니라 서로 얽혀 있다고 말한다.” (p. 33)

 


 <당신이 살았던 날들>을 읽으며 저자의 이야기들이 모여 하나의 별자리를 이루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저마다 개별적 삶을 살면서도 타인과 또 세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한 시대를 이루고그것이 되풀이되고 순환되는 과정을 거쳐 역사를 구성하는 인간의 삶이 마치 별자리와 같다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어쩌면 우리 모두는 끊임없이 서로를 향해서 또 내면으로 침잠하면서 저마다의 속도와 방향으로 이 세계를 유랑하는 방랑자들이 아닐까

 


우리가 사는 내내,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생명과 죽음은 끊임없이 손을 맞잡고 춤을 춘다.” (p. 23)

 


죽음은 삶의 일부분이다. 우리는 살면서 수많은 상실의 순간들을 경험하고, 종국에는 우리도 피할 수 없는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작가가 삶과 죽음에 대해 언급하는 대목을 읽으며 인디밴드 브로콜리 너마저의 <>의 가사가 떠올랐다.

 


"우린 긴 춤을 추고 있어. 자꾸 내가 발을 밟아. 고운 너의 그 두 발이 멍이 들잖아. 급한 나의 발걸음은 자꾸 박자를 놓치는 걸. 자꾸만 떨리는 너의 두 손."

 


삶이란 무엇이고, 죽음이란 무엇일까? 저자의 말처럼 아무도 삶과 죽음에 대해 명확히 말할 수 없다는 것이 우리가 내릴 수 있는 가장 정확한 정의일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삶과 죽음은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이다. 처음 손발을 맞춰 춤을 추는 두 사람처럼 삶에 닥치는 상실의 순간은 누구에게나 힘겹고 익숙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한 상실을 경험하며 우리는 때론 상대의 발을 밟기도 하고, 때로는 박자를 놓쳐서 상대가 손을 떨게 만들기도 한다. 이는 삶의 온도를 맞춰가는 과정으로 상대적 성숙의 시간을 요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괴테는 색의 근원을 파랑과 노랑 두 가지로 규정한다. 이는 빛과 그림자, 힘과 나약함, 포용과 분리를 상징하며 두 가지 색의 공존은 역동적인 의미를 생성하는 근원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에서 베르테르가 삶의 마지막 순간에 노란색 조끼와 푸른 연미복을 입은 이유이다. 삶을 살아가다 보면 이러한 괴테의 주장에 깊이 공감하게 된다. 베르테르의 열정적 사랑이 금빛 물결이 되어 흘러가다가 현실의 벽 앞에서 좌절하여 저 푸른 심연 속으로 사라진 것처럼 삶을 살아가다보면 빛과 어둠, 기쁨과 슬픔, 희망과 절망이 마치 동전의 양면처럼 삶 속에서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게 되는 순간을 맞이하기 때문이다. 삶과 죽음이 손을 맞잡은 곳에서 이야기가 계속된다는 작가의 말에 깊이 공감하는 이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만의 산타 웅진 세계그림책 218
나가오 레이코 지음, 강방화 옮김 / 웅진주니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직 나만을 위한 산타가 있다면 어떨까?"



동화는 기본적으로 어린이들을 위한 이야기다. <나만의 산타>를 읽으며 동심을 그림책으로 표현한 가장 적합한 책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나만의 산타>는 오직 나 하나만을 위해 일년 내내 정성껏 선물을 만들고 직접 선물을 전해주는 산타가 등장한다.


동화 같은 이야기를 자수를 통해 아기자기하게 구현해낸 그림책의 컨셉이 마음에 들었다. 아이는 물론 어른들에게도 친숙하고 아이와 공감대를 형성시켜줄수 있는 최고의 구현방법이 아닐 수 없다. 아이는 물론 모든 아이와 함께 동화를 읽고자 하는 어른들을 위해 강력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아이
안녕달 지음 / 창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 아동문학의 기틀을 닦았다고 평가 받는 안데르센은 사실 다방면에 걸쳐 활동한 문학가였다. 『 미운오리새끼 』,『 인어공주 』, 『 성냥팔이소녀 』 등 빛나는 그의 동화들은 그의 수많은 작품 중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그는 시와 소설, 기행문을 남겼고 작가이기 이전 연기자를 꿈꿨던 자신의 청년시절을 대변하듯 극작가로서도 재능을 드러냈다. 안데르센이 자신이 아동문학가로만 인식되는 것에 불편한 기색을 드러낸 일화는 유명하다. 말년에 자신이 아이들과 함께 있는 동상을 세우려는 사람들에게 안데르센은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내가 쓴 이야기들은 어린이를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어른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어린이들은 단지 내 이야기의 표면만을 이해할 수 있으며, 성숙한 어른이 되어서야 온전히 내 작품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오늘날 그의 모국 덴마크에 있는 안데르센의 동상들은 모두 오롯이 그 혼자만의 모습으로 남아 있다. 동화를 단순하게 정의한다면 동심을 바탕으로 어린이를 위하여 지은 산문문학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광범위하게 본다면 동화가 지향하고자 하는 바는 어린이들만을 위한 이야기를 넘어 인간 보편의 진실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여 인생의 의미를 전달하는 이야기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안데르센이 아동문학가라는 평가에 불편한 기색을 드러낸 이유도 동화의 의미를 좁게 보는 당대 사람들의 인식 때문이 아니었을까? 



『 눈아이 』는 하얗고 깨끗한 눈처럼 순수한 동심을 가진 아이가 눈사람을 만나 우정을 쌓고, 피할수 없는 이별로 헤어짐을 경험하는 과정을 다룬 감동적인 동화다. 어린 시절 눈사람은 아이들의 소중한 친구였다. 겨울에 눈이 내리면 아빠, 엄마, 친구들과 눈사람을 만든 기억을 누구나 갖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어느 순간 어른이 된 우리는 이를 잃어버린 채 살아가고 있다. 눈사람은 그저 눈사람일 뿐이고, 마음을 주고 받을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는 건 어른의 시각이다. 눈사람이 사람으로 변하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다. 상식에 매몰되어 있는 어른에게 『 눈아이 』 잊고 지냈던 어린 날의 기억, 동심을 떠올리게 만들어 준다. 딸아이와 함께 읽을 책으로 우연히 『 눈아이 』를 선택했다. 하지만 『 눈아이 』는 너무나도 훌륭한 동화이지만, 단지 아이들만을 위한 동화로 남기에는 너무나 아쉬운 측면이 있다. 



동화의 재해석을 언급한 것은 비단 안데르센만이 아니다. 생떽쥐베리의 어린 왕자는 친구 레옹 베르트를 위한 헌사로 시작된다. 이 유명한 헌사를 통해 작가는 한때는 어린 아이였을 자신의 친구에게 이 책을 헌정하겠다는 말을 남기고 있다. 모든 어른들은 처음에는 어린이였기 때문에 작은 소년이었을 때의 자신의 친구 레옹 베르트에게 자신의 책 『 어린 왕자 』를 헌정한 것이다. 『 눈아이 』는 시대를 거슬러 우리 곁에 있는 동화처럼 동심을 간직한 채 살아가는 모든 “어른 아이”들을 위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만의 산타 웅진 세계그림책 218
나가오 레이코 지음, 강방화 옮김 / 웅진주니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만을 위한 산타가 있다면...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행복해지는 그림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와인 바이블 - 출간 35주년 스페셜 에디션
케빈 즈렐리 지음, 정미나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인 바이블>이라는 책 이름처럼 35년이라는 세월 동안 350만부라는 경이적인 판매고를 기록한 와인 분야 최고의 베스트셀러이자 고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eremy 2021-12-18 12: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실제로 Karen MacNeil 이 쓴 와인에 대한 책 중 유명한
˝The Wine Bible˝ 이란 책이 있는데

왜 헷갈리게 Wine 하면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봄직한
Kevin Zraly 의 책 제목,
˝Windows on the World Complete Wine Course˝ 를
저렇게 명명했을까요?

아무리 그의 책이 와인계의 성경에 버금간다지만
일단 다른 누군가의 책 제목이 정말로 ˝와인 바이블˝ 이라면
두 작가 모두를 존중한다는 취지에서도
와인계의 고전인 이 책의 원제목을 그냥 살리고
부제처럼 ˝와인계의 바이블˝,
이라고 덧붙이는 게 낫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잭와일드 2021-12-20 16:43   좋아요 1 | URL
네 부제로 표현하기엔... 마케팅적인 요소를 많이 감안하여 그렇게 결정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