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팔트 위에 씨앗을 뿌리다 - 백남기 농민 투쟁 기록
정은정 지음, 윤성희 사진 / 따비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1월 25일이 이 책의 초판 1쇄 발행일인데,
책이 나오기도 전에 별점테러를 남긴 자들은
그 저의가 따로 있을 것이다.

먹고 사는 일의 신성함을 온 몸으로 실천한 백남기 농민의
삶과, 쓰러진 후의 이야기를 다룬 책으로서, 뉴스로만 간간이 접하다
이제 시간도 제법 흘러
사람들의 기억에서 점차 지워질 만할 때 이런 책이 나와주어 다행이다.

이런 투쟁의 기록이 없다면,
한 성스러운 농민의 생이
권력과 권력에 결탁한 언론에 의해 사실과 다르게 전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또한, 백남기 농민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수많은 ‘백남기들‘의 이야기이자, 부인 박경숙님의 이야기이다.

책에서 읽은 몇몇 구절들...

 ‘쌀값 21만 원 보장‘은 본래 2012년 대선 당시 박근혜의 공약이었다. 민중총궐기대회 무렵 쌀값은 한 가마니에 평균 15만 원대였다. 쌀 최대 산지인 전라도의 쌀값은 한 가마니당 14만 원에서12만 원선까지 주저앉았다. 공깃밥 값으로 따져보면 한 그릇에200원인 상황이 20년간 지속되었다는 뜻이다. 농민들이 요구한쌀값 21만 원은 1킬로그램당 3,000원이다. 공깃밥으로 따지자면한 그릇당 100원을 더 쳐서 300원을 보장해달라는 요구였다. 국민 생활비에서 쌀값이 차지하는 비중은 1인당 1만 원 정도, 물가상승의 요인도 되지 않았다.

 강신명은 이임사에서 "시위대가 폭력을 일삼으며 남에게 피해를 주는 그릇된 풍조가 해소될 수 있도록 경찰을 응원해달라"
고 말했다. 칠순을 바라보는 농민이 최루액이 잔뜩 섞인 물대포의 집중 살수를 받아 사경을 헤매는 중이었다. 그러나 강신명에게 백남기 농민은 ‘폭력을 일삼으며 남에게 피해를 주는, 갑호비상명령을 내려 쓸어버려야 할 폭도이자 테러리스트일 뿐이었다.
그는 ‘정치‘를 할 생각이 있다며 부끄러움 없이 향후 계획을 이야기했다. 2016년 9월 12일 열린 ‘백남기 농민 청문회‘에서, 강신명은 "사람이 다쳤거나 사망했다고 무조건 사과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하기까지 했다. 무단횡단으로 교통사고가 나서 다친 사람에게도 입에 올릴 수 있는 말이 아니다.
퇴임식에서, 강신명의 가족은 ‘자랑스러운 우리 아버지 사랑합니다‘ 라는 플래카드를 준비해 와 다정하게 기념촬영을 했다. 그리고 그 사진은 보란 듯 언론에 보도되었다. 자신이 경찰 수장으로있을 때 벌어진 사건으로 한 집안의 아버지이자 남편이 생사를 넘나들고 있었다. 언론에 공개한 저 가족의 화목한 이벤트가 누군가에게는 평생 씻을 수 없는 모욕이 될 것임을 그들은 정말 몰랐을까.(158~159쪽)

결국 윤서인과 김세의는 그런 사정이 있었는지 몰랐다는 초라한 변명을 늘어놓은 끝에 "백민주화 씨 죄송합니다" 라는 한마디를 던졌다. 하지만 가족들과 대책위는 이들에게 응당의 죄값을 묻겠다는 신념에는 변화가 없다. 이들이 그동안 악의적으로 괴롭힌사람들이 백남기 농민 가족만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세월호 유족,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의역 사망사고 희생자 등 사회적 약자와 피해자들의 고통을 신나게 조롱해왔기 때문이다. 그 대가를 치르게 하는 것이 이 고소의 목적이다.
재판이 있던 그날 법정에서 고개를 숙였던 그들은, 자신의 SNS에 재판이 끝난 후 강남의 양식당에서 먹은 음식 사진을 잔뜩 올리며 스트레스를 풀었다. 윤서인과 김세의는 2018년 10월 26일각 벌금 700만 원의 유죄 선고를 받았다.(161~162쪽)

가을걷이를 마치고 쉴 틈도 없이 백중밀 파종을 한 뒤, 백남기농민은 서울로 올라갔다. 추수와 파종의 맞물림 속에서 평생을 살았던 이다. 하지만 백남기 농민의 마지막 농사는 씨앗을 뿌리는일에서 멈추었다. 추수는 끝내 다른 이의 몫으로 남겨두고 말이다. 이웃에게 모든 것을 내주고도 더 내줄 것을 찾던 백남기 농민의 성정이 그가 짓던 밀농사와 많이 닮았다. 그는 밀농사의 교본대로 살다 떠났다. 서두르지 않고 들뜨지 않되 시련을 성장의 계기로 삼았다. 그리고 자신이 뿌린 씨앗이니 자신의 몫이어야 한다.
고도 여기지 않았던 삶이었다. 뿌리는 자와 거두는 자가 같지 않아도 개의치 않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알벨루치 2018-12-24 17: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봄날의언어님 메리클스마스~

봄날의 언어 2018-12-25 13:27   좋아요 1 | URL
카알벨루치님도 크리스마스 이브 잘 보내셨나요. ㅎ
 
책혐시대의 책읽기
김욱 지음 / 개마고원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쨌든, 다른 뾰족한 수 없이 읽고 또 읽을 수 밖에요.
덮어두고 읽지도 않으면서
저절로 책읽기의 고수가 되어 산을 내려가는 방법이
따로 없습니다.
......................

저자 김욱의 이 책은
3부 ‘책과 사귀기‘를 따로 떼어내어,
한권의 책으로 새로이 묶어냈으면 더 좋았을 뻔 했습니다.

3부는 철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문학, 종교학 등에서
저자의 주관에 따라 읽어보면 좋을 고전과
근래의 문제작 등을 이야기하는데요,

저자가 소개하는 책을 간단히 나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그 책을 언급한 이유나, 해당 분야에서의 성취를
자세히 기술했으면 더 좋았을 뻔 했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조금 범위를 넓혀 생각해보자. 젊은이들이 나이 든 사람들과 대화를 하지 않으려는 이유가 뭘까? 재미가 없기 때문이다. 왜 재미가 없을까? 뇌가 늙어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나이보다 더 늙은 뇌(본인들은 잘 모른다)를 자랑하기까지 한다.(과문한 탓인지 난 나이보다 더 늙은 얼굴을 자랑하는 건 경험하지 못했다.) 늙은 뇌로부터는 결코 현재에 대한 통찰이 나오지 않는다. 과거 농경시대엔 일상적인차원에서는 통찰보다는 경험이 중요했다. 하지만 이제 경험이나 정보는 널려 있다. 필요한 것은 이런 경험이나 정보를 체계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통찰이다. 일상적인 차원에서도 그렇다. 만약 나이든 사람이 이런 통찰을 가지고 있다면 주위의 젊은이들이 그와 얘 기하려고 스스로 다가올 것이다.
p.52

무엇이 대화인가? 서로의 생각을 이야기로 주고받는 것이다. 그런데 부모의 뇌가 늙어 있다면 자녀들과 대화하기 어렵다. 자녀와세상사에 대한 호기심을 논리적으로 주고받는 대신 부모 머릿속을가득 채우고 있는 일방적이고 목적적인 훈계를 하는 게 전부일 수있다. 그러다보면 ‘공부 못하면 거지 된다‘는 식의 자극적인 협박성 훈계만 난무하기도 한다. 만약 어릴 적부터 부모와 자녀가 온갖
‘세상사에 대해 대화해왔다면 자연스럽게, 어쩌면 자녀가 먼저 (하기 싫은) 공부를 주제로 대화하려 할지도 모른다. 먼 길처럼 보여도,
일상적이고 잡다한 대화를 나누는 것만이 대화의 본질이자 지름길이다. 그 길을 찾지 못한다면 다른 길은 없다.
p.53

우리가 책을 읽는가 책을 읽는다는 건 단순히 글자를 읽는 행위가 아니다.
같은 말이지만 문맹은 단순히 글자를 모르는 상태가 아니다. 책을 읽는 행위는, 즉 무지몽매를 깨우치는 일은 나와 너를 알아가는 행위이고, 과거와 현재를 알아가는 행위이며, 내일의 세상을 함께 바라보는 행위이다. 그러니 책읽기를 분량의 문제로만 생각해 많은 글자를 읽었다고 공연스레 자부할 일도 아니고, 그것이 보잘것없다고 지나치게 의기소침할 필요도 없다. 우리들은 각자의 삶 속에서 각자의 방식대로 모두 각자의 책을 읽고 있을 뿐이다.
p.2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면에 관한 알쓸신잡
하창수 지음 / 달아실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라면 먹고 갈래?˝
명대사는 아니었을지언정, 어쩌면 최장수 유행어의 하나로 인정될만한 이 말.
젊은 이영애와 더 어린 유지태가 봄날은 간다로 호흡을 맞춘 것이,

2001년! 무려 18년 전!

이 책은 라면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거리들을 다루고 있는데
제목부터 독창성은 떨어지더니,
프롤로그에서는 평론가 김현의 글을 인용해서
거창하게 시작하더니,
또 본문에는 라면의 역사, 성명학, 종류, 나트륨의 유해성 등
이것 저것 알아두면 쓸데는 또 딱히 없을지도 모르는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다. 뒤로 갈수록 무슨 리포트 같다.

책의 중간중간에, 작가와 친분이 있어보이는
작가나 예술가들의 인터뷰-라면을 주제로 한-가 실려있는데
너무 짤막한 대화로 그치고 말아서 아쉽다.

어쨌든, 오늘 늦은 점심은
도서관에서
라면 먹고 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젯밤 부터 북플에 뉴스피드가 보이지 않고
설정에서 보여주기 온오프기능도 먹통이라
해결방법을 찾던 중에,
로그아웃→재로그인을 했더니, 해결이 되었다.
(혹시나 싶어 가봤더니
플레이스토어 리뷰에 같은 고통?을 호소하는 댓글들이 있다)

나만 모르고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이런 문제는
신속하게 공지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알라딘님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일론 머스크, 미래의 설계자 - 지구상에서 가장 먼저 미래에 도착한 남자, 일론 머스크가 제시하는 미래의 프레임
애슐리 반스 지음, 안기순 옮김 / 김영사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의 경영자들은 일론 머스크를 통해서,
그가 우주항공분야나 자동차산업에서 이룩해낸
발상의 전환이나 성취들보다
반노동적 경영마인드만 도입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포털에 검색되는 관련뉴스를 보더라도
주100시간 근무 운운하는 테슬라의 근무여건을 가져와서
한국의 노동자들의 삶을 착취하려는
언론들의 꼼수가 쉽게 읽힌다.

2015년에 나온 이 책의 일론 머스크와 그의 회사들은
여전히 새로운 시도를 감행중이지만,
동시에 위기 역시 진행형으로 보인다.

어쨌든, 그의 스페이스엑스나 테슬라가
인류의 미래를 책임져 줄 비전을 제시하면서
동시에 현재의 노동자들에게도 저녁있는 삶을
제공해주는 기업이 될 수는 없을까 생각해본다.

물론 일론 머스크가 한국에서 태어났으면
기껏해야 새로운 방식의 닭튀김 기계를 발명해서
머스크치킨 프랜차이즈나 하고 있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