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호 2집/1997
예당엔터테인먼트 / 1997년 1월
평점 :
품절


Release Date: 1997/6
Distribution : 예당음향

 


01 DRACURA
02 운명
03 슬픈 영혼의 아리아 (엘리제)
04 만물의 영장
05 AID & AIDS
06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07 OUR SON
08 때늦은 후회
09 금지된 사랑
10 마지막 기도
11 피노키오에게
12 너를 기다리며


1997년 10월 12일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이란 노래가 가져다 준 여파는 참 컸다...
흥행에 실패한 1집 '마지막 기도'를 기억하고 있던 터라... 음반을 샀는데... 가창력이 정말 대단했다... 발라드 뿐만이 아니라.. 카리스마 넘치는 락곡도 잘 소화를 했다.
개인적으로 김경호가 고등학교를 내가 살고 있는 순천 효천고를 나와서.. 또 드럼 학원 선생님이랑 고등학교때.. 밴드를 같이 해서...친근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집 라니싸니싸파
록레코드 (Rock Records) / 1997년 9월
평점 :
품절


Release Date: 1997/9
Distribution : ROCK RECORDS

 


01 고담 씨티
02 배트맨
03 내모습 그대로
04 센티멘탈
05 수필러브
06 빨리빨리 너와
07 FX-나
08 내가 찰까
09 난 오늘도
10 Hey
11 사이버 스페이스
12 라니싸니싸파


1997년 10월 9일

 

 


-티비에서 수필러브를 듣고.. 신나게 불러서.. 음반을 샀다..
그런데 왠걸? 생각외로.. 전체곡이 다 괜찮았다...
주다인의 랩도 락노래에 딱 어울리게 구사했다..
지금들어도.. 신나고.. 독특하고..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누션
기타제작사 / 1997년 6월
평점 :
품절


Release Date: 1997
Distribution : 예당음향

 


01 Jinusean Bomb(Featuring Perry & Legacy)
02 Gasoline
03 내가
04 말해줘(Featuring 엄정화)
05 Celebrate
06 Young Nation(Featuring D.O)
07 미행
08 서로
09 Celebrate-English Ver.(Featuring 이세영 & Perry)
10 Gasoline-D.O Edit Ver.(Featuring 양현석)


1997년

 

-서태지와 아이들 해체 후 양현석의 두번째 후배 그룹이였다.(첫번째는 좀 실패한 keep six 였다.. 나는 킵식스 테입 있는데..^^) 양현석이 힙합을 좋아해서..가솔린 같은 경우는 양현석 스타일이 느껴졌고.. 전체적으로 누구나 쉽게 들을 수 있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태지와 아이들 1집
서태지와 아이들 노래 / 반도음반 / 2000년 1월
평점 :
품절


Release Date: 1992/3/23
Distribution : 반도음반


01 Yo! TAIJI
02 난 알아요
03 환상속의 그대
04 너와 함께한 시간속에서
05 이밤이 깊어가지만
06 내 모든것
07 이제는
08 BLIND LOVE
09 ROCK N ROLL DANCE
10 MISSING

1997년


p.s:여기는 내가 소장하고 있는 음반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항상 불법음반만 듣다가... 이건 아니다 라는 생각을 해서..
안먹고 안입고 모은 돈으로 산 음반들을 올립니다..
제가 중 3때인 1997년 부터... 정리를 해보았고...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가 담겨있습니다..^^
그리고 서태지와아이들 음반을 제일먼저 사서 모으기 시작했는데 서태지와아이들 음악은 견해가 필요없어서.. 굳이 적지 않습니다...^^

2004년 9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가 오지 않는 도시 1
티에닝 지음, 김태성.이선영 옮김 / 실천문학사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요즘들어 소설을 읽는 재미라함은 배경지식을 알아가며 읽는 재미라 말하고 싶다.

그것은 단순히 사람을 이해하고 역사의 흐름을 알아가는 것 뿐만이 아닌 문학적인 이해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내게 최근들어 그런 대상이 되어 주는 것은 중국문학이다.

장편소설 '홍루몽'을 읽고 있던 중 만난 티에닝의 소설은 시대의 격차는 다를지라도 중국인들의 기질을 어느정도 반영하고 있었다. 홍루몽은 고전으로써 현재와 많은 차이를 두고 있다면 티에닝의 소설은 현대의 중국을 엿볼 수 있는 문학작품이였다.

소설속의 모든 것을 중국의 현재 모습이다라고 치부할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는 이해를 시켜주기에 적합하다는 얘기다.

 

처음 작가의 말을 읽고 흔히 보아온 불륜소설을 좀 더 다르게 써내려 간 건가? 생각하며 대수롭지 않게 읽었다. 그러나 책을 읽어 보니 작가의 구성과 무게감에 단순히 불륜소설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책의 흐름은 남,녀 주인공들과 그의 주변 인물 위주로 흘러가지만 그들의 감정에만 치우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과거를 통해 중국의 역사와 개인간의 의식 세계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그 세계는 평범하면서도 함축적이였고 또한 모든 것이 열려 있었기에 많은 독자들을 흡수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결과가 오픈되어 있는 것 뿐만이 아니라 책 자체가 오픈되어 있어 다양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많은 독자들이 그러한 매력에 빠져서 이 소설을 좋아했던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창예 시' 시장 푸윈저의 불륜이 아니라 그의 부인 거페이윈의 묘사에 관심이 갔다고 했다. 푸윈저가 바람을 피우며 이혼을 요구할 때 거페이윈의 입장과 위치는 난처할 수 밖에 없었다. 그녀가 어떻게 행동하며 그녀의 미래는 어떻게 될지는 두 갈래의 길이면서도 짐작이 가지 않았다.

그녀가 남편이 외도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채고 자신의 집에서 행해진 현장을 사진으로 남긴 후 불안과 조급함이 밀려 왔을 뿐.

그러나 저자는 이러한 나의 심리를 비웃기라도 하듯 절대 순식간에 상황을 던져 주거나 예상한대로 이끌어 가지 않는다. 또한 인물 누구 하나에 치중하거나 편을 드는 것도 아니며 번역가도 말했듯이 그들의 풍경만 보여주고 있을 뿐이였다.

그랬기에 내가 더 당황스러워서 자꾸만 책을 덮고 궁금해하며 거페이윈이 숨긴 푸윈저와 타오요우자의 모습이 담긴 필름으로 인해 사건은 복잡해져 가고 필름의 발견이 독특했던 것처럼 필름의 이동 또한 끝까지 묘하게 흘러간다.

마치 푸윈저와 타오요우자의 사랑을 비웃고 거페이윈에게는 모든것이 녹록치 않음을 그리고 필름을 쥐게 된 바이이허에게는 그 필름이 결코 행운이 아니라는 것을 묘사하고 있는 느낌이였다.

 

그 필름이 발견되고 거페이윈이 협박을 받게 될 때 수 많은 가능성이 있었음에도 필름의 행방과 그에 관한 에피소드는 차분하면서도 때론 잔인하게 유유히 흐른다.

필름의 수명에 위험이 다가왔다고 느낄 때 쯤 푸윈저와 타오요우자 그리고 거페이윈의 신변은 어느정도 정리가 되어 간다.

그들의 모습을 필름이 대신해 주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필름의 마지막처럼 그들에겐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푸윈저의 불륜도 거페이윈의 필름사건도 타오요우자의 꿈같던 사랑도 존재하지 않았다는 듯이 필름은그렇게 사그라들어 간다.

 

그 사그라듬을 보면서 누구를 비난하고 누구룰 옹호할 수 없었던 것은 흐름 때문이였다.

그들의 삶에 녹아있는 고통과 시대의 배어있음은 녹록치 않았지만 그들은 그것을 뚫고 나와 현재를 살아가는 이들이였다.

치우예와 타오요우자의 자유분방하고 문란한 사고는 시대의 영향의 탓도 있었지만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삶을 살아갈 뿐, 그 판단도 독자 각자의 몫일 뿐이였다.

그랬기에 이 소설은 건조하지도 습하지도 않았으며 삭막하지도 않았다.

가볍게 읽고 지나치기엔 인물들 하나하나에서 발견하는 중국의 모습이 유쾌할 수만은 없었고 그렇다고 우울하게 다가오는 것도 아니였지만 그 안을 여행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

풍경 속의 모습은 무궁무진 하기에 그 풍경을 구경하는 구경꾼이 될지 풍경의 한 부분이 될지는 감상하고 경험하며 만들어 가면 될 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