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생활백서>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경제생활백서 -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선택한 당신을 위한 똑똑한 경제학
이경은 지음 / 비아북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부터 저자의 고정칼럼인 '쏙쏙 재테크'를 즐겨 읽어왔기 때문에 이번 책도 즐겁게 읽을 수 있었다.

역시 이 책에도 청약종합저축의 아쉬운 점, 펀드 투자의 올바른 길, 주식 투자와 부동산 투자에 관한 기본적인 자세 등 어디서 한 번쯤 들어본 것 같아도 정작 잘 알지는 못하는 경제 상식들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특히 어떤 아파트를 사야 하는지에 관해서 설명한 부분은 전문적인 용어나 그럴듯한 분석법을 언급하지 않으면서도 무릎을 탁 치게 만들만큼 유용하다.

저자는 CMA 통장의 효용을 소리높여 강조하는데 확실히 얼마 안 되는 여유자금일지라도 계좌관리의 번거로움은 감수할 수 있을 만큼 좋은 상품인 것은 확실하다. 다만 지금은 참담한 수준의 저금리 시대이기 때문에, CMA의 이자율도 별 볼일 없는 것이 아쉬울 따름이다.

전반적으로 매우 도움이 되는 내용이긴 한데 저자의 자신감대로 새로운 내용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미 여러 언론매체들을 통해서 수없이 소개된 비법 아닌 비법들을 되풀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는 거니까, 귀담아들을만한 경제적 조언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는 데 의의를 두고 싶다.
반대로 말하자면 이 책은 지금까지 많이 버는 것에만 신경을 쓰고 재테크에는 관심이 없던 사람들, 신문이나 잡지의 재테크 코너보다는 스포츠/연예면을 즐겨 보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반대로 표현하자면 그동안 직장 생활과 집안 살림에 제대로 된 재테크 정보에 관심을 기울일 여유가 없던 사람에게는 훌륭한 입문서이자 종합서가 될 것이다.

그리고 재산보다 중요한 것은 자식 교육이라고 강조하는데, 재테크 서적에서조차 굳이 이런 식상한 조언을 되풀이할 필요가 있나 싶다.(하늘은 파랗고, 산은 푸르고,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춥다는 것은 굳이 말을 꺼낼 필요도 없을 만큼 당연한 사실이 아니던가.)
부자가 되면 꼭 자식교육에 실패하는 것은 아니다. 가난한 사람도 충분히 부도덕할 수 있으며, 가난하다고 부모를 존경하지 않는 것만은 아니다.
저자는 올바르게 부자가 돼야 한다고 강조하지만, 가난해도 올바르게 사는 것 또한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가난한 사람이라고 해서 반드시 양심적이고 도덕적인 사람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도 부자들의 검소함을 강조하면서 고 정주영 회장의 경우를 언급하는데, 이는 마치 재벌들도 저렇게 근검절약하면서 산다고 주장하는 것 같아서 불편하다.
다른 재벌 회장 같은 경우는 생일 파티 때 어마어마한 가격의 캐비어와 와인을 즐기고, 유명 성악가와 연예인을 불러서 축하할 정도이기 때문이다.
비단 이 책에서뿐만 아니라 재벌의 검소함을 언급할 때는 꼭 정주영 회장의 일화만 나오는데, 우리나라의 수많은 재벌들 중에서 근검절약하는 재벌이 그 한 사람 밖에 없나 싶어서 좀 씁쓸하다.

재테크 서적이라면 으레 나오는 사연이 로또 1등 당첨자의 비극적인 말로다. 하지만 도대체 로또 당첨자의 몇 %나 당첨금을 탕진하고 빈털터리가 되는지는 의문이기도 하다.

-------------------------------------------------------

어떻게 해야 적자 가계부를 흑자 가계부로 변신시킬 수 있을까?
해법은 간단하다. 고정 지출을 줄여야 한다. 전직이나 부업, 승진 등으로 수입을 늘리는 방법도 있긴 하지만, 말처럼 쉽지 않다. 차라리 지출을 줄이는 것이 백 배 천 배 쉽다. 먹을 것 덜 먹고, 입을 것 덜 입고, 살 것 덜 사면 된다. 남들과 씀씀이가 똑같으면 안 된다. 이것도 모르고 돈을 벌려고 한다면, 기역과 니은도 모르면서 한글 안다고 큰소리치는 꼴이다.
-p.36

2010년 기준 우리나라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주식 종목 수는 무려 1,900여 개. 이렇게 많은 주식들 중에서 될 성 부른 주식은 어떻게 골라내야 할까?
시중에 나와 있는 주식투자 관련 서적들을 몇 권 읽어봤는데, 복잡한 수식을 동원한 기술적인 분석법을 집중적으로 다룬 것이 대부분이었다. 알아두면 어떤 식으로든 도움이 되겠지만, 그런 기술적 분석이 100% 맞는 것도 아니어서 이렇다 할 감동을 안겨주진 않았다. 오히려 이런저런 자리에서 만나 알게 된 주식 고수들이 개인적으로 알려준 비공식적인 투자법들이 훨씬 유용하다는 생각이 든다.
-p.108

국어사전에서 '돈맛'의 의미를 찾아봤더니 '돈을 쓰거나 벌거나 모으는 재미'라고 돼 있다. 보통 사람들에게는 '돈을 쓰는 맛'일 테지만 부자들에게는 '돈을 벌고 모으는 재미'일 터다. 후자의 돈맛은 지금 당장은 씁쓸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달콤해진다.
-p.197

재테크에도 정도가 있다. 더디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떳떳한 길을 가는 게 중요하다.
...
설사 남의 불행에 기초해서 재산을 모았다고 해도 대개 자식교육에 실패해 불행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부모의 부도덕한 축재 과정을 지켜본 자식들은 일찌감치 품성이 삐뚤어지거나, 부모에 대한 존경심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p.2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정현 - 7집 리패키지 [10 ways to say I love you Repackaged Edition] - [1CD(M/V 수록)+다이어리]
박정현 노래 / 티엔터테인먼트/코너스톤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특이하게도 '치카치카'라는 좀 신나는 노래를 시작한다.
다른 대부분의 가수들이 인트로에서 한껏 폼을 잡는 것과는 다르게 말이다.

'청순가련 리나 박'은 상큼한 스타일의 곡인데, 박정현 특유의 음색으로 부르기 때문에 아무리 귀엽게 불러도 다른 여가수들과는 다른 독특함이 느껴진다.

어깨들 들썩이게 만드는 '나 같은 사람 너 같은 사람'은 박정현의 미성을 100% 느낄 수 있는 노래로 가볍게 들을 수 있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곡이다.
"나 같은 사람 너 같은 사람~ 나 같은 사람 너 같은 사람~"을 반복하는 후렴구에서 박정현의 목소리는 정말 '최고'다.

'만져줘요', '비밀' 등도 박정현만의 매력이 잘 나타난 곡들이다.(독특하고 매혹적인 음색이지만 막상 표현하려면 '호소력 짙은' 따위의 상투적인 표현들만 떠오르는 그런 매력 말이다.)

이런 독특함은 비교적 발랄한 곡인 'Sunday Brunch'에서도 잘 나타나 있어서, 박정현만의 개성을 표현한다.

하지만 그녀의 그런 독특함도 '비가'처럼 한없이 늘어지는 곡에서는 다소 나른하게 들릴 뿐이다.

오히려 그 다음 곡 '사랑은 이런 게 아닌데...'의 속삭이는 듯한 목소리가 훨씬 매력적이다. 휴식처럼 편안한 곡으로 이번 앨범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한다.

소개 글의 표현대로 이번 노래들은 달콤하면서도 쌉싸름한 박정현의 목소리를 원 없이 음미할 수 있는 앨범이다.
너무 우울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너무 신나지도 않은, 가볍지 않으면서도 심각하지 않은 박정현만의 특색이 잘 나타나 앨범이다.
하지만 그 때문에 강렬하고 자극적인 요즘 인기곡들에 비해서 좀 밍숭맹숭하게 느껴지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목소리 좋은 남자 가수와 부른 듀엣곡이 하나 있었으면 정말 좋았을 것 같다는 아쉬움도 든다.
박정현이 김조한과 불렀던 'One sweet day'는 원래의 가수인 머라이어 캐리와 보이즈 투 맨이 부른 것 못지않았기 때문이다.(아니면 박정현과 김조한의 듀엣이라고 알려졌었던 김조한&페이지의 'Say Goodbye'를 다시 한 번 불러주던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넷 2010-06-27 21: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7집이 나왔었군요. 몰랐네요.-_-;

sayonara 2010-06-28 10:31   좋아요 0 | URL
대중적이지 않아서 그렇지... 취향에 맞으신다면 좋은 노래들이지요.
 
신데렐라 언니 O.S.T
슈퍼주니어 (Superjunior) 외 노래 / 포니캐년(Pony Canyon)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예성의 '너 아니면 안돼'는 드라마의 장면들과 매우 잘 어울릴 뿐만 아니라 발라드 곡으로서도 매우 인상적이다.
지나치게 격정적이지도 않고, 너무 기교가 넘치지도 않는 것이 일반 팬들이 부담 없이 들으며 즐길 수 있을 만큼 중독성 있다.

f(x)가 부르는 '불러본다'는 쓸쓸한 느낌이 드는 곡으로 사랑하는 이의 이름을 불러보는 느낌은 잘 살아있지만, 드라마와 상관없이 듣고 즐길 수 있을 만큼 흡입력 있는 곡은 아닌 것 같다.

'스마일 어게인', '내 사랑을 구해줘!'는 드라마 자체의 분위기와는 잘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밝은 분위기의 곡인데, 우울한 노래들 사이에 이런 곡 몇 개 정도 끼워져 있어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너 였다고'는 상대를 그리워하는 애타는 마음이 잘 느껴진다.

주제곡 '신데렐라언니 Title'은 드라마의 이야기만큼 독하다거나 비극적인 느낌이 없고, 오히려 골목길을 산책하는 듯한 명랑한 분위기마저 느껴진다.

오히려 '미소지으며', '보사노바', '그때 그 자리에' 등이 좀 쓸쓸한 분위기를 풍긴다.

물론 전부 가라앉은 분위기는 아니고 '사랑한다면', '뒷동산' 등은 좀 더 서정적인 분위기가 풍긴다.
'느리게 걷기'처럼 서정적이면서도 좀 독특한 분위기의 곡도 있다.

뜬금없이 끼워 넣은 곡같은 '내 사랑을 구해줘!'의 락 버전은 그래도 나름대로 신나게 즐길 수 있는 곡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술탄 오브 더 디스코 - Groove Official
술탄 오브 더 디스코 노래 / 붕가붕가 레코드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앨범 재킷을 보면 '무슨 장기하의 아류인가'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막상 수록된 곡을 들어보면…….
그룹명부터 예사롭지 않은 술탄 오브 더 디스코는 첫 곡부터 범상치 않은 기운을 뿜어낸다.

물론 늘 선글라스와 터번을 고집하고 IMF, 아이돌, 아랍, 존 트라볼타, 디스코 등의 전설 같은 이야기가 섞여 있는 그들의 탄생설화(!?)는 정말 믿기 힘들지만 말이다.

'마법사 자파'는 마치 괴기 코미디 영화에 나오는 배경음악 같은 곡으로 "자파~ 자파~"하고 반복되는 노랫말이 인상적이다. 마치 신해철의 넥스트 같은 유명 그룹이 부르는 괴기 버전의 노래 같다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일요일 밤의 열기' 역시 어깨를 들썩일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고개를 까딱거리게 만드는 곡이다.
곡 자체의 분위기는 특이하게도 일요일 밤의 향락적인 분위기가 아니라, 방바닥을 긁고 있는 외톨이의 노래 같다.
물론 가사 자체는 현대인의 소외와 고독을 떠올리게 하는 굉장히 슬픈 노랫말이다.

이 앨범은 특이하게도 들으면 들을수록 곡의 분위기가 점점 더 고조되는 것이 아니고, 점점 더 차분해지는 것 같다.
세 번째 곡 '숱한 밤들'은 사랑하는 이를 그리워하는 곡으로 앞의 두 곡 보다는 훨씬 더 잔잔하다.

하지만 네 번째 곡 '일요일 밤의 열기 (Strength Mix)'는 앞의 곡들보다 더욱 독한 분위기를 풍긴다. 무작정 강렬한 것은 아니고 좀 더 퇴폐적이고 끈적한 멜로디가 느껴진다. 원곡과 같이 톡톡 끊어지는 말투의 매력은 여전하다.

'숱한 밤들 (Radio Edit)' 역시 사랑했던 마음이 그대로라는 반복적인 내용의 가사가 인상적이다.

쌍팔년도 시절에 듣던 '고스트 버스터즈'의 주제가가 생각날 정도로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신나게 즐길 수 있는 매력적인 곡들이었으며 수록된 곡의 수가 너무 적은 것이 아쉬울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떠오르는 국영 석유 기업, 글로벌 경제의 마지막 화두 지속성장, 역사에서 리더를 만나다>
글로벌 경제의 마지막 화두 지속성장 마이크로소프트 리더십 시리즈
마이클 휴고스 지음, 권기대 옮김 / 베가북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바로 '민첩성'이다.

기존에 수없이 되풀이되어 왔던 우선순위, 중요도, 태스크포스 등 개념들을 다시 한 번 아우르면서 '민감성'이라는 단어로 설명하고 있다.
심지어는 너무 식상하기까지 한 손자와 롬멜 등의 기동전을 들먹이며 속도에 관한 집착을 강조한다.
21세기의 기업과 현대인들은 이미 충분히 속도전에 몰두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저자의 생각은 좀 다른 것 같다.
우리가 지금까지 해왔던 것은 그저 "잭 웰치!", "블루오션!"하는 식의 헛된 구호였을 뿐이며 진정으로 민첩한 수준은 여전히 요원한 것인가 보다. 모두가 '개혁'을 소리 높여 외치는 동시에 모두가 복지부동하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그런데 이 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민감성'은 항상 최적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으로 고도의 집중력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어찌 이 내용은 20년 전쯤에나 유행하던 일본식 경영 방식 '카이젠'(개선)을 생각나게 한다.
쌍팔년도 시절에 비즈니스계의 진리로 통하던 단어였는데, 파격적이고 급진적인 방식의 혁신 즉 '이노베이션'이니 '리엔지니어링'같은 개념에 밀려서 용도 폐기되다시피 한 방식 말이다.

어쨌든 그만큼 21세기는 일과 오락, 모든 것이 넘쳐나는 시대이고, 시간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점점 더 빠른 속도로 바빠지는 시대다.
게다가 민첩성은 피터 드러커를 비롯한 수많은 경영전문가들이 강조했던 점이고, 심지어는 빌 게이츠마저 '생각의 속도'에서 스피드를 강조했다.

하지만 지난번 읽었던 '역사에서 리더를 만나다'에서도 똑같은 문제에 부딪혔었다.
위인들의 가르침이 항상 거창하고 대단한 것만은 아니고 공자의 경우처럼 '대접받기를 원하는 대로 남에게 대접하라'는 가르침처럼 말이다. 말은 쉽지만 정작 실천하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의미심장한 표현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도 간단할 것 같은 '속도'가 가장 어려운 일일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이 책이 훌륭한 내용의 책인 것은 확실하나 적어도 시스템 관리자 같은 전문가들에게 더욱 어울리는 내용이다.
또한 민감성에 관한 실례와 방법 등 실용적 내용은 충분히 언급했지만, 그 위험성에 관해서는 제대로 언급하지 않은 것 같다.

---------------------------

인상 깊은 구절:

롬멜의 통찰력을 보여주는 구절을 여기 몇 개만 소개한다:

*예기치 않게 무게중심을 바꾸기만 해도 전투에 관련된 이슈가 결정될 수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적군의 계획은 지극히 단순했었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단순한 계획은 복잡한 계획보다도 훨씬 더 위협적이다.

-p.109

그들이 이런 결론을 내는 까닭은, 더 열심히 더 오래 더 빨리 일하여 짧은 개발 사이클 안에다 복잡한 해법들을 마구 쑤셔 넣음으로써 민첩해지고자 시도하기 때문이다.
그런 시도는 10킬로그램 용 가방에다 20킬로그램 어치를 쑤셔 넣으려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가망이 없는 짓이다. 가방은 영락없이 찢어지고 남는 거라곤 쓰레기뿐일 테니 말이다.
우아하게도 간결한 해법은 (탄탄한 80% 해결책은) 만사를 모두 다 수행하는 게 아니라 [그럴 시간이 어디 있는가?] 가장 중요한 일들만 한다. 이런 해결책을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창의성에 관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p.214

대차대조표의 손익계산서 이외에 비즈니스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기본적인 재무 개념 중 하나가 손익 분기점이란 개념이다. 누구나 이것은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회사 내 모든 사람들은 자기 일이나 지원활동에 대한 손익분기의 분석을 할 줄 알아야 한다. 이 간단한 계산은 직원들에게 자신을 위한 비용이나, 자기 자신 혹은 회사가 할지도 모를 다른 모든 일의 비용을 지불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활동을 이야기해준다.

-p.2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