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리학 콘서트 1 - 설득보다 사로잡는 심리전의 테크닉, 개정판 ㅣ 심리학 콘서트
다고 아키라 지음, 장하영 옮김 / 스타북스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과학 콘서트, 경제학 콘서트, 철학 콘서트... 가히 콘서트 시리즈의 유행이다.
그 중에는 제법 충실한 내용의 서적들도 있고, 한때의 유행에 편승해서 엉뚱한 제목을 달고 나온 함량 미달의 책들도 있다.
이 책은 서문에서부터 싸구려 멘트를 남발한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인간을 꼭두각시 인형처럼 조종하는 이 심리적인 법칙들'을 만나보자고 한다. 더 나아가 '드러나지 않은 속임수의 덫에서 빠져나와 역으로 심리술을 이용한 성공적인 삶을 펼쳐 보자'라고까지 한다.
이 책의 수준이 딱 이 정도다.
심리'학'이라는 학문적이고 진지한 내용은 찾아볼 수 없고, 그저 최면이나 연애비법같은 심리'술'에 치중한다.(심지어는 아름다운 여성이 되고자 한다면 부정적인 공포 영화를 보지 말아야 한다는 내용 같은 것들도 있다.)
물론 간혹 흥미로운 내용도 있다.
아이들이 순수한 것이 아니라 거짓말을 못하는 것뿐이라는 부분이나 사인을 받은 주자의 태도로 작전을 간파할 수 있다는 내용 등이 그렇다.
하지만 대부분의 내용들이 라디오 프로의 흥미위주 코너나 잡지의 심심풀이 기사거리 수준에 불과하다.
슬퍼서 우는 게 아니라 울어서 슬픈 것이라는 내용의 안면 피드백 가설, 악수를 세게 함으로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는 내용, 화려한 옷차림의 사람이 자기표현 욕구가 강하다, 자동차광 골프광이 콤플렉스 때문이다...
굳이 책으로 읽지 않더라도 이 정도는 누구나 알아챌 수 있는 것들이다.
귀신같은 센스가 없더라도 상식과 보통의 집중력만 있다면 조금만 관심을 갖고 상대의 눈빛과 행동을 보고 알아차릴 수 있는 것들이다.
이야기를 하던 상대가 갑자기 시선을 피하고 눈을 내리깔면 생각에 잠긴 것이라는 것, 전화 통화 중에 전화선을 만지작거리는 것은 생각이 많다는 것, 팔짱을 끼고 있는 상대가 오만하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싶다.

(굳이 이런 귀신같은 능력이 없더라도...)

(굳이 이렇게 오버하지 않아도...)
--------------------------------------
'어린아이는 순수하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나, 사실은 순수한 게 아니다. 그저 단지 거짓말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지적으로 발달되지 않았을 뿐인 것이다. 어느 정도 지적으로 발달되면 의식적으로 거짓말을 할 수 있거나 속일 수 있게 된다.
가령, 10개월 된 어린아이라도 주위 사람들에게서 마음에 들지 않는 일을 당할 경우에는 들리지 않는 척하는 경우가 있다.
-p.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