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별로 좋아하지 않는 후배가 자꾸 내 허리를 감으며 안겨왔다.
'언니, 나 오늘 언니 집에 가서 밤새워 술마시며 얘기 나누고 싶어."
"나는 오늘 피곤해서 그럴 기분 아니거든. 다음에......"
그녀는 내가 마음에 두고 있던 남자의 약혼녀였고 그 남자는 독일에 공부를 하러 가고 없었다.
어쩌다 그녀와 빔 벤더스의 영화 '베를린 천사의 詩'를 보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1993년 봄, 우리는 마로니에공원 벤치에서 만나 근처의 영화관에 갔다.
공중곡예를 하는 소녀에게 반한 천사 다니엘이 천사직을 포기하고 이 땅에 내려와
그녀와 사랑에 빠진다는 이야기였다.
'중요한 것은 탄력성'이라는 대사가 지금까지 생각난다. 나도 공감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겠지.
극장에서 나오니 밤이었다.
우리는 어느 건물 꼭대기의 호프집으로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갔다.
그 아이는 대학을 갓 졸업하고 어느 극단에서 공연 기획 쪽 일을 배우고 있었다.
허리까지 오는 긴 생머리에 나보다 15센티미터쯤 컸다. 젊음과 미모로 보면 비교도 할 수 없는......
맥주를 피쳐로 시켜 세 통째인가 먹고 일어나려는데 웨이터가 맥주 500cc 두 개를 가져왔다.
그날 그 꼭대기 맥주집엔 손님이 거의 없었는데 맞은편 끝 테이블의 남자손님이 가져다주라고
했다는 것이다. 그런 일은 처음이라 가슴이 두근거렸다.
"잘 먹을게요!" 하는 눈인사를 보내는데 그들도 웃으며 고개를 끄덕여주곤 그만이었다.
참 쿨한 남자들도 다 있지.
상기된 얼굴로 공짜술을 마시고 우리는 자리에서 일어났다.
엘리베이터 안에서 그녀가 속삭였다.
"언니, 나는 저 남자들이 맥주 한잔 사줬답시고 우리를 따라와 치근치근거릴까봐 걱정했다. 언니는?"
"나는 저 남자들이 우리를 따라나오지 않으니 섭섭해 죽겠다. 그렇다고 우리가 그 테이블로 갈 수도 없고.
싱거운 자슥들......"
내 말은 진심이었다.
아마 그들은 영화 얘기 책 얘기를 신나게 나누는 저쪽 테이블의 여성들에게 맥주 500cc만큼의 호의를
느꼈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지금 생각해도 상쾌한 기억이다.
그녀는 이후 독일에서 돌아온 그 남자와 파혼했고 다른 사람이랑 결혼, 지금은 가수가 되었다고 들었다.
두어 달 전 그녀의 이름을 느림님이 올려놓으신 노래들 중에서 발견했다.
제기랄 서른 살이라니, 하는 노래였다.
1993년 봄, 나는 그날 감색 땡땡이 원피스를 입고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