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학교 2
김이은 지음 / 오르트북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인학교’는 한 특별한 학교에 대한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하인을 양성하는 학교라는 것 자체는 딱히 특별해 보이지 않는다. 그게, 과거의 어느 시점이 아니라 현대를 배경으로 한 것이라는 건 좀 새롭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그 안에서 보여주는 게 무엇을 기반으로 한 것인지가 쉽게 와닿아서 독특하거나 이상하지도 않다.

뻔하면서도 신선하기도 하고, 그렇다고 이상하거나 어색하지도 않으면서, 나름 실존할 수도 있겠다 싶은 그럴듯함을 느끼게 하는 것이 이 소설의 장점이다.

단지, 하인학교라는 존재만 그런 것이 아니다. 그 곳에 입학해 졸업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들 각각의 삶도 그렇다. 꽤나 극단에 서있다 싶은 그들의 과거는, 그러나 현실에도 많이 들어봤던 꽤나 익숙한 이야기기도 하다.

하인학교에서 벌어지는 일들도 또한 그렇다. 저런게 먹히겠어? 가당키나 한가? 라는 생각은 딱히 들지 않는다. 정확히 그런 경험을 했던 것은 아니라고 해도, 유사한 경험에서 충분히 그렇게 될 수도 있겠다는 수준에서 교육이 진행되기 때문에 되게 비일상적인 것을 그리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꽤나 이입하고 공감하며 보게된다.

이야기 구성 자체는 그렇게 특별하지 않다. 하인학교의 학생들을 하나씩 보여주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이들이 엮이면서 현재의 이야기를 새로 써가는 식의 전형적이라면 전형적인 구성이다.

하지만, 각각을 떼어놓고 보면 별 거 아니어 보이는 이런 요소들이 잘 결합되어있어 이야기는 꽤나 흡입력있다.

단순한 주인공 위주의 활극으로 만들지 않은 것도 좋아서 꽤 여운도 남긴다.



* 이 리뷰는 북카페 책과 콩나무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인학교 1
김이은 지음 / 오르트북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인학교’는 한 특별한 학교에 대한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하인을 양성하는 학교라는 것 자체는 딱히 특별해 보이지 않는다. 그게, 과거의 어느 시점이 아니라 현대를 배경으로 한 것이라는 건 좀 새롭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그 안에서 보여주는 게 무엇을 기반으로 한 것인지가 쉽게 와닿아서 독특하거나 이상하지도 않다.

뻔하면서도 신선하기도 하고, 그렇다고 이상하거나 어색하지도 않으면서, 나름 실존할 수도 있겠다 싶은 그럴듯함을 느끼게 하는 것이 이 소설의 장점이다.

단지, 하인학교라는 존재만 그런 것이 아니다. 그 곳에 입학해 졸업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들 각각의 삶도 그렇다. 꽤나 극단에 서있다 싶은 그들의 과거는, 그러나 현실에도 많이 들어봤던 꽤나 익숙한 이야기기도 하다.

하인학교에서 벌어지는 일들도 또한 그렇다. 저런게 먹히겠어? 가당키나 한가? 라는 생각은 딱히 들지 않는다. 정확히 그런 경험을 했던 것은 아니라고 해도, 유사한 경험에서 충분히 그렇게 될 수도 있겠다는 수준에서 교육이 진행되기 때문에 되게 비일상적인 것을 그리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꽤나 이입하고 공감하며 보게된다.

이야기 구성 자체는 그렇게 특별하지 않다. 하인학교의 학생들을 하나씩 보여주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이들이 엮이면서 현재의 이야기를 새로 써가는 식의 전형적이라면 전형적인 구성이다.

하지만, 각각을 떼어놓고 보면 별 거 아니어 보이는 이런 요소들이 잘 결합되어있어 이야기는 꽤나 흡입력있다.

단순한 주인공 위주의 활극으로 만들지 않은 것도 좋아서 꽤 여운도 남긴다.



* 이 리뷰는 북카페 책과 콩나무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 나라 이야기 - cat country
라오서 지음, 이행선.왕방 옮김 / 바른북스 / 2022년 11월
평점 :
품절


‘라오서(老舍; Lao She)’의 ‘고양이 나라 이야기(猫城记; Cat Country)’는 SF 우화 형식의 사회풍자소설이다.



1931년 만주사변 당시 중국의 사회상을 담은 이 소설은 우화라는 모습을 빌려 마음껏 중국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은 꽤나 파격적인 소설이다. 일종의 변형된 독재 국가와 같은 체제를 갖고있는 중국은 검열과 삭제도 꽤나 현실적인 나라란 걸 생각하면 그렇다.

그래서인지, 나름 안전장치를 깔아두기는 했다. 알 수 없는 이유로 불시착을 하는 바람에 어디에 있는지는 얘기할 수 없지만 고양이 인간들이 사는 고양이 나라라는 현실(정확하게는 중국)과는 동떨어진 배경에서 벌어지는 이야기일 뿐이라고 얘기하는 것도 그렇고, 작품 내에 중국이 따로 존재하고 있는데다 중국인인 주인공의 입을 빌어 꽤나 멀쩡히 (오히려 좀 과하게 멀쩡히, 다소 국뽕적으로 이상화된 모습으로) 있다는 것을 노골적으로 뱉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를 통해 소설에 대해 비판하려면 비판자 스스로가 중국은 고양이 나라처럼 엉망진창으로 망국을 향해가는 나라라고 생각한다고 발혀야 하게 함으로써 아예 말을 못꺼내게 못을 박아둔 거다. 저자의 말도 다분히 그런 방어의 연장선상에서 쓰여있어서 생각해보면 꽤나 블랙 코미디스럽다.

형식이나 메시지의 방향성 같은 것 때문에 소설은 꽤 ‘동물농장’을 생각나게도 하는데, 심지어 표현적인 부분에서도 꽤나 그렇다. 동물농장은 그냥 사회 이데올로기에 대한 우화처럼 보일 수도 있으나, 사실은 굉장히 실제 역사를 많이, 심지어 거의 그대로 담은 것이다.

이런 점은 이 소설도 마찬가지여서, 중국 역사에 대해 일부라도 아는 사람이라면 (동물농장을 볼 때 그러한 것처럼) 저자의 굉장히 노골적이고 직설적으로 비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노골적인 내용과 비판을 담았지만 이야기 자체도 꽤 읽을만하다는 것도 좀 비슷하다.

동물농장을 괜찮게 봤다면, 이 소설도 재미있게 볼만하지 않을까 싶다.



*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스 일라이저의 영국 주방 - 현대 요리책의 시초가 된 일라이저 액턴의 맛있는 인생
애너벨 앱스 지음, 공경희 옮김 / 소소의책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너벨 앱스(Annabel Abbs)’의 ‘미스 일라이저의 영국 주방: 현대 요리책의 시초가 된 일라이저 액턴의 맛있는 인생(Miss Eliza’s English Kitchen: A Novel of Victorian Cookery and Friendship)’는 실존인물 일라이저 액턴을 소재로 한 소설이다.



‘현대 요리책의 시초’라는 문구는 자칫 잘못 읽힐 수도 있을 것 같다. 언뜻, 그 이전에는 제대로 된 요리책이 없었다는 것처럼 들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어떻게 보면 맞지만 정확하게는) 사실과 좀 다르다.

일라이저 액턴의 요리책이 가진 의미는 현재까지 계속되고있는 요리책의 일반적인 포맷을 소개한 것이다. 그 전까지는 재료의 양이나 조리 시간 등이 제대로 정리되어있지 않아서 읽어봐도 어떻게 요리를 해야하는지 헷갈리고 대부분은 직접 해보거나 기왕의 경험을 통해서 자기식대로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걸 각 재료 얼마만큼을 준비해야하는지 나열하는 방식으로 소개하고, 각각을 몇분씩 조리하는지를 명확히 함으로써, 지금까지 이어지는 레시피 설명 방식의 틀을 마련했기에 “현대” 요리책의 시초라고 하는 것이다. 그렇게 보면, 현대인들은 대부분이 일라이저 액턴이 만들어낸 결과물의 혜택을 보고 있는 셈이다.

그런 실존인물, 심지어 꽤나 현대의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고, 그녀가 자신의 요리책을 쓰게되는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지만, 그렇다고 이 소설이 진지한 역사소설이거나 전기소설같은 것인 건 아니다. 정확한 조사나 일기 등의 기록을 통해 사건을 재구성한 것이라기보다는 알려진 사실에 저자가 상상을 덧붙여 창작한 것에 가깝기 때문이다.

실제에 기반한 것은 실존인물의 이름과 존재, 그녀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그것이 다른사람에게 표절당했었다는 등의 짧게 요약될만한 사실 정도일 것이다.

그러니, 책에서 보여주는 일라이저란 인물의 성격이나 요리책을 만드는 구체적인 과정같은 것들은 일단 허구라고 봐야할 것이다. (출판사에서도 애초에 그렇게(픽션이라고) 소개한다.)

딱히, 그게 나쁘다거나 그런 얘기를 하려는 건 아니다. 물론 실존인물을 다루는 것이라 자칫 편견을 만들어낼까 조심스러운 점은 있지만, 대신 그렇기 때문에 실제와는 달리 잘 짜인 드라마도 만들어 넣을 수 있으며 그게 이야기를 더 볼만하게도 하기 때문이다.

현대 작가가 쓴 것인만큼, 최신의 인기 트렌드인 페미니즘 버무려져 있는데, 당시의 시대상을 보여주기도 하고, 주인공이 극복해나가는 고난같은 것처럼 취급되기도 하는데다, 일라이저 본인이 실제로 학교를 운영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기도 했기에 그렇게 어색하거나 하지는 않다.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날로 다시 돌아가 널 살리고 싶어
우대경 지음 / 델피노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날로 다시 돌아가 널 살리고 싶어’는 촉법소년 문제를 소재로 한 소설이다.



무엇보다 빡치는 상황이 무얼까. 소설에서나 있는 완전범죄 그딴 것도 아니고, 죄상이 낱낱이 드러났는데도, 막상 아무런 처벌도 내려지지 않는다는 것이 아닐까. 마치, 당한놈이 병신이지라는 듯 비웃는 그 행태를 피해자 가족이 과연 참아낼 수 있을까.

도저히 그럴 수는 없을거다. 최악의 경우, 내 손으로 칼부림을 해서, 법이 안하겠다면 스스로라도 벌을 내려 복수를 완수하겠다며 눈에 불을 켤 사람이 대부분이다. 개인적인 복수를 금하기위한 법이 제대로 된 역할을 못하는 순간 벌어질, 그 거지같은 소년법에 대한 얘기다.

소년법은 단순히 피해자 가족들만을 그런 궁지로 몰아 넣는 것이 아니다. 가해자는 마땅한 벌을 받음으로써 사회가 인정할만한 죗값을 치르고 새출발을 할 수도 있었는데, 그런 속죄의 기회까지도 앗아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벌을 받지 않음으로써 자신이 저지른 죄를 깨닫지도 못하게 하고, 그들을 쉽게 다른 범죄를 저지르게 부추김으로써 사회질서를 무너뜨리기도 한다. 제 아무리 인권같은 헛소리를 지껄여도 끊임없이 문제가 일어나는 개같은 법이라고 하는데는 다 이유가 있는거다.

그렇기에 그로인한 유가족은, 그것을 바꿀 수만 있다면 무엇이든 하겠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놈을 벌하기 위해서든, 그런 일이 벌어지지 않게하기 위해서든.

거기에 시간여행물을 섞은 이 소설은, 다분히 기존의 것들을 가져다 짬뽕한 느낌이긴 하지만, 그것들이 꽤나 인기를 끌어 시리즈처럼 나오기도 했던만큼, 나름대로 볼만하다.

주요한 부분을 나름 제대로 가져와서 그렇다. 과거에 대한 개입이 미래를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크게 바꾼다는 아이디어는 이야기가 어떻게 흘러갈지 알 수 없기에 쉽게 흥미를 끈다. 다만, 주요 아이디어가 같기 때문에 불편함이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