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 근육의 해부학에서 피트니스까지, 삶을 지탱하는 근육의 모든 것
로이 밀스 지음, 고현석 옮김 / 해나무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강, 의학 분야에 몸담고 있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읽어둘 만한 책이다. 근육을 알면 건강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름다운 것들의 추한 역사 - 욕망이 소비주의를 만날 때
케이티 켈러허 지음, 이채현 옮김 / 청미래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의 책

 

 

아름다운 것들의 추한 역사 - 욕망이 소비주의를 만날 때

_케이티 켈러허 / 청미래

 

 

()와 추()의 기준은 개인별로, 민족별로 다르지만, 사람들이 추구하는 보편적인 미()가 있다. 그럴지라도 그 이면을 들여다보면 결코 아름다운 것만이 전부가 아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인 저자는 인류가 미의 영역에 자리 잡게 했던 존재들에 대해 자신 주변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폭넓고 세심하게 살피고 있다.

 

 

()는 발견되기도 하지만, 만들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람들이 좋아하기 때문에 만들어진다. 돈이 되기 때문에 생산이 된다. 그리고 그 물건들의 종류와 수량이 많아질수록 사람들은 그들의 격이 상승된다고 느낀다. 반대로 그 사물들을 못 가진 이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갖게 된다. 많은 미()의 소유가 부()의 척도가 된다.

 

 

이러한 사물들은 그 종류가 어마무시하게 많다. 저자는 거울, 페이스 페인트, 향수 등 일반적인 미()적 존재들을 도와주는 것들과 지출비용이 증가하는 진주,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류와 실크, 도자기 등의 앞면과 뒷면을 들여다본다. “이 세상에 순수한 것은 없다. 살아 있는 모든 것은 해악을 끼치고, 존재하는 모든 것은 타락한다. 그런데도 많은 사람들이 예쁘고 타락한 것에 이끌린다. 우리를 두렵게 하는 바로 그것을 소유하고 어루만지고 싶어 한다.”

 

 

순간에 내 얼굴을 찍고 변화도 줄 수 있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지만, ‘거울만큼 리얼한 것이 없다. 문학이나 예술 작품 속에선 더러 거울이 마법과 이웃하고 있다. 영혼이나 유령, 심지어 미래의 모습까지도 보여준다. 최초의 위대한 유리 거울은 이탈리아의 베네치아 석호에 있는 무라노 섬에서 탄생했다고 한다. 반면 추악한 거울의 역사는 수은의 독성을 빼놓을 수 없다. 아울러 외모로 사람을 평가하는 문화적 집착이 그 다음이다.

 

 

초기의 다이아몬드 광산은 대부분 노예들과 범죄자들의 생명력으로 운영되었다. 그들은 단지 다이아몬드를 캐기 위한 도구에 불과했다. 이 자체만으로도 다이아몬드의 이면(裏面)은 충분하다. 현재라고 달라졌을까? 광산엔 여전히 극심한 빈부 차와 인권유린이 존재한다. 질 좋은 향수를 만들어내기 위해 사향고양이를 작은 우리에 가둔 채, 그들이 반응하여 귀중한 분비물을 뿜어낼 때까지 그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심하지 않은가? 아름다운 것을 보고 느끼는 것은 좋다. 때로 미()가 우리의 삶에 활력소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지나친 미()적 추구는 과소비와 연결되고, 욕망의 제물이 된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다.

 

 

 

#아름다운것들의추한역사

#욕망이소비주의를만날때

#케이티켈러허

#청미래

#쎄인트의책이야기20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름다운 것들의 추한 역사 - 욕망이 소비주의를 만날 때
케이티 켈러허 지음, 이채현 옮김 / 청미래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美)와 추(醜)의 기준은 개인별로, 민족별로 다르지만, 사람들이 추구하는 보편적인 미(美)일지라도 그 이면을 들여다보면 결코 아름다운 것만 있는 것이 아니다. 저자는 이런 면을 세심하게 살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이터의 역사 - 인간의 숨겨진 욕망과 권력 관계를 숨김없이 보여주는 데이터에 관한 진실!
크리스 위긴스.매튜 L. 존스 지음, 노태복 옮김 / 씨마스21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의 책

 

 

데이터의 역사 - 인간의 숨겨진 욕망과 권력 관계를 숨김없이 보여주는 데이터에 관한 진실! _크리스 위긴스, 매튜 L. 존스 / 씨마스21

 

 

데이터는 단지 숫자나 수치에 불과하지만 그 위력은 대단하다. 데이터에 스토리를 입히면 대단한 이미지로 변신한다. 건전한 데이터는 인류의 건강하고 평안한 삶을 위해서도 한 몫 하지만, 건전하지 못하고 불순한 의도가 섞인 데이터는 사회를 혼란스럽게 한다. 일등을 꼴찌로 만들고, 꼴찌를 일등으로 만들기도 한다. 데이터의 수학적 분석은 세계를 이해하고 통제할 수도 있지만, 불순한 지배자들이 통치를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 할 수도 있다.

 

 

이 책의 공저자 중 한사람인 크리스 위긴스 교수는 대학에서 데이터의 역사에 관한 강의를 하며, 데이터 과학자로 활동하고 있다. 매튜 L. 존스 교수는 역사학 교수이자 데이터과학 및 사이버 보안 분야의 전문가로 소개된다.

 

 

이 책은 크게 3파트로 편집되었다. 1부는 수리통계학이라는 새로운 학문분야가 수학과 접목하면서 일어나는 과정이 설명된다. 초기의 데이터 활용은 그나마 순수했다. 국정운영과 사회적 개선을 위해 활용되었다. 2부에선 제2차 세계대전 때 암호해독을 위해 데이터가 군사적으로 적용된다. 디지털 연산과정이 영국과 미국을 선두로 기업과 기술분야에 데이터로 활용된 과정을 추적한다. 아울러 데이터가 기업권력, 국가권력, 시민 권력에 끼친 영향을 탐구하고 있다. 3부는 초기의 데이터가 국가권력의 도구에서 기업의 사활을 결정짓는 계기가 되는 내면을 살펴본다.

 

 

데이터도 진화한다. 빅데이터 시대에 들어섰다. 데이터과학자들은 무슨 일을 할까? ‘데이터과학의 정의는? ‘데이터과학의 정의는 다양하다. 산업적 데이터과학은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된다. 학문 연구에서는 통계학을 넘어서 데이터로 세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역량이 포함된다. 한편 이 분야 종사자들은 통계학, 기계학습 또는 이전의 데이터 마이닝과 비교할 때, ‘데이터과학이라는 용어가 정말로 어떤 의미인지를 놓고 옥신각신해 왔다. 그 논쟁은 근본적으로 누가 권한을 갖는지, 누가 데이터를 다룰 권력을 재조정할 역량을 얻는지에 관한 문제이다. 아울러 결국 누가 기업과 학계, 그리고 정부로부터 자금 지원을 얻느냐는 문제이기도 했다.

 


이 책은 데이터를 역사라는 렌즈를 통해서 들여다보고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저자는 데이터가 초기의 목적대로 유용한 도구가 되려면 기업권력, 국가권력, 시민 권력의 세 권력이 균형 있게 배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게 될 때, 시민이 유능해지고 정의가 향상되며 권력 양극화를 고착시키지 않고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한다. 그러기 위해선 기업은 윤리적으로 운영이 되어야하고, 국가 권력은 기업에 대한 제재보다는 기업 구조가 발전할 조건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시민사회는 나름의 사적 질서가 생성될 수 있는데, 저자는 이를 시민권력이라고 칭한다. “오늘날의 정보 자본주의는 우리의 개인적 주관뿐만 아니라 평등과 자율능력까지 위협한다. 단지 데이터와 존엄성뿐만 아니라 데이터와 민주주의의 문제들이 우리 관심사의 핵심에 놓여야 한다.”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통해 작성한 서평

 

 

#데이터의역사

#크리스위긴스외

#씨마스21

#쎄인트의책이야기20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이터의 역사 - 인간의 숨겨진 욕망과 권력 관계를 숨김없이 보여주는 데이터에 관한 진실!
크리스 위긴스.매튜 L. 존스 지음, 노태복 옮김 / 씨마스21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데이터를 역사라는 렌즈를 통해서 들여다보고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저자는 데이터가 초기의 목적대로 유용한 도구가 되려면 기업권력, 국가권력, 시민 권력의 세 권력이 균형 있게 배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