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피어 - 하버드대 행복학 강의
탈 벤 샤하르 지음, 노혜숙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언제라도 좀더 행복해질 수 있다. 어느 누구도 항상 완벽한 기쁨을 맛볼 수 없다. 완벽한 기쁨을 기대하는 것은 지나친 욕심이다. 따라서 자신이 행복한지 아닌지 묻기보다는 "어떻게 하면 좀더 행복해질 수 있는가?"라고 물어야 한다. 이 질문은 행복 추구가 어떤 지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과정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것이다. 나는 5년 전보다 지금이 더 행복하며 5년 후에는 지금보다 더 행복해지기를 바란다.
p.34
어떤 목표, 미래의 목적을 정하는 일차적인 목적은 현재의 즐거움을 높이는 것이다. 목표는 단지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기도 하다. 지속적인 행복을 위해서는 목표에 대한 기대를 조정해야 한다. 목표를 목적(목표 달성이 우리를 행복하게 해줄 것이라고 기대하는)이 아닌 수단(목표 설정이 여행의 즐거움을 높여줄 수 있다는)으로 인식해야 한다. 목표 달성이 잠깐 반짝하는 즐거움을 주는 데 비해 목표 설정은 지금 하는 일을 즐길 수 있도록 하여 간접적으로 모든 단계에서 행복 수준을 높여준다. 목표는 우리가 현재에 충실할 수 있게 해준다.
p.130
상실을 두려워하는 사람은 자신에게 잃을 것이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것으로 스스로를 방어한다. 행복한 사람은 잃어버릴 것이 많으므로 상실이 고통을 피하려고 차라리 아무 것도 갖지 않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최악의 상황을 두려워하면서 애초에 행복을 누리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p.250
탈 벤 샤하르, <해피어 - 하버드대 행복학 강의> 中
+) 우리 나라에도 행복학이나 긍정심리학이 많이 발달했으면 좋겠다. 학생들 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에게도 강의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시간을 만들게 하면 어떨까. 그럼 행복한 사람들이 늘어나고 사회가 좀 더 행복해지지 않을까. 샤하르 교수가 첫 강의를 하버드에서 시작할 때는 약 40명에 불과했던 학생들이 점차 늘어 몇 백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강의 평가 또한 자신의 삶을 돌아볼 기회가 주어진 좋은 강의로 평가받았다.
우리에게도 그런 기회가 주어지면 얼마나 좋을까. 나는 이런 강의에 관심이 많다. 행복의 가장 첫 걸음으로 마음의 양식을 얻는 것이라 생각된다. 책을 읽어도 좋고, 영화를 보아도 좋으며, 음악을 들어도 좋다. 우리의 심신에 자유와 평안을 줄 수 있다면 그것이 행복으로 가는 첫 걸음이 아닐까. 이 책을 읽으며 행복해지기를 기다리기보다 행복하기 위해 먼저 한 걸음을 옮기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확인했다.
자신을 위해, 자신의 행복을 위해 먼저 발걸음을 옮겨라. 실천하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 이 책을 지침서로 해도 좋을 것이고, 그렇지 않더라도 자신이 편안할 때까 언제인가를 돌아보며 그 순간을 찾아 시간을 할애하라. 일단 한번 먼저 행해야 한다. 시간이 없다거나 돈이 없다거나 하는 것은 핑계에 불과하다. 자신을 위해 없는 시간이란 없다. 다른 부분에서 돈을 아껴서라도 자신을 위해 투자하라. 문득 오늘 햇볕이 좋은 때 시원한 냉커피 한 잔 마시면서 행복해할 내 자신이 떠오른다. 첫 걸음은 단순하게 시작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