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비스킷 - [할인행사]
게리 로스 감독, 토비 맥과이어 외 출연 / 브에나비스타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영화가 개봉했을 때는 솔직히 어떤 내용인지도 몰랐지만 별로 보고 싶은 생각이 안들었었다. 아마 포스터가 마음에 안들어서였는지....도대체 어떤 내용인지 가늠이 안가서 그랬는지....암튼 우연히 별 기대없이 이 영화를 봤는데...정말 대단해요~~

우선 어렸을때부터 말에 대한 동경이 강했떤 나에게 이영화는 새삼스레 어릴적 꿈을 다시 상기시켰다. 나중에 목장에서 말을 타며 평온하게 사는 꿈을....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을 만들었다고 한다. 씨비스킷이라는 전설적인 경마...다른 경마에 비해 턱없이 작고 망아지 시절부터 경주말이 아닌 훈련용 말로써 자신의 승부욕과 자유로움을 억누르면서 교육을 받았다. 하지만 그런 그를 이해한 조련사를 만나면서 드디어 날개를 달았다.

초반에 나오는 각각의 주인공들의 삶. 대체 어떤 연관성이 있을 까 궁금해했었는데...걸국 씨비스킷이란 말을 중심으로 서로의 상처를 치유하고 희망을 얻으며 포기하지 않는 인간의 존재의의?를 말하려는것 같다. 결국 이기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상처입고 흠집이 있어도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하는 것이 진정한 삶의 모습인것을..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노라면 2005-07-23 2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별5개를 붙어 있길래 호기심에 사서 봤는데 정말 감동적이고 멋집니다.
 

표절 시비 말린 <언더월드>

렌 와이즈만은 SF·게임 중독자?

9월 중순 미국에서 예상치 못한 박스오피스 정상을 차지했던 <언더월드>의 감독 렌 와이즈만은 아주 특이한 경력을 가진 감독이다. 이 영화를 감독하기 이전의 필모그래피라고는 <스타게이트> <고질라> <맨 인 블랙> <인디펜던스 데이> 등에서 소품담당을 했던 것이 전부였기 때문. 그나마 IMDB에는 <스타게이트>와 <인디펜던스 데이>의 소품 보조로만 올라와 있어, 다른 영화들에서 그의 역할이 얼마나 미약했는지를 짐작하게 해준다. 그래서 언뜻 생각하면, 뭘 보고 그에게 이런 영화의 연출을 맡겼을까 의아해할 정도다. 하지만 그는 광고와 뮤직비디오 업계에서 연출력을 충분히 인정받은 인물이다. 소니(플레이 스테이션), 타임워너, 오라클, 인텔 등 세계적인 기업의 광고를 만들었고, 정상급 아티스트들의 뮤직비디오를 감독해 MTV 뮤직비디오 어워드 등에 후보로 오르기도 했었던 것이다.

그런 그가 같은 매니지먼트사를 고용하고 있던 작가 데니 맥브라이드를 만나 의기투합해 제작에 들어간 것이 바로 <언더월드>였다. 비슷한 취향을 갖고 있던 두 사람은 ‘뱀파이어와 늑대인간 사이의 로미오와 줄리엣’이라는 설정으로 자신들이 평소 그려내고 싶었던 음울한 지하세계의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이미 알려진 것처럼 그 결과는 예상치 못한 대성공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렌 와이즈만은 영화의 촬영과정에서 주연인 케이트 베킨세일과 사랑에 빠져 지난 6월 약혼해, ‘일석이조’라 불리며 주위의 부러움을 한껏 샀다.

그런데 <언더월드>와 그 감독 렌 와이즈만을 둘러싼 그런 좋은 소식들의 한켠에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는 불미스러운 일이 숨겨져 있다. 영화의 개봉을 겨우 2주일 앞두었던 지난 9월5일, 이 영화의 상당 부분이 표절이라는 소송이 제기되었던 것. 철저히 감독과 작가가 함께 만들어낸 이야기로만 소개되는 상황에서, 그러한 소송은 영화의 독창성에 심한 훼손을 가할 정도로 심각한 것이었다. 소송을 건 주체는 낸시 콜린스라는 호러작가와 비디오 게임 퍼블리셔인 화이트 울프(White Wolf)사였다. 소송의 내용은 낸시 콜린스가 1994년 발표한 단편소설 < The Love of Monsters >와 영화의 설정이 똑같을 뿐만 아니라, 그녀의 기타 작품들을 기반으로 화이트 울프사가 만든 롤 플레잉 게임 < Vampire: The masquerade > < Werewolf: The Apocalypse >와도 많은 유사점이 있어 표절이 의심된다는 것이다.

낸시 콜린스의 대표적인 호러소설 <와일드 블러드>
<언더월드>의 설정이 자신의 작품을 표절한 것이라 주장하는 낸시 콜린스.
<언더월드>를 통해 약혼을 한 감독 렌 와이즈만과 주연 여배우 케이트 베킨세일.
소설뿐만 아니라 두편의 게임이 펼쳐지는 무대인 ‘어둠의 세계’(the world of darkness)라는 무대를 창조해낸 낸시 콜린스는 “뱀파이어와 늑대인간 사이의 로미오와 줄리엣으로 영화를 홍보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 영화가 내 작품을 영화로 각색했음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라며 흥분을 감추지 않았다. 또한 화이트 울프사의 마이크 티네이 사장 역시 “우리는 책 200권 분량의 엄청난 기반 작업을 거쳐 이 가상의 세계를 형상화했다. 그런데 <언더월드>의 시나리오는 아무런 노력없이 우리의 아이디어를 베꼈음이 그대로 드러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피고가 된 소니픽처스를 비롯한 제작·배급사들은 일체의 공식적인 대응을 하지 않고 있는 상태. 다만 ‘그렇게 생각했다면, 지금까지는 뭐하다가 이제 와서 발목을 잡는지 모르겠다’는 비공식적인 반응만 일부 언론을 통해 흘러나왔을 뿐이다.

감독이자 시나리오를 공동집필한 렌 와이즈만도 이런 상황에 대해서는 함구로 일관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그 스스로 호러·SF소설, 만화, 게임의 중독자라고 떠들고 다녀, 낸시 콜린스의 작품과 화이트 울프사의 게임들에서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음을 간접적으로 시인한 셈이기 때문이다. 그는 평소 미국의 대표적인 만화·애니메이션 관련 박람회인 ‘ComicCon’에 자주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을 정도다. 이런 상황에서 당사자들이 인정하지 않는 이상 법원이 표절인지 아닌지를 판결할 뚜렷한 방법이 없다는 사실은, 렌 와이즈만은 물론 영화의 모든 관계자들이 왜 함구로 일관할 수밖에 없는가를 잘 설명해준다. 만약 표절 판결이 나면, 그뒤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

따라서 그들이 이 불미스러운 일이 해결되지 못한 상태로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더월드>의 후속편 제작에 합의했다는 사실은 그리 놀랄 만한 것이 아니다. <버라이어티>에 따르면 소니픽처스와 공동제작사인 레이크쇼어엔터테인먼트는 렌 와이즈만과 그의 약혼자 케이트 베킨세일에게 하나가 아닌 두개의 속편 제작에 대한 합의를 받아놓은 상태라는 것. 재미있는 것은 그 두편 중 한편은 <언더월드>보다 이전 시대의 이야기를 다룰 가능성이 높다는 소문이 나돈다는 사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과연 소송건이 어떻게 처리되고, 또 그 결과가 영화의 시리즈화에 어떤 영향을 끼칠 것인지 무척 흥미진진할 것이 분명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언더월드 (2disc)
렌 와이즈만 감독, 스콧 스피드만 외 출연 / 에스엠픽쳐스(비트윈) / 2004년 2월
평점 :
품절


넘 잼있게 봤다

원래 늑대인간이니 뱀파이어니 나오는 이야기를 좋아하지 않지만 오랜만에 박진감 넘치고 추리형식 또 은은한 러브스토리(?)도 모두 마음에 든다.  160년동안의 원한은 결국 한남자의 두려움과 혈통우월주의에서 비롯됐다는 사실이 변화를 두려워하는 사람들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담은 것 같다. 그리고 빅터를 처치하는 것이 마이클이 아닌 여주인공이었다는 사실도 의외였다.

얼른 속편이 나왔으면 좋겠다....뱀파이어의 제왕 빅터를 무찌른 것으로 막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아직 잠에서 깨어나지 못한 마왕의 등장을 예고하면서 끝나는 것도 매우 신선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무역협회(회장 : 김재철)는 무역업계의 관심사항을 중심으로 『2005년 주목해야할 10대 대외통상 환경』을 다음과 같이 선정, 발표했음.

   1. WTO도하개발어젠다(DDA)의 실질적인 협상 전개 여부
   2. WTO 출범 10주년과 후임 사무총장 인선 등 위상 강화 노력
   3. 제13차 APEC 정상회의와 한국의 역할
   4. 전 세계적인 자유무역협정(FTA)의 확대
   5. 미국 : 마찰 분야(자동차, 철강   IT·지재권분야)의 변화 전망
   6. E U : 동진(東進) 노력과 환경규제 강화
   7. 중국 : 중국내 산업재산권 보호, 섬유쿼터 폐지 이후 시장경합
   8. 일본 : 김 분쟁과 다자협상에서의 공조노력 지속 여부
   9. 남북경협(개성공단) 확대와 주요국(미국)의 원산지관련 조치
  10. 섬유쿼터 폐지와 세계 섬유교역시장의 재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해 북한의 3대 교역국중 제1위인 중국과의 무역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반면 2,3위인 한국, 일본의 경우 각각 감소해  북한의 중국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재철)가 발표한 '북한-중국간 무역동향과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 중국간 무역은 13억8,521억달러로 전년 대비 35.4% 증가했다.

  이중 북한의 대중 수출은 수산물 및 철광석, 무연탄 수출확대 및 기초원자재 국제가격 상승에 따른 철광석, 무연탄 수출단가  상승으로 전년 대비 48.1% 증가한 5억8,570만달러를, 수입은 돼지고기, 원유 등의 수입을 크게 늘리면서 전년 대비 27.4% 증가한 7억9,9950만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이에 비해 북한 제2위 무역국인 한국의 경우 지난해 북한과의 무역은 총 6억9,704만달러로 전년 대비 3.8% 감소했고, 일본의 경우도 2억5,187만달러로 4.8% 줄어들었다.

  중국 북한간의 교역환경은 지리적 인접성, 중국의 저가 공산품 공급능력 확대, 정치유대 강화 등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유리했던데 비해 한국은 대북반입 쿼터물량 축소(북어: 4,700톤 2,000톤), 경기침체 등으로 북한에서 수산물, 임가공의류 등의 반입이 둔화됐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북한의 일본인 납치사건이 불거진 이후 북한에 대한 이미지 실추와 반감 고조 등으로 일본소비자의 북한상품 외면,
최근 대북한 무역거래에 대한 각종 제한 조치 강화 등이 북-일무역 감소의 주요한 원인이다.

  무역협회는 북한의 개방정책 시행과 함께 중국의 단동 및 두만강지역 개발, 동북3성 산업시설 개조를 위한 북한과의 경제협력 강화의지에 힘입어 앞으로 북·중간 무역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중국, 한국, 일본  등 북한 3대 무역국의 대북한 무역액은 03년을 기준으로 20억1,200만달러로 북한 전체 대외무역액 31억1,500만달러의 64.5%를 차지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