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월 최시형 평전 - 생명사상의 원류, 동학을 이끈
김삼웅 지음 / 미디어샘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종교 지도자이자 사회개혁가이자 혁명가. 

35년 동안 은신생활을 하면서 동학을 전국적으로 확대했다. 소박하게 살아가는 민초들과 스스럼없이 어울리고 지내게 됨. 욕심이 없고 너그러우며 인자한 성자의 기품을 지님. 근검정직하여 그의 성정과 훈도는 그를 접하는 모든 사람들을 강화시켰다.


1. 수운 최제우가 남긴 동학의 불씨를 살리고 키우고 불을 지켰다. 

2. 동학혁명 당시 남북접 이 대립하여 주전(전쟁하기를 주장)이냐 화전(싸움을 끝맺기 위해 화합함)이냐로 갈렸을 때 간부들의 뜻을 받들어 주전론을 수용하면서 동학군은 혼연일체가 되어 척왜양과 보국안민의 혁명전에 나서게 되었다.

3. 교조신원운동을 통해 교도와 민중들을 집결하고, 이것은 군주체제의 금제선을 뛰어넘어 반봉건 반외세의 민족 민중운동으로 진화되고, 현대 시민운동의 원류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토리 트레이닝 : 이론편 스토리 트레이닝
손지상 지음 / 온우주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자신만의 용어를 만들어 괜히 어렵게 쓴 작법서.

전이 = 모남(생소함)X 짬(자연스러운)
스토리란 자연스러우면서도 생소한 정보가 박자에 맞춰 차례로 전달되는 과정이다. 
스토리는 의도와 의미와 맥락을 가진 경험의 흐름
전이는 타자를 전제로 한다.
스토리는 작가와 독자를 이어주는 역할
스토리텔링은 고농도의 사회적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람들의 관심을 끈다.
독자의 예상은 배반하되, 독자의 기대는 충족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루와 미요 초승달문고 35
임정자 지음, 박세영 그림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용감한 강아지 하루의 저수지 모험 이야기와 수영을 무서워하는 미요의 두려움 극복기. 장편으로 썼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드리드 일기
최민석 지음 / 해냄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회가 되면 꼭 레지던시 프로그램(토지문화재단, 스페인 문화체육부 협정한 교환 작가 프로그램)에 도전해 보고 싶다. 그런 열망을 대리만족 시킬 수 있는 책이 바로 마드리드 일기다. 

작가는 2022년 8월 31일부터 두 달간 마드리드의 레지덴시아 데 에스뚜디안떼스 (rESIDENSIA DE ESTUDIANTES)에서 지냈다.

스페인 측에서 제공한 숙소와 식사는 두 달간 유효하고, 그 후 보름은 혼자 여행을 하고 귀국했다. 9년 전 베를린 일기라는 책을 썼을 때처럼, 문학평론가 고 김현 선생의 문체를 존경하여 모사하듯 써보려 했고, 이를 위해 70년대에 쓰였던 어휘를 우선적으로 쓰려고 했다.  


서반아어 학원 학생들, 코로나 걸린 일, 톨레도 여행 등을 재미있게 풀어쓰고 있다. 

나도 해외 여행을 간다면 이런 식으로 일기를 써봐야겠다.

베를린은 백림, 마드리드는 마덕리
스페엔이세ㅓ 가장 오래된 레스토랑인 보틴(BOTIN 1725) 애저(어린 돼지구이) 헤밍웨이 단골. 왕성하게 돌아다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인간적인 건축 - 우리 세계를 짓는 제작자를 위한 안내서
토마스 헤더윅 지음, 한진이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축에서 따분한 것을 싫어하는 작가는 따분하지 않은 책을 썼다. 

두께는 있지만 사진도 많고 편집도 다양해서 전혀 지루하지 않다.

현대 건물들이 따분하고 밋밋해진 이유는 모더니즘 때문이다. 모더니즘의 대표 주자는 르 코르뷔지에. 그의 7대 신념은 이렇다: 장식은 폐지해야 한다, 도시는 직선을 중심으로 건설되어야 한다, 건물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모든 건물과 장소는 주로 직선과 직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거리를 폐지해야 한다, 오래된 도시와 교외는 공원에 둘러싸인 거대 블록들로 대체해야 한다, 건물 내부(평면)가 외부보다 중요하다.


건축가들과 일반 대중의 시각도 매우 다르다. 건축가를 예술가로 보느냐, 공학도를 보느냐의 차이가 있다. 

공간이 인간의 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다. 저자도 인간은 따분한 삶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따분한 건물은 우리를 망가뜨리고 따분한 건물은 비인간적이라고 말한다.


따분한 장소는 우리를 반사회적으로 만든다. 

따분함은 사회 정의의 비상 사태다.


영국에서는 매년 5만 채의 건물이 철거되어 1억 2600만 톤의 폐기물이 발생하며, 상업용 건물의 평균 수명은 약40년이다. 놀랍게도 영국 전체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거의 3분의 2가 건설업에서 발생한다. 중국에서 2021년건설업에서 32억 톤의 폐기물이 발생했으며, 이 중 대부분이 철거로 인한 폐기물이었다. 2026년에는 이 수치가 40억 톤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 P138

회전하는 원통의 벽에 달라붙어 있는 사람들. 인간은 벽에 붙기를 좋아한다. 주촉적. 티그모택틱 THIGMOTACTIC 우리는 자연스럽게 건물 벽이 늘어선 비교적 좁은 거리에 끌리고 자연스레 그런 거리를 만든다. 웬만큼 급하지 않은 이상은 탁 트인 빈 광장을 가로질러 걷기보다는 가장자리에 가깝게 걷는다. 마찬가지로 어느 공공장소에 벤치가 있다고 할 때, 본능적으로 한복판에 있는 벤치보다는 측면에 있는 벤치에 앉는 경향이 있다. - P230

건물 매력도의 경우, 건축가와 비건축가 간의 상관관계가 낮고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 매력도와 관련하여 건축가 집단 내에서는 모두 같은 의견이었고 비건축가 집단 내 의견 역시 동일했으나, 두 집단의 선호도는 거의 일치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대학에서 보낸 시간이 길수록 일반 대중이 생각하는 아름다움으로부터 멀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영국에서 백만 채 이상의 주택과 아파트가 파괴되었고, 독일에서는 전체 주택의 70퍼센트가, 일본에서는 19퍼센트가 가루가 되었다. 성공해서 돈을 벌어야 한다는 부담을 크게 느끼는 나라 - 중국, 남아공, 러시아, 인도 튀르키예 대한민국, 브라질(소유 자산을 성공의 척도) - P3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